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문학 (63)
교육부 공식 블로그

제7회 세계인문학공개토론회(포럼), 11.8.(수)부터 11.10.(금)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 인문학적 관점에서 관계의 문제 고민, 소통·공존·공감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모색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가 공동 주최하며,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이 주관하고, 유네스코에서 후원하는 제7회 세계인문학공개토론회(포럼)가 11월 8일(수)부터 11월 10일(금)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2011년부터 개최된 세계인문학공개토론회(포럼)는 다양한 문화권의 인문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여 인문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인문학계 간 지속적인 지적 교류·협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공개토론회(포럼)는 ‘관계의 인문학 : 소통·공존·공..

‘인문학, 인류의 미래를 상상하다’ 주제로 인문주간 개최, 10.30.(월)부터 11.5.(일)까지 전국 49개 인문학 관련 기관에서 열려 인문학적 가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행사, 강연, 전시 등 다채로운 행사 마련, 국민의 인문학 가치 인식 향상 및 인문학 성과 향유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10월 30일(월)부터 11월 5일(일)까지를 「제18회 인문주간」으로 지정하고, 전국 49개 인문학 관련 기관과 함께 강연, 체험, 전시 및 공연 등 280여 개 행사를 개최한다. 인문주간 행사는 국민의 인문학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전국 인문학 축제로, 2006년부터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개최되고 있다. 이번 인문주간은 ‘인문학, 인류의 ..

제8회 한‧중인문학포럼 개최 □ 2015년부터 양국 인문학자 간 학술교류의 장 마련 □ 문학, 역사, 철학, 언어 등 다양한 인문학 분야에 대한 논의‧토론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중국사회과학원*과 함께 ‘미래사회와 인문학’을 주제로 9월 22일(목)~23일(금), ‘제8회 한·중인문학포럼’을 개최한다. * 중국 국무원 직속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전반을 연구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정책자문 및 연구기관 ‘한중인문학포럼’은 2013년 한국-중국이 인문 유대강화를 위해 공동 채택한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 따라 2015년부터 매년 양국에서 번갈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1회~제7회 한중인문학포럼 개최 현황 ☞ 【붙..

□ 우수학술도서 300종 선정, 8만여 권 전국대학 도서관에 배포 □ 기초학문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와 대한민국학술원(회장 이장무)은 2022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결과를 7월 19일(화) 발표한다. ‘우수학술도서사업’은 기초학문 분야의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하여 대학에 보급함으로써 우수 연구 성과를 공유ㆍ확산하고, 기초학문 분야의 연구와 저술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2002년도부터 추진해온 사업이다. 올해 사업에는 총 3,003종의 국내 초판 학술도서(발행일 2021.3.~2022.2. 기준)가 신청·접수되었으며, 이 가운데 총 300종*을 2022년 우수학술도서로 선정했다. * 인문학 67종, 사회과학 110종, 한국학 40종, 자연과학 83종 ..

◈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심의회를 통해 5개년 계획 심의·확정 ◈ 인문 진흥 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교육부-문체부 적극 협업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심의회(이하 ‘인문진흥심의회’)를 12월 21일(화)에 개최하여, ‘제2차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하였다.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은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5개년 기본계획으로서, 향후 5년간(2022~2026)의 인문정책 방향을 담고 있다. ※ 교육부에서 인문학 진흥계획을, 문체부에서 인문정신문화 진흥계획을 수립 ☞ 두 계획을 합쳐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

추운 겨울, 여러분들을 따뜻하게 만드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가을을 넘어 겨울에도 이어지는 독서, 따뜻한 차 한잔 등 다양한 것들이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만들어줄 수 있겠습니다. 저에게는 다양한 인문학 강의가 추운 겨울을 나게 해주는 난로 같은 존재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전 세계 많은 학자와 유명인들의 강의를 듣고 싶다고 해도 코로나19로 인한 상황, 그리고 관련된 콘텐츠가 부족하여 많이 접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2018 인문정신문화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는 인문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68.4%로, 우리 사회에는 인문학이 필요하고 그것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 교육부에서는 인문정신문화 진흥 시행계획을 세우고, 온라인으로 인문학 축제를..

◈ 교육부, 제16회 인문주간(10월 25일(월)~10월 31일(일)) 선포 ◈ 전국 33개 기관에서 온라인 강연·전시 등 다채로운 인문행사 개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10월 25일(월)부터 10월 31일(일)까지를 「제16회 인문주간」으로 선포하고, 전국 33개 기관*에서 인문학과 관련된 토론회, 강연, 대담, 답사, 전시, 공연 등 230여 개의 다채로운 인문학 행사를 개최한다. * 인문도시 사업단(12개), 인문한국/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21개) 2006년부터 시작한 인문주간(Humanities Week)은 매년 가을 무렵 한 주를 지정하고, 시민들에게 인문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문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이바지해 온 전국..

◈서경호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명예교수 위촉 ◈ 9월 중 제1차 회의 개최, 제2차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기본계획 수립 등 추진 예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제3기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심의회(이하 ’인문진흥심의회‘)’를 구성했다. 인문진흥심의회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구성되며 인문학․인문정신문화 진흥에 주요 사항을 총괄적으로 심의·의결하는 위원회이다. 제3회 인문진흥심의회는 교육부장관과 문체부장관이 공동으로 지명한 서경호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명예교수를 위원장으로 위촉하고, 그 외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관련 전문성을 가진 민간위원 10명 및 당연직 위원 9명 등 총 20명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