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11 (84)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권을 확립하고 교원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학생, 교원, 학부모가 상호 존중하는 함께 학교를 비전으로 지난 8월에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방안’이 발표되었는데요. 어떤 내용이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교권-학생 인권의 균형 첫 번째로 교권, 학생 인권의 균형을 위해 변경된 내용을 확인해볼까요? 먼저, 수업 중 휴대전화 사용 등으로 수업을 방해한다면 2회 이상 주의 후 물품(휴대전화)을 분리 보관 합니다. 또한, 지금까지는 칭찬도 차별로 인식하여 효과적 수업이 불가했는데 앞으로는 칭찬, 상 등을 통해 학생에게 동기 부여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업 중 잠자는 학생에 대한 지도가 곤란했던 지금과 달리 앞으로는 주의, 지시를 통한 적극적 수업 참여를 독려합니다. 또한, 지난 9월부터 교원의 학..
5교시_제2외국어/한문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외국어 능력과 한문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출제하였다. ◦ 제2외국어 교과는 일상생활에서 해당 외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언어 사용 능력과 해당 외국(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 한문 교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2. 출제 범위 출제 범위는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
4교시_한국사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한국사 영역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한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 단원・시대별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 위주로 출제하여 학교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2. 출제 범위 한국사 영역의 출제 범위는 한국사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맞추었다. 문항의 소재는 9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 활용되었다. 3. 문항 유형..
3교시_영어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영어 영역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영어 영역의 구체적인 출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되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하여 출제한다. ◦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유사한 문항 유형을 가감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 원칙에 따라 검사지를 구성한다. ◦ 영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강조하여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언어형식과 어휘 문항을 포함한다. ◦ 듣기는 ..
2교시_수학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수학 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1교시_국어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평가 상황에 맞게..
11월 16일(목), 늘봄학교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미래교육돌봄연구회,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를 위한 권고문 발표 학부모, 교원, 관련 전문가와 함께 권고문 및 늘봄학교 향후 추진방향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1월 16일(목),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늘봄학교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추진 과정에서 현장방문, 관련단체 및 노조 간담회, 현장 상담(컨설팅) 등 교육현장과 지속해서 소통해 왔다. 이번 정책토론회 또한 미래교육돌봄연구회(이하 ‘연구회’)에서 제안한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를 위한 권고문’에 대하여 학부모, 교원,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간담회) 교원단체·노조 ..
일반 개황 1. 지원자 현황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11월 16일(목)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84개 시험지구, 1,279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되었다. 이번 시험에 지원한 수험생은 504,588명으로, 이 중 재학생은 326,646명이고 졸업생등은 177,942명이었다. 이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국어 영역은 501,321명, 수학 영역은 478,083명, 영어 영역은 498,502명,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487,069명, 직업탐구 영역은 5,450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78,849명이 지원하였고,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은 504,588명의 수험생 전원이 지원하였다. 2. 시험 시간 시험은 오전 8시 40분부터 시작되어 1교시 국어 영역(08:40~10:00), 2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