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해력 (11)
교육부 공식 블로그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결과, 우리나라 비문해 성인은 약 4.5% ◈ 대한민국 문해의 달(9월) 맞아 선포식, 온라인 시화전 등 관련 행사 진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 이하 국평원)은 한국 성인의 기초 문해능력 수준을 조사한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국평원은 국민의 문해능력 실태를 파악하여 성인문해교육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기 위해 3년 주기로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문해능력 수준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개요 ◦ (조사 근거) 「평생교육법」 제19조, 「평생교육법 시행령」 제73조의 2, 「통계법」 ◦ (조사 주기) 3년 ※ 2014년..

현직 선생님이 직접 알려준다! 문해력 높이는 꿀팁 대방출! 하루, 이틀, 사흘, 4흘..? 얼마 전 '사흘'의 뜻을 알지 못해 벌어졌던 해프닝, 기억나시나요? 바로 문해력이 부족해 생긴 일이었는데요. 문해력 저하, 이대로 둘 수 없죠! 문해력 높이는 5가지 방법, 현직 선생님이 알려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eTAzxe #교육부 #청소년 #문해력 #향상 #독서지원 #독서교육종합시스템 #한글또박또박 문해력이 부족하면 학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가기 마련! 따라서 학업에 충실해야 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문해력 기르기는 필수입니다. 시기별 문해력을 기를 수 있는 해결책 다섯가지를 소개합니다. 1. 소리 내어 글 읽기 ✔ 문자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미취학 아동~초등학교 2학년까..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시대가 되면서 점점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늘고 있습니다. 2021년 EBS에서는 이라는 주제로 6부에 걸쳐 방송을 방영하며 대한민국 국민의 떨어진 문해력에 대해 꼬집었습니다.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이라는 뜻인데, 문제는 언젠가부터 읽을 수는 있어도 정확히 글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2020년 EBS가 중학생 2,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문해력 테스트에 따르면 학생 27%는 교과서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니 현재 얼마나 문해력 저하가 심각한 상황인지 아시겠지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이신호 관장도 문해력이 부족하면 학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학업에 충실해야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