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독립운동가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그날의 함성을 아시나요?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날이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날로 빛을 회복한 경사스러운 날입니다. 광복절은 영예롭게 회복한 날이란 뜻으로, 1945년 8월 15일은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아 한반도가 일제에서 독립하여 주권을 되찾은 일을 기념하는 해방 및 정부수립 기념일이자 대한민국의 법정 공휴일입니다. 광복 77주년 ‘광복’이라는 말은 항일독립운동의 과정 속에서 탄생한 용어입니다. 특히, 한국광복군에서 이라는 기관지를 발행하는 등 ‘광복’은 일제의 지배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었습니다. 매년 찾아오는 광복절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헌신한 선조들을 기리고, 민족의 해방을 축하하는 중요한 날입니다. 또한, 분단의 아픔을 ..

2020년 8월 15일 토요일! 오늘은 광복 75주년이 되는 날인데요. 그 의미를 되새기며 태극기 게양 모두 하셨죠? 아직 하지 못한 분들이 있다면 선열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게양해주세요. 오늘은 광복절을 맞이하여 견학하면 좋은 장소와 광복을 맞이하기까지 노력해주신 독립운동가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광복절의 의미 광복(光復)은 ‘빛을 회복하다’라는 뜻으로, 우리나라가 일제 치하로부터 광복을 이루어내고(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의 정부 수립(1948년 8월 15일)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광복과 민주화는 역사의 큰 핵심단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일제강점기에 광복을 이루어내기까지 수많은 애국지사의 피, 땀, 희생이 있었습니다. 나라를 위해..

8월 15일 바로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광복절”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김구, 안중근, 이봉창, 윤봉길 의사를 비롯하여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광복을 위해 헌신하고 투쟁하였는데요. 혹시 이분들 외에는 또 어떤 독립운동가가 떠오르시나요? 쉽게 떠오르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광복절을 맞이하여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셨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독립 운동가를 한 분 한 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6명의 독립운동가" 1. 이화림 이화림은 14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3·1 운동, 22살에 학생운동을 한 후,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상해로 떠났는데요. 그녀의 나이 스물다섯이었습니다. 상해에 도착한 후, 김구가 만든 한인애..

2월 14일, 무엇이 가장 생각나시나요? 소중한 사람들과 초콜릿을 나누며 축하하는 발렌타인데이가 생각나지는 않나요? 하지만 우리에게는 발렌타인데이보다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2월 14일은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사형 선고일입니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암살하는 작전을 펼칩니다. * 이토 히로부미 : 일본 제국의 초대내각총리대신이며조선통감부의 통감 작전에 성공하고 안중근 의사는 러시아어로 "코레아 우라!" 라고 크게 외쳤습니다. 이 외침은 "대한독립만세"라는 뜻이었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 작전은 대한민국의 독립 의지를 널리 알리고, 후대 독립운동가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작전에는 성공했지..

내일모레, 8월 15일은 '광복절'입니다. 수많은 독립운동가 분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과거 우리나라는 일제의 침략에서 벗어날 수 있었는데요! 광복절 74주년을 맞이하여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팔레트 팀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 분들을 영상으로 담아봤습니다. 독립운동가 신건식·오건해 부부는 그동안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온 가족이 독립활동을 펼쳤다는 점에서 특별하게 여겨지는데요. 나라를 되찾기 위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헌신을 기억하면서 다가오는 광복절을 맞이하는 건 어떨까요? 평소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교육정책을 국민 눈높이에서 쉽고 재미있게 소개해 드릴 국민서포터즈, 앞으로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팔레트 #광복절 #독립운동가 #신건식 #오건해 #일..

"6월 하면 어떤 것들이 떠오르시나요?" 조금씩 더워지는 날씨, 가벼워지는 옷차림, 여름휴가 계획, 현충일 등 많은 단어들이 6월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분들이 "호국보훈의 달"을 떠올리셨겠죠~? 현충일, 6ㆍ25 한국전쟁, 6ㆍ29 제2연평해전이 일어난 6월을 기념하기 위해 국가보훈처에서 6월을 호국보훈의 달을 정했다고 합니다. 호국보훈의 달을 의미있게 보내고 순국선열들의 기리기 위해 기념관을 방문해보는 건 어떨까요? 캘리그래피로 적은 독립운동가분들의 명언을 읽어보며, 어떤 독립운동가의 기념관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첫 번째 독립운동가, 안창호 의사 안창호 선생님은 1878년 평안남도 강서에서 출생하셨고, 독립협회, 신민회, 흥사단 등에서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습니다. 그리고 1962..
과거가 없는 현재가 존재할까요? 순국선열의 뜻을 되새기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I 역사의 현장 I 일제 강점기 I 독립운동가 I 독립문역 최근 들어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망언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과거가 없는 현재가 존재할까요? 우리들의 가슴 아픈 이야기이지만 잊지 않고 제대로 아는 것이 바로 역사 공부일 것입니다. 일제강점기 수많은 독립투사가 옥고를 치렀던 생생한 역사의 현장이 서울 시내 안에 있습니다. 바로 서대문에 위치한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입니다. 3.1절을 맞이했고, 또 새 학년의 시작을 의미 있게 보내고자 아이들과 함께 그 역사의 현장을 방문하였습니다. 일제 강점기, 1908년 우리나라 전역에 8개의 신식감옥이 설치됩니다. 그중 하나가 서대문형무소의 전신인 경성감옥입니다.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것만이 과연 교육일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학교 이외에 학원이나 여러 단체에서 시행하는 청소년을 위한 활동들도 교육의 일종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을 '학교 이외의 교육'이라고 하면 보통 대학입시를 준비하기 위한 과외나 국·영·수 학원 등의 사교육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입시준비가 아니더라도 학생들을 위한 여러 가지 교육의 장소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일 예로 YMCA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현대사 산책'을 꼽을 수 있습니다. - 근현대사 캠프는 무엇일까? 근현대사 산책은 마산 YMCA라는 시민단체에서 진행하는 캠프로써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씩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배우는 캠프입니다.근현대사 산책에서는 주로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