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점은행제 (16)
교육부 공식 블로그

비대면 교육 시대가 한층 가까워지며,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다양한 강의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K-MOOC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케이무크(K-MOOC)는 2015년 10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입니다. 현재 160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1,300여 개가 넘는 강좌가 진행 중입니다. K-MOOC는 수강인원의 제한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 수강할 수 있으며(Open)! 웹 기반으로(Online)! 학습 목표를 위해 구성된 강좌(Course)!를 들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K-MOOC 누리집: http://www.kmooc.kr 회원가입만 하면 인문, 사회, 교육, 공학, 자연, 의약, 예체능 분야의 대분류로 시작하여 색다..

여러분께서는 ‘학자금 대출’ 제도를 이용해보신 적이 있나요? 학자금 대출 제도는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학위 취득 측면에서 대학과 같다고 할 수 있는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는 학습자는, 학습비 마련이 부담되더라도 학자금 대출 제도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교육부는 제도 대상자를 확대하는 ‘2023년 학점은행제 학습자 대상 학자금 대출 제도 도입방안’을 발표했는데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한 번 살펴볼까요? 어떤 점이 달라지나요? 그렇다면 기존의 제도와 비교했을 때,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자금 대출 지원 제도는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차이점을 나눌 수 있겠습니다. 이 차이점은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개인이 미래에 대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역량개발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에 따른 학비 부담도 클 수 밖에 없는데요. 최근, 희소식이 들렸죠! 바로 학점은행제 학습자 학자금 대출 제도! 입니다. 영상으로 자세히 알아볼까요? 학점은행제 소개 학점은행제는 학교 및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일정 기준 충족 시 학위 취득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직업전문학교, 시간제등록, 학점인정대상학교 외 다양한 학점원이 있습니다. 2023년 학점은행 학습자 대상 일반상환 학자금제도 학점은행 학습자 대상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 제도는 대학생과 교육적 여건이 다른 다양한 학습자와 교육훈련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것인데요. ..

「학점은행제 학습자 학자금대출 제도」 도입방안 발표 □ 기존 대학생에 한정되었던 학자금대출을 2023년 1학기부터 학점은행제 학습자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비 부담을 경감하고 고등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고등교육 수준의 보편적 평생학습 지원 체계 구축 □ 연령, 소득 등 다양한 학습자 여건과 교육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제도 도입으로, 2023년부터 연간 약 15만 명 학습자 혜택 예상 교육부는 기존 대학(원)생만 지원받을 수 있었던 학자금대출을, 동일한 학력이 인정되는 학점은행제 학습자까지 확대하는 ‘2023년 학점은행제 학습자 대상 학자금대출 제도 도입방안’을 발표하였다. 학점은행제는 대학 외에 국내 가장 대표적인 고등교육 수준의 학위 취득제도로, 1998년 시행 이..

작년과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비대면 교육이 활성화되고, 직장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재택근무를 하는 등 많은 모습이 변화했습니다. 갑작스레 맞이한 변화이지만, 비대면 교육의 발전을 일으키는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이 진행한 온라인 국제 포럼에서, 신성철 KAIST 총장은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의 말을 인용해 2030년쯤 전통적인 개념의 대학 중 반 정도가 사라질 것이고, 교육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새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평생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가상 교육”이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교육 전문가들은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교육 환경이 ‘온라인/비대면’으로 변화했지만 향후 이것이 새로운 표준(뉴노멀)으로 정립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혹시 내가 선택하고 싶은 학점은행제 교육훈련 기관의 주요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바로 “학점은행제 알리미“라는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학점은행제 알리미는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학점은행제 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를 알아둔다면 불편하게 정보를 찾는 일을 덜어낼 수 있는데요. 이번 기사를 통해서 같이 학점은행제 알리미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알아가고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학점은행제란?" 학점은행제는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학..

혹시 평생학습계좌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학습, 공부가 무슨 돈도 아니고, 왠 계좌냐구요? 모르시는 말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이미 널리 이용하고 있는 평생학습계좌제도. 알아두면 정말 유용하다구요.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9년까지 94,027개의 학습계좌가 개설되었으며, 계좌에 학습이력을 등록한 경우는 무려 349,316건에 달합니다. 도대체 평생학습계좌제가 무엇이기에 이토록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계신 걸까요? 평생학습계좌제란? 평생학습계좌제란 국민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개인별 학습계좌에 누적·관리하고, 그 결과를 학력·자격 등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제도입니다. 즉, 평생학습계좌를 이용하면 누구나 학력이나 경력, 평생학습 이수내역, 자원봉사 활동 내역 등 다양한 학습경험을 저장하고 관리할..

안녕하세요.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박지은입니다. 고등학생이 미래 진학이나 생애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는 곳, 대학생이 학교 수업 전후에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곳, 전과나 타과 편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미리 수업을 경험해볼 수 있는 곳, 예비창업자가 창업 분야의 개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곳, 일반인이 관심 분야에 대한 심화 학습이 가능한 곳!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네! 그곳은 바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입니다! K-MOOC란? 온라인을 통해서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좌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2015년에 시작된 한국형 무크인데요. 아래의 링크는 K-MOOC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강의를 듣는 방법까지 상세하게 알려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