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날씨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본문
날씨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 날씨와 우리 생활
날씨는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비 오는 날의 학교 운동장에는 축구를 하는 아이들, 거리에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 또, 놀이공원에 놀러 가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들지만 중국집의 배달 주문은 늘어나기도 합니다. 반대는 어떨까요? 맑은 날에는 사람들이 활동하기에 좋기 때문에 밖으로 많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중국집의 배달 주문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날씨는 우리 생활뿐 아니라 산업에도 영향을 줍니다.
또한 날씨는 농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눈이 많이 오는 해에는 보리 농사가 풍작’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기후에 따른 보리 농사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가로로 좁고 세로로 긴 모양이고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북위 33°에서 43°에 위치하고 있어, 남쪽과 북쪽의 겨울 온도 차이가 큽니다.
▲ 우리나라 1월 평균 기온(출처: 에듀넷)
겨울 추위가 심한 강원도, 평안도 북부의 산간 지역에서는 봄에 보리를 심지만, 평균 기온이 조금 더 높은 중남부 지역에서는 가을에 보리를 심어 겨울을 보낸 후, 6월 초에 수확을 합니다. 강원도와 평안도 북부에서 가을에 보리를 심으면 겨울철의 극심한 추위로 대부분 얼어 죽지만, 중남부 지역에서는 추위를 이겨내며 보리가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겨울철에 보리 위에 눈이 쌓이면 눈이 담요처럼 보리를 덮어줘서 보온효과로 보리가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눈이 녹으면서 보리 싹에 물을 공급하기도 합니다.
▲ 눈에 덮인 보리(출처: 에듀넷)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역에서는 봄철이면 겨울을 지내고 살아남은 보리 뿌리를 뽑아서 그 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예상하는 세시 풍속이 있습니다. 이를 보리 ‘뿌리점치기’라고 합니다. 입춘이 되면 보리 뿌리를 뽑아 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이고,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을 예상합니다.
겨울철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인 제주도에는 “겨울 따슨 해 보리 굼벵이 자른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에는 겨울철이 따뜻하면 애벌레가 보리 농사를 망쳐 흉년이 든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제주도 지역의 경우 돼지우리에 짚을 넣어 묵혀 만든 돗거름을 보리 농사에 비료로 사용했습니다. 이 때 거름 속의 애벌레가 제주도 지역의 따뜻한 겨울에는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아 보리 뿌리를 갉아먹어 보리농사를 망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날씨는 오래전부터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 날씨와 산업
날씨 변화는 산업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날씨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산업이 있는데 기온, 강우, 강설 등으로 인해 여러 형태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천연 가스나 전기 등 에너지 산업이나 빙과 또는 음료를 만들어 파는 경우, 여름이 예상보다 시원하거나 겨울이 예상보다 따뜻할 경우 매출액이 상당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스키장의 경우 겨울에 눈이 너무 적게 오면 스키장을 찾는 손님이 감소할 것입니다.
▲ 날씨가 산업에 주는 영향(출처: 에듀넷)
이렇듯 날씨가 산업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에너지 산업은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수요를 미리 예측하여 준비하고 있으며, 유통 부문에서는 재고 관리 등을 위하여 기상 정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건설업과 조선업 두 산업은 모두 실외에서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태풍, 장마, 바람 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정 관리와 품질 관리 등에서 기상 정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날씨 정보를 기업의 경영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의 한 놀이공원은 날씨를 활용해 연간 매출을 21억 원 정도 늘렸다고 합니다. 날씨가 좋지 않은 날 놀이공원 방문객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게 된 경영진이 비 오는 날은 고객에게 우산을 대여하고, 눈 내리는 날은 티켓 요금 할인 이벤트를 하는 등 날씨맞춤형 경영 전략을 활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자료출처: 에듀넷]
'학습자료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하베스팅 (18) | 2015.11.10 |
---|---|
흙의 중요성과 보전 방법 (80) | 2015.11.10 |
지진보다 더 위험한 쓰나미의 정체는? (1) | 2015.11.05 |
우리나라는 정말 지진에 안전할까? (1) | 2015.11.05 |
생태계 평형의 중요성 (1) |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