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습자료/사회 (239)
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진으로 인한인간의 삶의 변화 ■ 강력한 자연 재해, 지진지진은 핵폭탄보다도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연 재해입니다. 지진이 일어날 곳과 세기를 미리 알 수 있다면 피해를 줄일 수도 있겠지만 현대 과학 기술로도 지진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다고 해요. 2015년 4월 25일 네팔에서 발생한 규모(magnitude) 7.8의 지진으로 수 천명의 피해자가 발생하였다는 뉴스를 본 적 있죠? 이 밖에도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주요 지진 사례를 보면 지진이 한 나라를 송두리째 흔들 수 있는 위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은 세계적으로 여러 국가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데요. 큰 피해를 입힌 지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 세계 주요 지진들 중에 우리에게 큰 충격을 준 것은 ..
시장의 기능과 한계 ■ 자유시장경제체제에 살고 있는 우리! 우리는 가계, 기업, 정부, 그리고 외국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경쟁하는 ‘자유시장경제체제’에서 살고 있습니다. 시장경제에서는 만약 어떤 물건이 인기를 끌어 사람들이 많이 찾게 되면 그 물건의 가격이 오르게 되지요. 그럼 물건을 생산하는 사람들이 그 물건을 많이 만들어 시장에 팔게 되면서 수요와 공급이 점차 균형을 맞춰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배추 값에 비해 무 값이 오르게 되면 배추를 키우던 농부가 배추 대신 무를 키우는 경우가 늘어나겠지요? 또 한편으로는 무 값이 오르면 깍두기를 담궈 먹던 사람들이 깍두기 대신 배추김치를 찾을 겁니다. 결국 무를 사려는 사람들은 줄고, 무를 팔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무의 가격은 점차 내려가게 되는..
기업과 노동자의경제적 역할과 책임 ■ 기업 패러다임의 변화 과거에는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이 최고의 기업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고객들이 원하는 좋은 품질의 물건과 서비스를 만들어 내어 이윤을 많이 얻는 것에 몰두했었죠. 그러다 보니 일부 기업들의 경우는 환경을 파괴하는 일을 서슴지 않거나 실제로는 손해를 보았지만 이를 이익을 낸 것처럼 꾸미는 분식회계와 같은 부정을 저지르기도 했습니다. 구체적인 예들을 살펴보면 미국의 엔론이 회계 부정을 저질러 많은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고, 소니 사의 게임기에서 인체에 해로운 카드뮴이란 물질이 나와 충격을 주었으며, 나이키 사가 아동의 노동력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죠. 이제는 기업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이익을 내..
암초 위에 콘크리트를부어 만든 섬들 ■ 배타적 경제수역을 둘러싼 국가 간의 갈등▲ 독도(출처: 에듀넷) 512년(신라 지증왕 13년) 때부터 독도는 우리나라에 속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 대한민국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해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만들어 국제 사법재판소로 이 문제를 회부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제적 대응을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지요. 배타적 경제수역을 둘러싼 국가 간의 갈등은 비단 우리와 일본만의 문제가 아닌데요. 일본과 중국은 남태평양의 해역을 두고 여러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일본 오키나와 서남쪽 약 400km, 중국 대륙 동쪽 약 350km, 대만 북동쪽 190km 정도 떨어진 동중국해상에 위치한 5개 섬과 3개의 암초로 ..
왜 나라마다시간이 다를까? ■ 세계 여러 도시들의 시간이 다른 이유는?지난해 2014 브라질 월드컵에 출전한 우리나라 선수들을 응원해 보았나요? 브라질에서 한낮에 경기를 하고 있는 선수들을 보려면 우리는 새벽에 일어나야 했습니다. 브라질과 우리나라의 시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세계 여러 도시들의 시간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적으로 살펴본다면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입니다. 햇빛이 우리나라를 비추고 있을 때 지구 반대편 나라들은 깜깜한 밤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역에 따른 시간은 어느 기준에 맞추어 정해진 걸까요? ▲ 지구의 자전에 따른 밤과 낮의 변화(출처: 에듀넷) 세계지도나 지구본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로선과 세로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가로선은 위선이라 부르고 적도를 기준으로 얼마..
인간의 간섭에 의한홍수 피해 ■ 2011년 태국 홍수의 원인은 무엇일까?지난 2011년 7월~10월, 보고된 사상자만 300명, 3백만 이상의 피해자, 50억 달러에 달하는 재산피해를 입힌 거대한 홍수 피해가 있었습니다. 이 때 침수된 지역은 남한의 절반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 피해가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힌 태국의 홍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태국지형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태국 북부지역은 산악지형으로 비교적 고지대이며, 남쪽 방콕은 평야지대로 저지대입니다. 특히 방콕과 주변지역은 산을 볼 수 없을 정도로 평야지대로서 비가 오면 물이 쉽게 차고 비가 그친 뒤에는 강의 유속이 느려 물이 빠지지 않고 고입니다. 따라서 비가 올 경우 물을 아래로 빨리 내보내기보다는 물을 ..
사막화가 증가하는 원인 ■ 미래 지구의 모습 영화 속 미래의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요? 대부분의 SF영화에서 미래 지구환경의 모습을 묘사할 때 사막화 현상을 빼놓지 않습니다. 2014년 개봉한 라는 영화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사막화 모습, 인류의 종말을 향해 달려가는 상황을 묘사하였습니다. 영화 속에 종종 등장하는 ‘사막화’는 어떤 상황을 말하는 것일까요? ▲ 모래 폭풍과 메마른 땅(출처: 에듀넷) 사막화는 사막과는 다른 개념으로, 인간 거주 지역인 반건조 지역이 인간 활동으로 인해 건조해지고 황폐해지는 토지의 황폐화를 뜻합니다. 이러한 사막화는 극심한 가뭄과 장기간에 걸친 건조화 현상과 같은 자연적인 요인도 있지만, 인간에 의해 농경지를 만들고 가축 사육을 늘리기 위해 숲을 개간하는 등 산림벌채와 환경오..
제주의 화산 ■ 어디까지가 한라산일까?세계적으로 자랑할 우리의 자연유산인 제주도는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란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면서 우리 국민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까지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제주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제주도의 중앙에 위치한 해발고도 1,950m의 한라산입니다. 한라산의 한(漢)은 ‘은하수’를 뜻하고, 나(拏)는 ‘붙잡다’라는 의미로 은하수를 잡을 만큼 높은 산이라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여러분, 그렇다면 어디까지가 한라산일까요?사실 한라산과 제주도는 같은 의미로 이해해도 될 것 같습니다. 제주 사람들은 “한라산이 곧 제주도요, 제주도가 곧 한라산이다.”라고 이야기 하는데 그 경계를 정하기는 쉽지는 않습니다. 굳이 경계를 그어보라고 하면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