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래사회 (25)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3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신규과제(6.1. 개시, 1,464과제) 선정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은 2023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신규과제(6월 1일 개시)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은 ①개인(공동)연구, ②집단연구, ③학술기반구축의 3개 분야로 구분되며, 이번에 선정·발표된 사업은 6월 1일(목) 개시되는 개인(공동)연구 분야 8개 사업, 총 1,464과제이다. ※ 신진연구자지원, 중견연구자지원, 우수학자지원,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 저술출판지원, 명저번역지원, 공동연구지원, 융합연구지원 [붙임1 참조] ※ 집단연구‧학술기반구축 분야는 8월 말 선정결과 발표, 9.1. 개시 예정 특히, 올해는 개인연구분야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지원..

제8회 한‧중인문학포럼 개최 □ 2015년부터 양국 인문학자 간 학술교류의 장 마련 □ 문학, 역사, 철학, 언어 등 다양한 인문학 분야에 대한 논의‧토론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중국사회과학원*과 함께 ‘미래사회와 인문학’을 주제로 9월 22일(목)~23일(금), ‘제8회 한·중인문학포럼’을 개최한다. * 중국 국무원 직속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전반을 연구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정책자문 및 연구기관 ‘한중인문학포럼’은 2013년 한국-중국이 인문 유대강화를 위해 공동 채택한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 따라 2015년부터 매년 양국에서 번갈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1회~제7회 한중인문학포럼 개최 현황 ☞ 【붙..

9월 7일은 대기환경의 중요성과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푸른 하늘의 날’입니다. 지난 2019년 9월 유엔총회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가 ‘푸른 하늘의 날’을 최초로 제안하였고, 그해 12월 제74차 유엔총회에서 ‘푸른 하늘을 위한 세계 청정 대기의 날(International Day of Clean Air for blue skies)’ 지정을 채택했습니다. ▼ UNEP ‘푸른 하늘의 날’ 소개 누리집 ▼ https://www.cleanairblueskies.org/ 유엔환경계획(UNEP)은 올해 “Let’s act together for the air we share (우리가 공유하는 공기를 위해 함께 행동하자).”라는 표어와 함께 ‘푸른 하늘의 날’을 기념합니다. 우리가 공유..

2022년 인문사회 학술연구지원사업 신규 과제(9.1.자 개시) 선정 결과 발표 □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 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 인력 육성을 위해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신규과제 43개 선정 지원 □ 인문사회 연구소 및 우수 연구자 등에 최대 10년간 총 742억 원 지원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22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신규과제 예비선정 결과(9.1자 연구 개시)를 발표하였다. 인문사회연구소지원, 사회과학연구지원, 인문한국플러스(2유형), 우수학자 지원 등 4개 사업에서 총 43개 신규과제 예비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지난 7월, 연구자 개인 연구과제 1,036개 신규 선정에 이어, 이번에는 연구소 연구과제 18개와 연구자 연구과제 25개를 신규 선정하였으며, 최대 10년간 74..

미래에는 어떤 일들이 사라지고, 어떤 직업들이 새로이 생겨날까요?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 변화와 함께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역량을 키워야 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평생에 걸쳐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시간적, 경제적 제약 등으로 학령기를 놓친 분들을 위한 평생교육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바로,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입니다.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이란, 평생교육법 제 31조(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제2항에 따라 설치된 시설로 초·중·고등학교 학력이 인정되는 시설을 말합니다. 정규 교육의 기회를 놓친 학습자들은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을..

□ 2022년 제1차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297개 선정(총 2,290개 기관 운영) □ 미래사회 유망 직업과 관련한 인증기관 발굴·확대 교육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2022년 제1차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이하 인증기관)선정 결과’를 6월 21일(화)에 발표한다.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는 교육기부 방식(무료)을 통해 양질의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이를 통해 교육부는 다양한 진로체험 기관을 발굴·관리하고 있다. 2022년 제1차 사업에서는 3개 영역(체험처의 성격, 환경 및 안정성, 프로그램 우수성)에 대한 3단계 심사*를 거쳐 400개 신청기관 중 297개(공공부문 101개, 민간부문 196개)기관을 최종 선정했으며, 현재 총 2,290개의 인증기..

□ 2022년 예산 기준 총 3,025억 원, 최대 6년 지원(3+3) □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해 산업계 수요 기반 신기술․신산업 인재 집중 양성 □ 공유․협업 체계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산학연협력 혁신 생태계 구축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4월 28일(목)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일반대 링크 3.0) 선정 대학을 발표한다. 일반대 링크 3.0은 1~2단계 링크 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대학과 산업계가 상생 발전하는 산학연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는 대학 산학연협력 종합 지원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1월 13일(목) 기본계획 발표 및 사업 공고 이후, 3월 3일(목)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았으며, ..

안녕하세요. 2022년 교육부 서포터즈 누리울림의 팀하나입니다! 오늘 저희는 초등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정보교육’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보교육이란, 컴퓨터와 수학, 과학, 공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 관련된 정보 처리 과정을 가르치는 교육입니다. 여러분들은 초등학교 시절 정보 시간, 즉 컴퓨터 시간에 어떤 것을 배우셨나요? 지금부터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해 정보교육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만나 볼까요?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차이점 구분 2009년 개정 교육과정 2022년 개정 교육과정 교육 목표 - 창의 인재 중심 / 글로벌 인재 양성 - 학생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하여 경직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