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역혁신사업 (21)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8nqc/btrUVkCuA6m/jnZmSHnlsV07WZ4Pc26MkK/img.jpg)
학생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인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인재 유출 현상이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점점 심해져서 국가 균형 발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을 확대하고자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함께 알아볼까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은 지자체와 대학이 협업체계(지역혁신플랫폼)를 구축하고,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발전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부터 운영을 시작했는데 학생에게는 폭넓은 학업의 장을, 기업과 대학에는 인재 양성의 기회를, 지역에서는 발전의 발판을 만들 기회를 제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Xddf/btrM6LHUp2u/A9u7GwKighGImRJI2K5EZ0/img.jpg)
여러분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최근 반도체는 정말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반도체는 국가 인프라라고 했으며, 대만은 외교 안보 기술로 여기는 등 반도체를 향한 온 세상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이자 수출 분야인 반도체 시장의 핵심은 바로 인재 확보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갈 반도체 전문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인재 양성과 유치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인력 수급 현황과 전망은 어떨까요?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반도체산업 분야 전체 산업인력 수는 176,509명이라고 합니다. 반도체산업 규모 확대 전망에 따라, 산업인력이 현재 약 17.7만 명에서 10년 후 약 30.4만 명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P9Sy/btrKMnwfdlO/Q2KtpTgrCzeqCQtJSyv6Ek/img.jpg)
제2회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성과포럼 개최 □ 사업 추진 3차연도를 맞이하여 지역혁신플랫폼별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토론회·우수사례 발표 등 실시(8.30.(화)) ㅇ (울산·경남) 채용연계형 직무실습(인턴십) 프로그램 통해 인턴십 82명, 채용 52명 (충북) 바이오 기업 창업지원을 통해 시제품제작 11개 기업, 지역 내 창업 6개 기업 (광주·전남) 에너지신산업 창업 관련 1,308명 교육, 창업플랫폼 구축·운영 (대전·세종·충남) 대전·세종·충남(DSC) 공유대학 본격 운영(8개 융합전공, 359명 모집)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발전협의회’가 주관하는 ‘제2회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성과포럼’이 8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NCPy/btrI2wiG3vQ/Ad0wG2VGP3KaFr4KkUagvK/img.jpg)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강원 지역 출범식 개최 □ ①정밀의료, ②디지털 건강관리(헬스케어), ③스마트수소에너지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취업률 및 청년 정주율 10%p 향상 등 추진 □ 강원도, 강원대 등 15개 대학, ㈜더존비즈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지역사회가 한데 모여 ‘강원 지역혁신플랫폼’ 출범식 개최(8.9.(화)) 강원 A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윤씨(22)는 빅데이터 전문가라는 꿈을 갖고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했지만 어떻게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성장해야할지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던 중 강원도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 선정되어 ‘강원 LRS 공유대학’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wBNv/btrIjLTPdcO/0SmCWWM0H9BxS5vXbAouSk/img.jpg)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출범식 개최 □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 본격 추진을 위해 (가칭)지역고등교육협의회,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등 도입 추진 □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 선정된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출범식 개최(7.28.(목), 경북대학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는 7.28.(목) 경북대학교에서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출범식을 개최한다. 교육부는 국정과제인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본격 추진하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2022년부터 새로 추진하는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리기 위해 이번 출범식을 마련했다. 일시/장소 2022.7.28.(목) 10:00 ~ 11:0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6GYo/btrzFHyWhvI/JXb1qcHWM7HXUTsUCelisk/img.jpg)
□ 지역대학과 지역의 위기에 대응하여 ‘지역혁신플랫폼’ 확대 (2021년 4개 플랫폼 → 2022년 6개 플랫폼), 국비 2,440억 원 지원 □ 2022년 신규로 강원 플랫폼, 대구·경북 플랫폼 예비 선정·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 신규로 강원 플랫폼(단일형)과 대구·경북 플랫폼(복수형)을 4월 18일(월)에 예비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이 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로 인한 지역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지자체와 대학이 협업체계(지역혁신플랫폼)를 구축하고,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발전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2022년 예산) 6개 플랫폼 지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55fu/btrsSbzvWds/RkY64QbKM3eQ9Nuvei0ixK/img.jpg)
대학의 혁신,지역의 혁신으로! 대학과 지자체가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역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 계획 함께 알아 볼까요? ▶ 자세히 보기 : https://url.kr/qixoyb #교육부 #2022 #지역혁신사업 #지역혁신플랫폼 #지역인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iluC/btriO2l6i4E/fIog6tnHUFICuU0VUKI8P0/img.jpg)
지자제-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RIS)으로 지역 대학생들은 이론과 실습을 함께 할 수 있는 풍성한 대학 생활과 취업 지원을 보장받고, 각 지역의 대학은 지역, 지자체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학과 신설과 우수인재 양성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얻게 되는 일석삼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실제로 OECD에서 지역 대학은 지역 안에 있는 대학이 아닌 지역의 대학이라고 평가한 것처럼 오늘날에는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지자체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역할이 지역 대학에 강조되고 있어 지역혁신 사업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말만 들어봤지 실제로 정말 그 성과가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실 것 같아요. 그런 분들을 위해 지난 9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