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한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gOfo/btqBVNiWVEQ/wBlOkfFKZruKWNPLRy6H7k/img.png)
-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통일부(장관 김연철)는 전국 시도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번 조사는 학생과 교사들의 북한 ‧통일에 대한 인식과 각급 학교의 통일교육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실시 ‘북한(정권)에 대한 생각’이라는 질문에 ‘협력’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3.8%로 2018년 50.9% 대비 7.1%p 하락하였고, 2017년 41.3%에 비해서는 2.5%p 증가하였다. ※ 북한(정권)에 대해 ‘협력’ 응답율: 41.3%(’17) → 50.9%(’18) → 43.8%(’19) 통일에 대한 ‘평화․화합의 이미지’와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
북한의 지리적 특성 ■ 북한의 바다를 탐내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위치 지도(출처: 에듀넷) 북한은 지리적으로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멀게는 미국까지 주변국이 모두 강한 국력을 가진 나라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북한의 주변국들은 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들과 북한의 관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죠. 특히 세계 최강국의 자리를 노리는 중국과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강대국인 러시아, 이 두 대륙이 북한의 바다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오래 전 북 · 중 어로협정을 맺어 북한의 바다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으며, 러시아는 수시로 전폭기를 동해로 출격시켜 정찰 및 훈련과 함께 무력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두 나라에서 북한의 바다에 관심을 갖고, 호시탐탐 노리는 이유..
북한의 도시와 촌락 ■ 북한 지역은 어떻게 나뉘어 있을까?1945년 광복 후 북한은 행정 구역과 지명을 많이 바꾸었습니다. 광복 당시 북한 지역의 행정 구역은 6개의 도와 9개의 시, 89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현재는 1개의 직할시(평양), 2개의 특별시(남포, 나선), 9개의 도, 24개의 시, 145개의 군 및 3개의 지구(신의주특별행정지구, 개성공업지구, 금강산관광지구)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중에서 강원도는 남북한 모두에 걸쳐 있는데요. 지금은 휴전선으로 갈라져 있지만 6.25전쟁 이전에는 관동 지방으로 불리는 하나의 지역이었답니다. ▲ 북한의 행정 구역(광복 당시 / 현재)(출처: 에듀넷) ■ 화려하지 않은 북한의 도시들북한의 주요 도시로는 수도인 평양과 고려의 도읍이었던 개성, 함경남..
북한의 인구정책 ■ 북한의 인구정책북한은 폐쇄적인 국가로 북한의 인구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알기는 힘듭니다. 북한 당국이 발표하는 단편적인 자료는 있었지만 체계적인 통계 자료가 없었던 북한은 UNFPA(유엔인구기금)의 지원으로 1993년 처음으로 인구 센서스(북한에서는 ‘인구일제조사사업’이라고 부름)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1993년 북한의 총 인구는 2,121만 명이었습니다. 그리고 15년 후인 2008년에 제2차 인구 센서스를 실시하였는데 이때 인구 통계에 따르면 북한의 총 인구는 2,405만 명입니다. 이 중 남성 인구가 1,17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를 차지하고, 여성의 인구는 1,233만 명으로 약 51%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1차와 2차 인구 센서스를 비교해 보면 북한의..
매년 학교에서는 6월 호국 보훈의 달 외에도 다양한 시간에 통일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제가 가르쳐본 2, 3, 4학년 학생들은 거의 모든 아이가 통일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학년이 될수록 조금 달라집니다. 6학년 학생들과 통일 수업을 할 때면 통일비용을 걱정하며 통일을 반대하는 의견도 심심치 않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아이들에게 통일에 관해 어떤 이야기를 해주면 좋을까 고민하던 중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에 갈 기회가 생겨 흔쾌히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염원을 담은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로 다 함께 떠나보실까요?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지금으로부터 1,600여 년 전 고구려와 백제가 106년 동..
중동의 작은 나라 이스라엘. 이스라엘 국민들은 마음 속에 큰 아픔이 있다. 1948년 근대 이스라엘을 건국하기 전, 그들의 선조가 당했던 멸시와 학살은 흡사 우리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당했던 아픔과 비슷한 면이 있다. 나라 없는 설움을 겪은 민족이기에 나라를 지키려는 그들의 애국심은 각별하다. 한국을 배우고 싶어서 한국에 들어온 이스라엘 학생을 인터뷰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녀의 이름은 Tzabarit Ezra (짜바릿 에스라)이며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를 졸업했다. 현재는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 그녀는 필자의 대학원 후배이기도 하다. 필자는 90년대 초반에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에서 유학한 바도 있어 아주 유쾌한 마음으로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었다. Q1 간단한 자기소개와 한국에 오기 ..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사건은 나와 내 주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이로인해 다른때보다 더 많은 국민들의 시선이 국방에 쏠렸는데, 나 역시 국가 안전에 관심이 많이 갔다. 한국과학문화진흥회에서 주관하고 과학기술과 국가안보를 주제로 일산 킨텍스에 전시되고 있는 '노벨 사이언스 국가 안보 체험전'을 관람하고 왔다.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 체험전 : 2010년 12월10일 ~ 2011년 2월13일, 경기도 일산킨텍스 전시장 과학과 국방의 밀접한 관계를 알 수 있는 이번 노벨 사이언스 국가 안보 체험전, 지금부터 그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보자! 체험장은 8가지테마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 체험장마다 안내해주는 언니 오빠들의 자세한 설명이 있어서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설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