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과학 (27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온도와 녹는 양사이의 관계 ■ 설탕을 물에 녹이기, 어떻게게 하면 더 많이 녹일 수 있을까?설탕을 물에 녹여 본 적이 있나요? 물에 설탕을 넣고 열심히 저으면 설탕이 녹는 것을 볼 수 있지요. 설탕을 녹이다 보면 더 이상 녹지 않는 때가 오게 되죠. 이 때 설탕을 더 녹이기 위해 쓸 수 있는 방법은 물을 더 넣는 것입니다. 물을 많이 넣을수록 물에 녹을 수 있는 물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 물의 양에 따라 설탕이 녹는 양(출처: 에듀넷) 하지만 물의 양은 일정한데 설탕을 더 많이 녹이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정한 양의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은 일정합니다. 용해 현상은 용매를 구성하는 입자와 용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이죠. 설탕물의 경우 설탕..
용해 현상 ■ 녹아라~ 녹아라~ 용해 현상!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골고루 섞이는 현상을 ‘용해’라고 합니다. 모든 물질은 매우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설탕을 물에 넣으면 큰 설탕 덩어리가 작은 설탕 덩어리가 되고 작은 설탕 덩어리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입자로 나누어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입자가 된 설탕은 물과 골고루 섞이게 되는데 이때 설탕이 물에 용해되었다고 합니다. 용해된 설탕물은 설탕 입자가 물 속에 고르게 퍼져 물 입자와 균일하게 섞인 상태이기 때문에 설탕물은 어느 부분이나 같은 농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흙탕물의 경우 물에 흙을 넣으면 흙은 물 입자와 골고루 섞이지 않고 물 밑에 가라앉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물과 흙은 섞..
생태계 내생물들 간의 관계 ■ 먹이사슬푸른 초원에 나있는 풀을 메뚜기가 먹습니다. 메뚜기는 개구리가 먹습니다. 개구리는 뱀에게 잡아 먹힙니다. 이렇게 생태계 내에서 생물 간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먹이사슬이라고 합니다. ▲ 먹이사슬(출처: 에듀넷) ■ 먹이그물위의 먹이사슬에 있는 개구리는 메뚜기만 잡아먹는 것은 아닙니다. 개구리는 나비, 거미도 잡아먹습니다. 뱀 또한 개구리뿐만 아니라 다람쥐, 토끼, 참새 등을 잡아먹습니다. 이처럼 생태계 내의 생물은 여러 생물을 먹이로 하고 여러 생물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에 생태계 내에서 먹이사슬은 서로 얽혀서 그물처럼 복잡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먹이사슬이 얽혀 그물처럼 보이는 것을 먹이그물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생태계 내에서 먹고 ..
비만이란? ■ 비만인 인구가 많으면, 비만 질환이 더 많을까요?한국인과 미국인 중 어느 나라 사람이 비만이 더 많을까요? 2012년 기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31.8%로 일본(23.7%)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며, OECD 평균(56.8%)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럼 가장 높은 나라는 어디였을까요? 멕시코로 비만 및 과체중 인구의 비율이 71.3%나 되었으며, 바로 뒤를 이은 미국은 68.6%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비만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비율을 보면 한국인과 미국인이 거의 비슷합니다. 비만인 인구가 더 많은 미국에 비해 비만이 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비만 질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
생물이 환경에적응하는 사례 ■ 기후에 적응한 생물들더운 사막에 사는 사막여우는 더위를 이겨 내기 위하여 적당히 마른 몸을 가지고 있고 큰 귀를 통해 몸 속의 열을 많이 방출합니다. 반대로 추운 북극에 사는 북극여우는 추위를 견디기 위하여 몸에 지방층이 두껍게 발달했으며 작은 귀로 열이 많이 방출되는 것을 막습니다. 사막여우, 북극여우와 같이 생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환경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을 ‘적응’이라고 합니다. ▲ 사막여우와 북극여우 비교(출처: 에듀넷) ■ 인간의 모습도 기후에 따라 다를까?인간도 환경에 적응하면서 생김새와 행동 방식이 달라집니다. 추운 북극에 사는 에스키모인들의 평균 몸무게는 77kg이지만 더운 사막에 사는 사람들은 평균 몸무게가 57kg입니다. 몸 속의 피하 지방은 체온이 발산..
헬리코박터파일로리 ■ 위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우리의 위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매일 섭취하는 음식과 함께 끊임없이 세균과 곰팡이, 유해 물질이 위에 들어옵니다. 위는 이러한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해 강산성의 소화액을 분비하여, 위 내부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합니다. 실제 위에서 분비되는 염산은 pH 1.5~2.0의 강한 산성을 띠고 있으며, 이 정도의 산도에서는 손톱이 녹을 정도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산성 환경에서는 어떠한 생명체도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음식물과 세균 등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우리의 위(출처: 에듀넷) 그런데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과학자 배리 마셜(Barry Marshall)과 로빈 워렌(Robin Warren)은 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
동물의 빠르기 ■ 속력(빠르기)이란?세상에서 가장 빠른 육상 선수는 누구일까요? 100미터 달리기 세계 기록인 9초 58을 가진 우사인 볼트입니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무엇일까요? 치타일까요? 표범일까요? 그런데 이들의 빠르기는 어떻게 비교할까요? 빠르기를 비교할 때에는 두 가지 조건으로 비교를 합니다. 첫 번째는 같은 거리를 이동할 때 걸린 시간을 비교하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육상 경기에서 빠르기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준 거리를 정해 두기 때문에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빠르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는 같은 시간에 얼마나 많이 이동하는가를 나타내어 비교합니다. 자동차, 비행기 등 교통수단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경우에 쓰이며, 속력은 이동 거리를 걸린 시간으로 나누어 구하며,..
왜 여자보다남자에게적록 색맹이많을까? ■ 색각 이상 검사표아래의 그림은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도구입니다. 혹시 잘 보이지 않는 숫자가 있나요? ▲ 색각 이상 검사표(출처: 에듀넷) 색각 이상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색깔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그 정도에 따라 색맹과 색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신체검사에서 색채 식별 검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그런데 색채 식별 검사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이 탈락합니다. 선천적인 색각 이상은 유전에 의해 나타나는 유전병인데, 이 유전병은 남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색각 이상이나 혈우병 등과 같은 유전병은 성에 따라 그 발병률이 차이가 납니다. 이 유전병들은 왜 성에 따라 발병률이 차이가 날까요? ■ 적록 색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