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탈북학생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 다문화학생과 귀국학생 등 중학교 편입학 시 교육장이 배정 ◈ 시도교육감 소속 학력심의위원회 심의 대상 및 위원 수 상한 확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7일(화) 국무회의에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개정안이 심의·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외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한 다문화학생을 비롯한 귀국학생 등의 중학교 입학·전학 및 편입학 절차를 개선한 것이다. 이번 개정안은 2019년 11월에 열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받은 대정부 제안을 계기로 마련하게 되었다. 시행령의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외에서 입국한 귀국학생 등은 국내학생과 동일하게 중학교 입학·전학·편입학을 교육장에게 신청하고, 교육장이 학교를 배정하도록 하였다. 다만, 거주지가 중학구*에 해당하는 경..

"탈북학생이 사회의 통합된 일원으로 성장하도록!" 탈북학생 한명 한명이 우리사회의 통합된 일원으로 적응하고 성장하도록 탈북학생 교육 지원정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교육부 #하늘꿈학교 #탈북학생 #탈북청소년 #부총리 #대안학교 #탈북학생_교육지원
통일미래 맞춤형 인재 육성2016년 탈북학생교육지원 사업 계획 발표탈북학생 1:1 맞춤형 멘토링 지원 확대(‘15년 2,200명 → ’16년 2,500명)탈북학생 학부모 대상 자녀 진로교육 강화(하나원 학부모 교육 연중 실시)탈북학생용 문해력 증진 교재 신규 개발·보급(총 3종) 교육부는 탈북학생이 우리 사회에 통합된 일원으로 적응하고 통일 시대의 인재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16년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 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계획은 탈북학생 개인적 배경에 따라 각기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1:1 멘토링 대상을 확대하는 등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탈북학생의 실질적인 사회 정착을 지원..
‘먼저 온 미래, 탈북학생’교육 우수사례 선정- 2015년 제6회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 시상식 및 발표회 개최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백순근)은 12월 15일(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탈북학생 교육역량 제고와 탈북학생 담당교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실시한 「2015년 제 6회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 및 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 공모는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학교 현장에 확산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시행하여 왔으며 이번 공모전에서는 시·도교육청 추천을 통해 접수된 43개 사례에 대한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심사를 거쳐 개인부문 최우수상 5개, 우수상 5개 등 10개와 단체부문 최우수상 2개, 우수상 2개 등 총 14개 수상작을 선정하였..
탈북학생들의 학업 위한 교육지원 정책 -2015년 탈북학생 교육 지원 계획- 탈북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동안 탈북학생들을 위한 교육지원을 꾸준히 했기 때문인데요. 2008년에는 10.8%였던 탈북학생의 학업중단율이 작년에는 2.5%로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일반학생들의 학업중단율(2014년, 0.93%)과 비교했을 땐 높은 편이죠. 그래서 탈북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교육지원이 필요합니다. [출처: 교육부] 교육부는 제3국 출생 탈북학생을 위해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고, 탈북학생 교사 1:1 멘토링 확대,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특별입학 전형 기회 확대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인 교육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 제3국 출생 탈북학생에..
2014년 탈북학생 통계 조사 결과 발표- 탈북 학생수 증가 : 전년 대비 161명 증가(2,022명('13년) → 2,183명('14년)) -- 탈북학생 학업중단률 감소 : 전년 대비 1%p 감소(3.5%('13년) → 2.5%('14년)) -- 제3국 출생 탈북 학생수 증가 : 전년 대비 139명 증가(840명('13년) → 979명('14년)) -교육부는「2014년 탈북학생 통계」조사 결과를 2014. 7. 25.(금) 발표하였습니다. 탈북학생 통계조사는 탈북학생 교육 지원의 내실화를 위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14년 3월 27일부터 4월 18일까지 실시하였습니다. 2014년도 탈북학생 통계조사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탈북학생 수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입니다..
제3기 우수 탈북학생 역량강화 프로그램(HOPE) 참가자 선정결과 발표 - 나의 꿈과 끼를 키워 대한민국의 인재가 될 거예요!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우수 탈북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대한민국 인재로서의 성장과 자립을 지원하는 ‘제3기 우수 탈북학생 역량강화 프로그램(HOPE)’(이하 ‘HOPE’)에 참가하는 학생을 12명 선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HOPE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수학‧과학', '예술‧체육', '외국어' 등 각 분야에 지원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주관으로 교사 추천, 서류심사, 면접 등을 거쳐 선정되었습니다. * HOPE : Harmony(소통), Optimum(맞춤형지원), Potential(잠재역량 계발), Education(교육) HOPE는 각 분야의 꿈과 끼를 갖고 있는 탈북학생..
2014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 맞춤형 멘토링 확대(‘13년 500명 → ’14년 2,000명) - - 탈북학생 표준교재 개발·보급(‘15년까지 32종) - - 탈북학생 진로·직업교육 강화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탈북학생 교육 지원을 위해 작년보다 약 40% 증액된 총 42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에는 기존과 달리 탈북학생 진로·직업교육을 강화하고, 담임교사 멘토링을 확대하며, 지난해에 이어 탈북학생 표준교재를 개발·보급하는데 중점을 두어 지원합니다. 탈북학생 한명 한명을 돌보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하여 약 20억 원을 지원합니다. 담임교사 멘토링은 전년 대비 4배(500명→약2,000명)로 확대하고 학생 1인당 80만원 정도의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합니다. 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