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추석 (27)
교육부 공식 블로그

존경하는 교육가족 여러분, 한가위를 맞이하여 행복과 건강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현장과 함께 호흡하며 일하도록 교육부가 더 많이 노력하겠습니다. #추석 #한가위 #서한문 #감사합니다

◈ 소아정신과 전문의와 함께하는 코로나 우울 극복하기 총 5회 차 중 1회 차 학부모 대상 영상 교육자료 추석 연휴 기간 상시 제공 ◈ 교직원 마음치유과정, 학교 응급심리지원 등 다양한 코로나19 심리방역 지원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이사장 신동원)는 각 가정에서 자녀들의 코로나 우울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강의를 10월에 집중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교육부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간 학교 심리방역을 위한 업무협약체결(2020.5.15)에 따라 협업과제로 추진 교육부는 자녀와의 소통·이해법에 대한 학부모 유튜브 실시간 강연*을 비롯하여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방송 송출, 온라인 강의 제..

"음력 8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네, 맞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 명절 중의 하나인 ‘추석’입니다!" 중추절, 가배, 한가위라고도 불리는 추석은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고대부터 있었던 ‘달’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기가 없던 시절의 ‘달’은 맹수나 적의 습격을 알아차릴 수 있는 아주 고마운 존재였습니다. 그래서 일 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음력 8월 15일이 큰 명절이 된 것이죠. 또, 추석이 있는 가을은 곡식과 과일들을 수확하는 계절이기 때문에 한 해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와준 조상님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제사를 지내기도 한답니다. 이렇게 고맙고 기쁜 추석, 우리 조상님들은 어떻게 즐겼을까요? 추석 때 먹는 음식과 놀이를 통해 추석을 제대로 ..

사랑하는 가족들과 오랜만에 만나는 친척들과 조상님께 차례 지내고 오순도순 모여 앉아 송편 빚고 동글동글한 보름달 보며 소원 빌자! 올해도 추석 잘 보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명절 #추석 #차례 #송편 #보름달 #국민서포터즈 #교육부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추석을 왜 한가위라고 부르지?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는거지? 다른 나라에도 추석이 있나? 아무도 물어보지 않았지만 알려드립니다. 추석TMI,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교육부 #추석 #한가위 #유래 #송편 #외국 #명절 #상식 #강강술래 #연휴

여러분은 #추석 하면 어떤 게 떠오르시나요? 송편이나 보름달, 전통놀이 등 많은 것들이 생각날 텐데요. 이번 추석에 가족들과 전통놀이를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놀이기구가 없어서 고민이신가요? No! 걱정하지 마세요~! 생활 속 재활용품을 활용해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환경까지 고려하여 재활용품으로 만든 전통놀이기구!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지금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평소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교육정책을 국민 눈높이에서 쉽고 재미있게 소개해 드릴 국민서포터즈, 앞으로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에듀쿠 #추석 #한가위 #전통놀이 #DIY전통놀이기구

"풍성하고 행복한 추석 보내세요!" 지역 여건에 맞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돌봄, 지자체-학교와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 #교육부 #추석 #서울흥인초 #돌봄교실 #행복한_교육 #풍성한_한가위_보내세요

추석의 대표 음식, 송편 이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인 송편입니다. 송편은 원래 송병이라고 불리었었습니다. 소나무 송과 떡 병자를 써서 송병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송편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추석이 되면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 송편을 빚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송편은 반달 모양입니다. 그렇다면 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많이 만들까요? 달을 닮은 음식, 송편의 유래 반달송편의 유래를 잘 읽어보았나요? 옛날 농경 사회에서 달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달의 변화에 따라 시간을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농사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중요한 달의 모양을 본떠 자연스럽게 송편을 빚게 되었던 것이죠. 소를 넣기 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