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간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나우미래+] 첫 번째 이야기는 #박종화 위원과 함께합니다. '나우미래+'는 '나우미래'의 후속 영상 시리즈로, 본편에서 큰 관심을 받은 위원들의 못다 한 이야기와 비하인드 스토리, 교사 위원과 학생 위원의 토크, 그리고 비슷한 분야별 위원들의 토크 등으로 구성됩니다. 먼저, '나우미래+' 1편은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받은 위원들의 못다 한 이야기,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은 나우미래 BEST 입니다. #나우미래 영상 중 높은 조회수를 자랑하는 유니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박종화님! 게놈에 따른 맞춤 의학 이야기, 자신만의 철학을 가질 수 있었던 인생 이야기 등 박종화님이 들려주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공개합니다. 본편에서 미처 담지 못했던 게놈의 미래와 진솔한 고백을 통해 여러분의 삶을 고민해보세..
지진으로 인한인간의 삶의 변화 ■ 강력한 자연 재해, 지진지진은 핵폭탄보다도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연 재해입니다. 지진이 일어날 곳과 세기를 미리 알 수 있다면 피해를 줄일 수도 있겠지만 현대 과학 기술로도 지진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다고 해요. 2015년 4월 25일 네팔에서 발생한 규모(magnitude) 7.8의 지진으로 수 천명의 피해자가 발생하였다는 뉴스를 본 적 있죠? 이 밖에도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주요 지진 사례를 보면 지진이 한 나라를 송두리째 흔들 수 있는 위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은 세계적으로 여러 국가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데요. 큰 피해를 입힌 지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 세계 주요 지진들 중에 우리에게 큰 충격을 준 것은 ..
인간의 사회화 ■ 사회적 존재인 인간인간은 사회적 존재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 의미는 인간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삶을 통해서 사회적 존재로 성장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서 살 수 없듯이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사람들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해야만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럼 사회화는 무엇일까요? 사회화란 인간이 태어나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 사회적 역할, 규범,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사회 구성원이 되는 데 필요한 언어와 행동 양식을 배우고 그 사회에서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들이 무엇인지 배우게 되는데 이것이 곧 사회화인 것입니다. 이러한 사회화는 평생에 걸쳐 ..
여러분은 ‘인문학(humanities)’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필자는 ‘사람’ 그리고 ‘인간’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답니다. 인문학은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나의 삶에 그리고 우리의 삶에 스며들 때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 같습니다. 요즘 저는 문학작품을 읽으면서 인문학이 매력적임을 느끼고 있는데요. 작품 속 인물을 통해 그 시대를 간접으로 경험하고,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나’를 돌아보게 되며, 또 앞으로 더 나은 내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조금씩 발견하는 과정이 즐겁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문학의 위기’라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왔습니다. 그러나 요즘 일고 있는 인문학의 붐은 아무래도 심상치 않습니다. 최근 현대인들은 왜 인문학을 찾고 있을까요? 학생부터 ..
이 지구상에서 우리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은 누구일까? 유전자만 비교한다면 단연코 침팬지이다. 인간과 침팬지는 유전자의 거의 99%를 공유하는 정말 가까운 사촌이다. 그러나 침팬지도 공동체 생활을 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왕이 통치하는 나라를 세우는 것도 아니고 도시를 건설하는 것도 아니다.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기르지도 않는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일에 종사하는 이른바 분업제도를 개발한 것도 아니다. 대규모의 전쟁을 일으키거나 대량학살의 만행을 저지르는 것도 아니며 전쟁에서 납치한 포로들을 노예로 만들어 부려먹지도 않는다. 그런데 거짓말처럼 이 모든 일들이 개미사회에서는 다 벌어진다. 이처럼 개미는 외모로 보면 물론 우리와 엄청나게 다른 동물이지만, 사회 구조와 하는 짓으로 ..
▲ 수면은 상해 위험 부담을 줄여주고 생존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Baby Sleep by fofurasfelinas 고양이, 새, 거북이, 인간. 이 생물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잠을 잔다는 것이다. 인간은 하루에 평균 7시간 동안 잠을 자야 건강할 수 있다고 한다. 결국 우리는 일생 중 3분의 1이나 되는 긴 시간 동안 잠을 자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수면학자들은 왜 우리가 잠을 자는지에 대해 알지 못한다. 수면의 기능은 아직 풀리지 않은 과학의 미스테리 중 하나이다. 여러 가지 연구에 따르면 생물이 잠을 자는 이유는 뇌의 기능 유지나 기억의 재정비, 깨어 있는 동안 발생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는 가설들이 있다. 얼마 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