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인슈타인 (18)
교육부 공식 블로그
꿀벌이 사라지면인류도 사라진다? 인간에게 꿀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생태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꿀벌.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사라져 가는 꿀벌에 대한 이야기, 카드뉴스로 만나보시죠.
인터스텔라에감춰진 비밀?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시간은 상대적이다현대의 과학 기술로 어느 정도의 우주 탐사가 가능할까요? 영화 ‘인터스텔라’는 인간의 잘못으로 인해 황폐해진 지구를 대신하여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새로운 행성을 탐사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입니다. 주인공 쿠퍼는 전직 NASA 조종사로 탐험 정신이 매우 투철한 사람입니다. 그는 해체된 NASA가 비밀리에 연구하고 있었던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새로운 행성을 찾는 임무를 맡게 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가족과 이별하고 우주 탐사를 떠나게 됩니다. 이 영화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킵 손(Kip Thorne, 1940~)이 참여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과학 이론에 근거하여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공상 과학 영화와 같이 터무니없는 것이 아니..
벌집군집붕괴현상 ■ 벌집군집붕괴현상알버트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도 4년 내에 사라질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지난 2006년 11월 미국 플로리다 주에서 처음으로 꿀벌 실종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벌집 수가 적게는 30%, 많게는 90%까지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벌집군집붕괴현상(CCD)이라고 불리는데, 일을 하러 나간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해 여왕벌과 새끼 벌까지 집단적으로 죽는 현상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꿀벌이 사라지는 미스터리한 일이죠. 이후 미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에서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고 우리나라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 사라진 꿀벌들(출처: 에듀넷) 꿀벌은 양봉 농가에 꿀을 가져와 소득을 주기도 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막중한 임무를 가지고 있는데, 바로 식물을 수..
천문학자가 들려주는 ‘중력파 이야기’ 올해는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발표한지 꼭 100년이 되는 해랍니다. 그래서인지 과학의 달을 맞이하는 과천과학관은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로 4월 한달이 가득 채워져 있었는데요. 지난 3월 28일 토요일 과천과학관에서 ‘천문학자가 들려주는 우주이야기’ 강연이 있어 다녀왔습니다. 이번 강연은 여성 천체물리학자인 김정리 박사와 함께 ‘중력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2013년 부터 매달 한번씩 천문학 특강이 있어 자주 방문했었는데 올해는 과학관 옥외전시장 및 스포츠 시설이 과학관 개관 시간(9:30~17:30)에 맞춰 무료로 개방되어 과학관전시장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천체투영관으로 갈수 있었습니다. 과학관의 모든 행사는 사전 인터넷 예약으로 이름만 확인하고 바로 ..
‘광속’이란 빛이 나아가는 속도를 말합니다. 빛은 얼마나 빠를까요? 초당 약 30만 km를 나아가는 빛의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우리 몸으로 직접 느낄 수는 없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속도 중에 가장 빠르지요. 1초에 지구를 일곱 바퀴 반이나 돌 수 있으니까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선 안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느려진다.’고 했습니다. 이 말을 다르게 표현하면 빛의 속도와 가깝게 빠르게 움직이는 우주선을 타고 우주여행을 간다면 시간이 천천히 흐르게 되어 느리게 늙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것을 다른 말로 ‘시간 지연 효과’라고 합니다. 시간 지연 효과를 설명해 주는 상황이 있는데 그 예가 ‘쌍둥이 역설’이라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상상하여 볼까요? 부모도 ..
'수학'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상당수의 학생이 수학을 '힘들고 재미없는 과목'이라고 생각한다는데요, 사실 저도 그렇습니다. 수학이 제일 재미있는 과목이거나 가장 자신 있는 과목이라고 말하는 친구들이 부럽기도 합니다. 수학을 영원히 멀리하고 싶어도 기초과학의 하나이며 주요 교과목이라 그럴 수도 없고, 친해지고 싶은데 너무 멀리 있다고 느껴지는 분.. 수학을 만지고 느끼고 생각하면서 수학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가보고 싶지 않으세요?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이 열리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얼른 다녀왔습니다. '위대한 수학자들과의 만남', '고대 수의 세계', '체험수학', '입체도형', '퍼즐/테셀레이션', '생활 속의 수학' 등 총 5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수학을 ..
"모든 것에는 주기가 있다! 인기만을 쫒지 마라""학문도 30년의 주기 있어, 자기 길을 가야~" '과학자 릴레이 인터뷰' 1. 최승진 교수편 최승진현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디믹싱이 머신러닝의 핵심 기술로 진화됨에 따라 주가 상승빅 데이타와 머신러닝의 상호 연관성으로 다시 주목 받음뇌파의 전기적 신호와 디믹싱의 연관성으로 전 세계 학계 주목일본 이화학 연구소 (독립 요소 분석) “앞으로는 사람을 대체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궁극적으로는 모든 컴퓨터 기술이 인간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궁극의 기술은 인류 최후의 영역인 뇌로 갈 수밖에 없는데 이 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키워드가 머신 러닝(자신의 동작을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슈퍼 컴퓨터의 능력)입니다.” 최승진 교수와의 만남은 조금 ..
많은 사람이 학창시절 과학을 공부하며 느낀 어려움 때문에 ‘과학은 어렵다’, ‘입시를 위해 공부하지만 나와는 상관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는 과학을 일반 사람과는 다른 특별한 사람, 천재적인 사람만이 하는 분야라고 여긴다. 여기서 떠오르는 천재적인 과학자 로 대표적인 인물이 뉴턴과 아인슈타인일 것이다. 과연 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우연히 만유인력을 발견하고, 아인슈타인이 낙제에 가 까운 성적에도 불구하고 상대성이론을 개발할 수 있었던 배경이 순간적인 영감과 남다른 천재성 때문일까? 평소 과학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는 사람일지라도 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며 순 간 적인 영감으로 과학역사에 길이 남을 만유인력을 발견하고, 낙제에 가까울 정도로 성적이 나빴던 아인슈타인이 남다른 천재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