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신기술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2022년 예산 기준 총 1,045억 원 지원, 최대 6년(3+3) 지원 □ 전문대학의 산학연협력 기반 강화 및 신산업·신기술 분야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 □ 공유․협업 체계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산학연협력 혁신 생태계 구축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이하 ‘전문대 링크 3.0’) 선정 대학을 5월 4일(수) 발표한다. 전문대 링크 3.0은 1·2단계 링크 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전문대학과 산업계가 상생 발전하는 산학연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대학 산학연협력 종합 지원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기본계획 발표 및 사업 공고(2022.1.13.)를 통해 3월 3일(목)까지 사업계..

□ 2022년 예산 기준 총 3,025억 원, 최대 6년 지원(3+3) □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해 산업계 수요 기반 신기술․신산업 인재 집중 양성 □ 공유․협업 체계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산학연협력 혁신 생태계 구축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4월 28일(목)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일반대 링크 3.0) 선정 대학을 발표한다. 일반대 링크 3.0은 1~2단계 링크 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대학과 산업계가 상생 발전하는 산학연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는 대학 산학연협력 종합 지원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1월 13일(목) 기본계획 발표 및 사업 공고 이후, 3월 3일(목)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았으며, ..

□ 신기술·신산업 분야 맞춤형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 및 인증평가 실시 □ 빅데이터 등 기존 12개 분야 외 4개 분야 추가 선정, 분야별 최대 3.2억 원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은 「산업맞춤 단기직무능력인증과정(이하 매치업)」 사업 기본계획을 1월 21일(금) 발표한다. * 매치업(Match業) : 신산업분야 대표기업과 교육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구직자·재직자 등 성인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으로 첨단 분야 현장 실무인재 양성 매치업 사업은 2018년에 시범으로 출발하여, 2021년 한 해 학습자가 지난해 대비 1.5배 늘어나는 등(2020년 1.7만 명 → 2021년 2.5만 명) 우수한 기관의 참여와 질 높은 교육과정 운영을 ..

"신산업분야에 관심 있는데.." "전망이 밝으면서 특별한 걸 배우는 학과는 없을까..?" 이런 생각해본 분들 많으시죠?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이런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첨단 신기술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의 학과들! 스마트팜, 미래자동차, 차세대 반도체? 듣기만 해도 어디에 이런 과들이 있는지, 도대체 무엇을 배우는지 궁금한 분들은 지금 바로 영상 시청해주세요! #진로 #신산업분야 #학과 #스마트팜 #차세대 #반도체 #첨단 #신기술 #혁신신약 #미래자동차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한국판뉴딜 1. 대림대학교 스마트팩토리학부 반도체장비전공 ✔ 반도체 제조사에 필요한 반도체 장비 기술의 전문가 양성을 목표 ✔ 반도체 제조공정, ..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어요. 따라서 인공지능, 빅데이터,차세대 반도체, 미래 자동차와 같은 사업들도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공지능 스피커들도 보급화되었으며 호텔과 식당에서 서빙 로봇과 안내 로봇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어요. 아쉽게도, 신기술이 빠르게 발전됨에 따라 신기술 인재양성 필요성이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수준에서 신기술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력들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2026년까지 신기술 핵심기술 양성을 위한 사업으로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 계획을 발표했답니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의 이름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신다고요? 이제부터 하나하나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 우선,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Q&A로 함께..

혁신공유대학 체계 구축을 통해 신기술분야 인재 10만 명을 2026년까지 양성합니다. 지역 간 대학 간 교육격차 해소로 국가 수준의 첨단 분야 인재을 양성합니다. ▶자세히보기 : #교육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혁신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하여 신기술 인재를 양성합니다. (학생) 희망학생 누구나 참여기회 제공 ◀ (대학) 공유대학 체계 구축 및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산업체)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충원 ↑ 디지털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21~'26)- 지역·대학 간 교육격차 해소- 국가 수준의 첨단분야 인재양성 체계 구축 8개 신기술 분야부터 우선 지원합니다. ※ 1~3개 컨소시엄 선정, 832억 원(2021년 지원) (BIG3) ①차세대 반도체 ②미래자동차 ③바이오헬스 (탄소중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