목록독도교육 (11)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3년도 ‘독도지킴이 거점학교’ 60개교 선정 - 동아리 중심의 학교 단위의 독도교육 활동 활성화 계기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서남수) 및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학준)은 개별 단위학교 중심의 독도교육 활성화의 초석이 될 2013년 ‘독도지킴이 거점학교’ 총 60개교의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 2013년 독도지킴이 거점학교 선정 사업에는 독도 수호에 대한 각급 학교의 관심이 반영되어 국내 초‧중‧고등학교 총 302개교(초등 111교, 중등 191교)가 응모, 엄밀한 심사를 거쳐 총 60개교(초등 30교, 중등 30교)가 선정되었습니다. * 선정학교 명단 : 본 사업은 2008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으로, ○ 개별 학교가 독도 관련 동아리를 중심으로 동해‧독도 표기 홍보, 독도 모형 만들기, 독도..
독도의 역사와 자연을 한 눈에 살피다,수도권 내 최초‘독도체험관’개관- 9월 14일(금)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독도체험관" 개관식 열려 - 교과부와 동북아역사재단이 ‘독도의 자연과 역사의 소통’이라는 전시 주제로, 9월 14일 10시 10분 동북아역사재단 건물(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임광빌딩 2층 교육장)에서 ‘독도체험관’ 개관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독도체험관’ 개관식에는 정부 관계자, 국회의원, 독도단체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빗냈고, 이 개관식을 시작으로 하여 ‘독도체험관’은 주중 월~토(09:00~18:00) 연중 개관하게 됩니다. 수도권 내 최초로 개관된 이번 독도체험관은「역사·미래관」,「자연관」,「4D영상관」등으로 구성해 ❍ 「역사·미래관」은 독도연표와 특수 영상 ‘독도와의 대화’를 ..
일본의 ‘독도교육’ 어떻게 진행되고 있었나? 일본에서는 1990년대 접어들어 영토교육이 강화되는데, 중점은 남쿠릴열도(일본명 북방영토)로 독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2006년 12월 교육기본법 개정, 2008년 3월 중학교 학습지도 요령 개정, 2008년 7월 중학교 학습지도요령해설서 개정을 거치면서 독도에 대한 영토교육의 필요성이 명기되기에 이른다. 지난 2010년 3월 30일 발표된 초등학교 검정 결과는 이러한 추세가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초등학교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서에는 독도관련 내용이 없었으나, 일본정부는 독도 주변에 국경선을 명기하지 않은 교과서에 대해 ‘국경선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움’, ‘국경선 표기 부정확’이라는 검정의견을 제시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