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마트폰 (43)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학교 생활을 도와주는 착한 애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안의 학교, 아이엠스쿨 교육 애플리케이션 I 스마트폰 I 학교홈페이지 I 교육정보여러분은 학교 홈페이지 자주 방문하시나요? 우리 학교는 전교생이 약 1,500명인데요, 하루 평균 약 350명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홈페이지 방문자 집계는 중복될 수 있기 때문에 방문자 수는 이보다 훨씬 낮습니다. 많은 학생은 학교 홈페이지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부분 친구는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려면 여러 번 검색해야 해서 불편해요”, “저한테 필요한 정보가 없어서요.” 라고 합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학교 홈페이지에 업데이트되는 정보와 학업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모아놓은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하려 합니다. 바로 ‘아이엠스쿨’입니다. 아이엠스쿨은 카이스트..
전자책과 함께 떠나는 독서여행 내 스마트폰에 도서관 하나 세워 볼까요? 스마트폰 I 전자도서관 I 서울시교육청전자도서관 I 공공도서관 I 전자책 예전에는 지하철을 타면 책을 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습니다. 저는 책을 가까이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나라가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는 모습이 안타까웠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몇몇 분들이 전자책으로 된 성경이나 서적을 읽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지난 4월 23일은 유네스코에서 세계인의 독서증진을 위해 마련한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이었습니다. 세계는 발 빠르게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이동 중이라고 하는데요, 저는 우연히 알게 된 서울시교육청 전자도서관 서비스를 통해 전자책,..
스마트폰에 찍기만 하고 내버려뒀던 사진들을 골라서 가족앨범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스마트폰을 배우러 간 엄마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I 따끈따끈 역기능 예방 I 스마트폰으로 통통 I 가족 대화방 스마트폰 어떻게 사용하십니까? 저는 전화기와 인터넷, 카메라 기능을 가장 많이 이용합니다. 필요한 앱이 있으면 선사용자인 아들에게 물어보고 설치하곤 합니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 중독 예방이나 선(善)활용에 대해 의견을 내놓기 민망했습니다. 컴퓨터 활용을 공부하듯 스마트폰 활용 교육도 절실하다 느끼던 차에 경남도교육청 학부모 지원센터에서 3회기 6시간의 프로그램이 있어 신청했습니다. 활용 실습과 함께 토론하는 형식의 수업이라 먼저 기종과 숙달 정도를 물어보셨습니다.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비슷한 수준의 16명의 학부모가..
정부 3.0 시대! 자녀의 적성검사 결과, 스마트폰에서 확인한다! - 카카오톡, 라인, 마이피플 등 스마트폰 앱을 통해 결과 열람 가능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지향하는 정부3.0 기조에 따라 중고생 학부모들이 자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카오톡 등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녀가 실시한 직업적성검사 등의 결과표를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검사종류는 커리어넷(www.career.go.kr)에서 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직업가치관검사 등 총 4종이 제공됩니다. 커리어넷의 심리검사는 이미 PC버전을 통해 연간 294만 여 건이 실시되고 있으나 그 결과를 ..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삶 속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사람들의 즉각적인 반응이 표현되는 SNS가 등장하고,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면서 과거 PC가 담당하던 많은 부분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대신하고 있습니다. 교육현장도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고, ‘스마트 러닝’이라는 신조어도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의 하나로 최근 모바일 학교 앱이 개발되어 스마트폰을 통하여 가정과 학교가 소통할 수 있게 변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옥산초등학교에서는 2013년도 2학기부터 모바일 학교 앱을 활용하게 되어 2학기 학교 설명회와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님께 모바일 학교 앱 관련 내용을 안내하였습니다. 설명회에 참여한 학부모..
폭력이란 사람에게 신체적 상해를 주거나 정신적,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인간의 공격적인 행위의 한 형태로 정의합니다. 폭력은 다면적이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매우 양면가치적인 현상이라는 특징을 지닙니다. 일견 어려워 보이는 단어이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단어가 바로 이 폭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넌 너무 폭력적이야.”“언어폭력도 폭력이에요.”“꼭 때려야만 폭력은 아닙니다.” 어느 순간부터 이 폭력이라는 단어는 우리 아이들에게도 친숙한 단어가 되었습니다. 최근 사이버 공간은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로 확장되었습니다. 더욱 접근하기 쉬워진 사이버 공간에서 이러한 폭력은 더욱 큰 문제입니다. 교실에서도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이버폭력이 암암리에 퍼져 나가고 있는데요. 이 문제..
학교폭력 신고·상담, 이제 '스마트폰'으로! - 학교폭력예방 종합포털사이트 '스톱불링' 모바일 웹사이트, 페이스북 오픈 - - 익명신고 및 일대일 채팅 상담 등 쉽고 빠른 온라인 신고․상담 창구 마련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학교폭력 예방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스톱불링’ 모바일 웹사이트(m.stopbullying.or.kr)와 페이스북(www.facebook.com/stopbullyingmoe)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학교폭력예방 종합 포털사이트 ‘스톱불링(stopbullying)’은 학교폭력 피해신고 절차를 소개하고 정부의 학교폭력 대책 및 관련 사업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해왔습니다. 이번에 개편된 ‘스톱불링’은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
이러닝(e-Learning)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컴퓨터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시스템이나 도구, 학습방법,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IT산업의 선진국으로 올해 8회째 맞는 이러닝 박람회를 개최했습니다. 2013년 이러닝 코리아(e-Learning Korea 2013)는 “Click! Open a Creative with e-Learning – 창의적이고 열린 세계로 나가는 이러닝)” 주제로 9월 3일(화)부터 5일(목)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프로그램으로는 이러닝 국제 박람회,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와 개막식을 비롯한 기타 다양한 부대행사 및 연계행사가 마련되었는데 저는 이러닝 국제박람회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행사는 이러닝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세계 각국의 교육정책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