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역사회 (25)
교육부 공식 블로그

◈ 평생학습도시 신규 지정 6개, 특성화 지원 15개 등 총 21개 평생학습도시에 총 10억 원의 평생학습사업 운영경비 지원 ◈ 평생학습도시-시도평생교육진흥원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유형을 신설하여 지자체와의 다층적인 협력 유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은 ‘2021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심사 결과, 평생학습도시(6개)를 신규로 선정하고, 평생학습도시 특성화(15개 평생학습도시, 4개 시도)를 지원한다고 발표하였다. ‣ 신규 평생학습도시 지정 ‣ 기존 평생학습도시 대상 특성화 지원 - (유형1) 지역 자원(대학, 평생교육시설 등 물적-인적 인프라) 연계 강화 - (유형2) 평생학습도시의 지역특화 프로그램 운영..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있는 지금,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 문을 닫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982년부터 시행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폐교의 수는 더욱 증가하였는데요. 이제는 수도권 내 학교들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문을 닫은 학교 시설들은 모두 어떻게 되는 걸까요?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다들 궁금하지 않나요? 이번 시간은 폐교시설을 교육, 체험, 문화시설로 재활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교육적,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협력적인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한 몇 가지 사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폐교시설의 정의 폐교란, 운영이 폐지된 학교를 의미합니다. 현재 취학아동 수의 감소로 문을 닫는 학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요. 폐교의 시설은..

지역사회 활력 제고를 위해 5개 부처가 함께 노력한다 ◈ 지역 활성화 정책연계를 위한 5개 부처 업무협약 체결 ◈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지역 여건에 맞는 맞춤형 정책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이하 행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이하 복지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지역사회 중심의 정책연계를 위한 업무협약(서면)을 3월 25일(수) 체결했다. 이는 행안부, 복지부, 국토부가 먼저 체결한 업무협약*에 교육부와 농식품부가 추가로 참여하여 협력 사업의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 지역사회 중심의 자치·돌봄·재생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2018년 9월) 5개 부처는 이번 업무협약에서 ▲부처 간 사업 연계 ..

◈ 전국 초중고교 대상의 공모전으로 학교협동조합 우수사례 발굴과 공유 ◈ 지역사회 대상 문구‧도서 판매 등 다양한 운영모델 확보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윤여각)은 ‘제1회 학교협동조합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사회공헌과 참신한 방법으로 학교협동조합을 내실 있게 운영한 5개 학교의 우수 사례를 선정하였다. ‘학교협동조합’이란, 학교를 기반으로 공통의 경제‧사회‧문화‧교육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학생, 교직원, 학부모, 지역주민 등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협동조합기본법 상의 조직을 말한다. 2013년 영림중학교(서울 구로구) 학부모, 교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처음으로 학교협동조합을 설립한 이래로, 현재 전국 100여 개 학교에서 설치‧운영하고 있다. 학교협동조합은 방과..

초등돌봄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돌봄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2020년 1월 17일 금요일 서울경제(김희원 기자)에서 보도된 '"초등돌봄 온종일" 외친정부, 저녁은 외면'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온종일 돌봄 정책(’18.4.4)에 따라 ‘22년까지 돌봄이 필요한 53만명에게 돌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을 통해 돌봄 시설을 확충해 나가고 있습니다. * 학교 및 마을돌봄 공급계획 : ’17년 33만명 → ’22년 53만명(초등돌봄교실 31만명) 초등돌봄교실은 학교‧지역 여건과 학부모 수요 등을 고려하여 단위학교별 탄력적으로 대상 확대(초등 1,2학년 위주 → 전 학년) 및 운영시간을 연장(저녁돌봄 활용)하여 운영하고 있..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교육으로 체감하는 정부혁신! 정부혁신 추진 2년 차를 맞이하여 “보다 나은 정부”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교육기관의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하고 확산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5:1의 경쟁률을 뚫고 온 이번 대회는 교육기관 내에서 선발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한 팀은 범정부 『정부혁신 경진대회』에서도 발표를 하게 되는데, 과연 어떤 팀이 선발이 될지 굉장히 기대가 많이 되었습니다. 저는 이번 기사를 작성해야 하기도 했지만, 국민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여한 만큼 색다른 경험이었습니다. 이번 경진대회, 어떻게 진행되었나? 교육부 주최․주관의 『교육기관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전국 시․도 교육청과 국립대학에서 추진하는 정부혁신 우수사례를 1차 ..

위기아동 청소년에 대한 보호 서비스를 지역사회 중심으로 연계하여 빈틈없는 보호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제1차 사회정책포럼(8.26) 논의 사항 ▶️ 자세히보기: https://blog.naver.com/moeblog/221626038827 「지역사회 중심의 위기아동청소년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제1차 사회정책포럼 개최 「지역사회 중심의 위기아동청소년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제1차 사회정책포럼 개최 교육부(부총리 겸 ... blog.naver.com #사회정책포럼 #위기아동청소년 #보호체계 #지역사회 #위기아동_청소년을_돌보겠습니다 #혁신적포용국가 #포용국가 #정부혁신

「지역사회 중심의 위기아동청소년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제1차 사회정책포럼 개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사회분야 19개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사회정책 네트워크인 사회정책협력망은 8월 26일(월) 오후 2시부터 서울 엘타워 엘가든홀에서 ‘지역사회 위기아동 청소년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포럼을 개최한다. 사회정책포럼은 다양한 사회 현안에 대응하여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 모여 정책적 대안을 논의해왔다. 특히, 여러 부처가 관련되어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의제화하여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논의함으로써 부처 간 정책의 상승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1차 포럼은 최근 우리사회 위기아동청소년이 증가하고 아동학대, 학교폭력, 자살 등 위기상황이 날로 심각*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