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업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신청·접수 : 7월 26일(화)~9월 16일(금) □ 양질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 독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2022년 제2차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제’ 사업을 7월 26일(화)에 공고한다. 사업 신청 기간은 7월 26일(화)부터 9월 16일(금)까지로, 진로체험망 ‘꿈길’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사업’은 양질의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교육기부 방식(무료)으로 운영하는 기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016년 시작하여 현재 2,290개의 인증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번 2022년 제2차 사업 선정에서는 첨단 신산업 분야의 진로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

◈ 건축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안내 ◈ 사전기획에 대한 이해 확대, 실제 사례 소개를 통한 관심과 참여 유도 ◈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을 통해 활발한 소통의 장 마련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17개 시도교육청은 합동으로, 건축사 등 건축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여「2021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설명회」를 4월 21일(수) 13시 30분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문화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올해 4월 8일(목)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가 체결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협력을 위한 건축 분야 업무 협약’ 후속 조치의 하나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및 사전기획의 추진 과정과 절차, 기대효과 등에 대해 실제 사..

◈ 평가결과 ①단국대-한국마이크로소프트-네이버 컨소시엄(스마트시티 분야) ②현대엔지비-현대자동차 컨소시엄(지능형자동차 분야)선정 ◈ 선정된 컨소시엄은 해당 분야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직무능력평가인증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윤여각)은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인증과정 매치업*(Match業)」 사업(이하 매치업) 신규 운영기관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매치업 사업은 4차 산업혁명 분야 대표기업과 교육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온라인 기반 교육과정 및 직무능력평가인증모델을 개발·운영 하는 것으로 201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번 2020년 매치업 사업 신규 운영기관(대표기업 및 교육기관 컨소시엄) 선정에는 7개* 분야 10개의 컨소시엄이 신청하였다. 평가는 각 컨소시엄에..

2020년 매치업(Match業) 사업 기본 계획 발표 ◈ 대학생, 재직·구직자 등을 위한 4차 산업혁명 분야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 ◈ 현장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대표기업과 교육기관 연합체 형태로 운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윤여각)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인증과정 매치업(Match業)(이하 매치업)」 사업 기본계획을 3월 12일(목)에 발표한다. 매치업은 대학생, 재직·구직자 등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분야 교육과정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단기간에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으로, 2018년부터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매치업 운영을 위한 대표기업 및 교육기관은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선정된 분야별 대표기업 및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다. < 운영분야별..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추가선정평가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6. 18.(화)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추가선정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추가선정평가는 대입전형에 대해 이해가 높은 대학 및 고교·교육청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공정하게 실시하였으며, 사업총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추가지원대학 11개교를 선정했습니다. 추가선정평가는 중간평가에서 지원중단이 확정된 대학과 신규 신청대학 등 26개교를 대상으로, 2019년 사업계획과 대입전형시행계획('20~'21학년도)을 중심으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이번 평가는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공정성 관련 4개 지표를 새롭게 반영했습니다. 대학별 지원금은 대학 ..

풀뿌리 교육자치 사업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학생 등을 위한 사업입니다. 2019년 6월 10일 월요일 "김제동 주려던 강연료 1550만원은 교육부의 '눈먼 돈' 교육 예산 늘자…지자체에 4개월내 쓰라며 1년치 돈 보내"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풀뿌리 교육자치 협력체계 구축 지원사업은 지자체 단위에서 추진되어 온 혁신교육지구처럼 교육청과 지자체의 교육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추진되어왔습니다. ◦(지원예산) '19년 45억('18년 30억) 특별교부금 국가시책사업 ◦(지원규모) 22개 지역('18년 18개, '19년 4개 추가) ◦(사업분야) ① 거버넌스 구축 분야, ② 교육사업 협력 분야 ◦(지원절차) 시군구와 교육청이 컨소시엄 구성, 공모에 지원하면 평가(서면, 대면)를 거쳐..

'19년 대학연구기반구축 이공학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신형식)은 2019년 5월 30일,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사업'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대상자 선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두 연구지원사업은 교육부가 대학의 이공학 학술연구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역점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며, 특히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사업은 2018년 시범사업을 거쳐 올 해부터 본격 추진하는 것입니다. 올해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사업을 통해 20개의 핵심연구지원센터가 19개 대학에 조성되며, 이공분야 대학부설연구소 22개소가 대학중점연구소로 신규 지정됨에 따라 총 92개의 대학중점연구소가 대학 내 이공학 학술연구의 거점으..

대학 내 인문학 연구 거점으로 HK(인문한국) 연구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9년 5월 27일 월요일 매일경제에서 보도된 '"정부지원 곧 끝나는데" 대학 애물단지 된 HK사업'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우리부는 대학 내 인문학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세계적 수준의 인문학 연구 성과 창출을 위해 '07년부터 인문한국 사업(HK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문한국 사업(HK사업)은 인문학 연구자에게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대학이 HK교수를 정년트랙으로 임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대학과 연구과제 협약을 체결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HK연구소가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10년 동안은 정부가 HK교수의 인건비를 지원하고, 정부 지원 종료 이후에는 대학이 이를 부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