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역사회 (2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초·중등교육법」 내 다문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법적근거 최초 마련 국가 및 지자체, 다문화 학생을 위해 필요한 시책을 반드시 수립해야 한국어교육 등 맞춤형 특별학급 설치 및 경비·인력 지원 법적 보장 지역 다문화 교육지원센터 설치하여 대학, 기업 등 지역사회가 함께 인재양성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0월 6일(금), 국회 본회의에서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9월 26일(화)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주배경학생 인재양성 지원방안(2023~2027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법률 개정으로 앞으로 더 안정적이고 강화된 다문화 교육정책 추진 여건을 갖추게 되었으며, 「초·중등교육법」 내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근거가 ..

2022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확산 토론회(포럼) 개최 전문대학의 교육, 산학협력 등 영역별 우수 혁신성과 사례 44건을 공유·확산하고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 강화 지원 주제발표와 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전문대학과 고등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대학주도의 혁신 원동력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2022 전문대학 혁신사업 성과확산 토론회(포럼)’를 1월 17일(화)부터 1월 18일(수)까지 호텔인터불고 대구에서 개최한다. 이번 성과확산 토론회(포럼)는 각 전문대학의 2022년 혁신지원사업 운영 성과(교육혁신, 산학협력 혁신, 기타 혁신)를 공유·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은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창의적 현장실무인재 양성을 목표..

안녕하세요, 누리울림입니다. 어느덧 12월입니다. 여러분께서는 12월 하면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새로운 시작’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는데요. 다가오는 한해를 맞이하는 목표도 세우며 새로운 시작을 할 생각에 설레는데요. 오늘 준비한 콘텐츠의 주제도 ‘새로운 시작’과 관련이 깊습니다.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HiVE 사업’이 지역사회와 전문대학이 힘을 합쳐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와 함께 살펴볼까요?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이란? 우선, 오늘의 주제인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iVE는 벌집, 중심지를 의미합니다. 벌은 벌집을 중심으로 주변 생태계와 상생하지요. 벌이 꽃 사이를 오가며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는 사실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즉..

□ 전문대학-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연계를 통해 입학에서부터 교육-취업-계속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 □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에 선정된 30개 연합체(컨소시엄)에 2022년 기준 총 국비 405억 원 지원, 3년간 사업 추진 교육부는 9월 29일(목), 대구보건대학교에서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 출범식을 개최한다. ※ H i V E(중심지) : Higher Vocational Education hub district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는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내 특화 분야*를 선정하고,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등 전문대학이 지역 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 지역 일자리 창출 ..

소통·공감·체험 중심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운영 □ 교육공동체 대상으로 릴레이토론, 참여연극‧강연회,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를 활용한 예방교육 등 연말까지 다양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지속 운영 □ 학생들의 소통‧공감 능력 및 학교폭력 대처 역량 함양, 학교폭력 이해 제고, 지역사회·학교에 학교폭력예방 문화 확산 기대 교육부는 학생들의 소통‧공감 역량을 기르고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학교폭력 대처 방법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연말까지 운영한다. 시도교육청, 민간단체와 함께 ① 지역으로 찾아가는 소통‧공감 릴레이토론, ② 학교로 찾아가는 참여연극‧강연회 ③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를 활용한 체험형 사이버폭력 예방활동 등을 추진한다. [지역으로 찾아가는 교육공동체 소통․..

□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를 주제로 학교시설 복합화 대안 모색을 위한 공개토론회 개최 □ 학교시설 복합화에 따른 다양한 쟁점(이슈)을 공론화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새 정부 국정운영 방향에 맞춰 변화 방향성 제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는 국회 안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오산)과 김병욱 의원(국민의 힘, 경북 포항시남구울릉군) 및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와 함께 제184차 한국교육개발원(KEDI) 교육정책토론회(포럼) 겸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 토론회’를 7월 26일(화)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를 주제로 그동안 추진해 온 학교시설복합화 사업의 여러 가지 ..

□ 올해 30개 연합체(컨소시엄, 기초자치단체+전문대학) 선정, 총 국비 405억 원 지원 □ 교육부-행정안전부-산업통상자원부 협업으로 전문대학 입학-교육-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 유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 기본계획을 3월 23일(수),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한다. 사업을 통해 전문대학이 기초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 내 특화분야*를 선정하고, 교육체계를 연계·개편하는 등 지역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 지역일자리 창출 및 경쟁력 강화에 중심적 역할을 하거나 지역의 발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분야 올해 선정된 30개 연합체(컨소시엄, 전문대학+기초자치단체)에는 연합체당 15억 ..

□ 코로나19 대응 검역·방역 절차 사전 안내를 통한 안전한 입국 지원 □ 예방접종 완료 후 입국 강력 권고 및 자가격리 해제 즉시 미접종자 접종 지원 □ 정부-대학-지자체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감염병 확산 방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코로나19의 지속 및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2022학년도 외국인 유학생 보호·관리 방안을 추진한다.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모든 입국 유학생에게 특별입국절차를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강화된 해외 입국자 관리 조치를 통해 유학생 건강 보호, 안정적 학사운영 및 지역사회 감염 유입을 차단할 계획이다. 해외 입국자 관리 강화 조치에 따른 입국과정 전반(입국, 이동, 격리)에대한 검역·방역 준수사항을 사전에 충분히 안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