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방향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출제 방향 3교시 : 영어 파일 첨부[교육부 11-18(목) 참고자료]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출제 방향(3교시, 영어).pdf 3교시 : 영어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영어 영역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영어 영역의 구체적인 출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되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하여 출제한다.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유사한 문항 유형을 가감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모..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출제 방향 1교시 : 국어 1교시 : 국어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 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 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 서를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 적 사고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하 수능) 6월 모의평가를 6월 3일(목),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062개 고등학교(교육청 포함)와 413개 지정학원에서 동시에 실시하였다. 1. 출제의 기본 방향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교육부, 2019. 8. 13.)」 에 따른 개편 사항이 2022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부터 적용되었다. 국어 영역, 수학 영역, 직업탐구 영역은 '공통+선택과목' 구조로 개편되고, 사회·과학 탐구 영역은 사회·과학탐구 17개 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 선택이 가능하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는 절대평가를 도입,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모의평가 출제의 연계를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으로 축소하고..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는 대토론의 장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 한 달 앞으로 - 10월 23일~25일, 킨텍스에서 국가교육회의․교육부 등 11개 기관 주최 -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교육국장, 사무 세이살로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 혁신국장 등 해외연사 발표 … OECD 교육 2030 워킹그룹회의 150여명 방한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는 교육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OECD 등 11개 기관과 공동으로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를 개최한다. “교육 2030, 함께 만드는 미래”란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이번 컨퍼런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2030년 전후 10년을 아우르는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속력과 방향이 일정한 운동에스컬레이터와 컨베이어의 차이는 무엇일까? ■ 속력과 방향이 일정한 운동 - 등속 직선 운동우리 주변에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은 대부분 속력(빠르기)과 방향이 모두 변합니다. 그러나 속력과 방향이 변하지 않는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속력과 방향이 모두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은 속력이 일정해야 하며 방향도 변하지 않는 운동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방향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직선으로만 이동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직선을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운동을 등속 직선 운동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의도적으로 만들지 않으면 매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출발하여 등속 직선 운동을 하려면 도로가 직선이어야 하고 어느 정도 달리면서 속력을 같게 맞추어야..
전국 일주에필요한 지도 읽기 ■ 지도상의 두 지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얼마일까?방학을 맞이하여 자전거로 전국 일주를 하고 싶은 학생이 있습니다. 이 학생에게 필요한 위치 정보는 지도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도를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해도 길을 잃지 않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지도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구 표면의 상태를 문자나 기호를 이용해 실제보다 축소해서 평면에 나타내는 것을 ‘지도’라고 합니다. 지도는 위치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축척, 방위, 기호, 등고선을 통해 지도의 위치 정보를 읽어 낼 수 있습니다. 축척은 실제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의 비율로, 지도의 거리 측정을 통해 실제 거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소축척지도와 대..
위치란무엇인가? ■ 지구상의 위치는 어떻게 나타날까?우리가 어느 장소를 찾아 가려 하면 그 장소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위치란 대상이 지표상의 어느 곳에 자리 잡고 있는지 알려 주는 것으로 항상 정확해야만 누구나 틀리지 않고 찾아 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위치는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정확한 것일까요? 지금부터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치는 그 지역의 변하지 않는 고정적 정보를 나타내는 ‘절대적 위치’와 다른 지역과의 상대적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적 위치(상대적 위치)’가 있습니다. 여기서 절대적 위치는 또 어떤 지역의 위치를 대륙, 해양, 반도, 섬 등 지형지물의 관점에서 파악한 위치인 ‘지리적 위치’와 지구 표면상 일정 지점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한 위치인 ‘수리적 위치’로 구..
왜 교복이 바뀌는 것일까요? 저는 최근 들어 중 고등학교 교복이 바뀌는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단지, 현대사람들이 과거보다 패션에 관심이 높아져서일까요? 아니면 바뀔 때가 되어서 바뀌는 것일까요? 저는 이러한 이유도 있어서도 분명 교복이 바뀐 것일꺼라 봅니다만 교복이 바뀌는 이유는 더 큰 의미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큰 의미란 교육의 방향을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교복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이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교복을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교복의 역사를 잠시 살펴볼까요? 우리나라의 교복의 기원은 1886년 이화 학당에서 최초의 교복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이화 학당 학생들은 똑같은 다홍색치마 저고리를 입고 등교를 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사실상, 그 당시 여성들의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