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과서 (67)
교육부 공식 블로그

◈ 협업부처 주도형 5종, 협업부처 지원형 10종 인정교과서 추가 개발 완료 ◈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전문분야의 역량 중심 교육 지원 ◈ 부처 전문역량 활용한 교과서로 진로‧적성에 따른 교육의 다양성 확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학습자 중심 현장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하여 과기정통부, 문체부 등 9개 부처와 함께 만든 ‘부처협업 교과서’ 15종을 3월부터 고등학교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부처협업 교과서’는 급변하는 사회에 따른 현장의 역량중심 교육 수요와 학생의 진로‧적성을 연계하기 위하여 정부부처의 전문역량을 활용한 최신 지식‧기술을 교과서에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교육부는 지난 2019년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확정한 ‘부처협업 교과서 개발계획’에 따라 지난해 1차로 5..

4차산업혁명에 발맞추어 학교 교육에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ICT활용교육, STEAM교육 등 수업에서 변화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학교 수업뿐만 아니라 교과서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학교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교과서는 단순히 서책형 교과서를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걸까요? 교과내용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접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실감형 콘텐츠, 평가 문항, 보충 및 심화학습 등 풍부한 학습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추가되고 외부자료와 연계가 가능합니다. 에듀넷·티-클리어 회원으로 가입해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 14세 미만 ..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 수능 만점자들의 단골 멘트에서 알 수 있듯, 교과서는 모든 학습의 근간이 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동시에 의무교육의 범주 안에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는 그 세대에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매체가 되기도 합니다. "우리 때는 수학이 아니라 산수였어", "듣말쓰가 아니라 말듣쓰였던 시절이 있었지“ 이러한 말처럼 초등학생 세대와 국민학교 세대, 그리고 그 이전 세대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사뭇 다른 모양새와 내용을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은 교육부와 함께 시대 흐름에 발맞춘 교과서의 변천 과정을 시대별 특징적인 교과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60년대 이전 초등 교과서(1941-1960)" 가장 먼저 광복 이후부터 60년대 이전까지의 교과서를 살펴보겠습니..

매일 사용하는 교과서! 교과서 품질관리는 어떻게 할까요? -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시스템 운영 - 교과서 사용자 평가 도입 - 교과서 관련 정보·연구자료 DB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자유발행제 현장 안착을 위한 인정도서 질 관리 강화 - 교과서 품질 관리 협력 체계 구축 #교과서 #품질관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교육부

한국사교과서는 검정 심사 위탁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검정 공통기준 위반 여부와 교과 집필기준에 의거하여 진행했으며, 임기 중 정부의 국정지표 등을 소개하는 정도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교육부 #사실은이렇습니다 #사이다 #한국사 #임기중 #대통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사

점진적 교과서 자유발행제는 급변하는 시대에 탄력적 대체가 필요한 일부 과목에 대해 인정심사 기준 일부를 완화하는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https://bit.ly/2Q0kvN9 #교육부 #점진적_교과서_자유발행제 #교과서 #사이다 #사실은_이렇습니다

자유발행제 적용 도서도 교육과정 및 교과서 편찬 관련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2019년 12월 18일 수요일 조선일보(박세미 기자)에서 보도된 '정부, “좌파교육감 마음대로 만들 수 있는 교과서 늘린다”'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해당 기사 중 자유발행제를 적용하는 도서가 ‘교육과정’ 및 ‘집필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닙니다. * 「집필기준」은 이념적 균형성과 내용의 정확성이 강조되는 국어, 도덕, 역사, 경제 과목의 내용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과용도서 집필의 길잡이 자유발행제 적용 도서를 포함한 모든 교과용도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편찬 관련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헌법 정신과의 일치, 교육의 중립성 유지, 법령준..

한국사 교과서는 엄정한 검정심사 기준을 준수하여 개발되었습니다. 2019년 12월 16일 월요일 조선일보 (유소연, 손호영, 표태준, 박세미 기자)에서 보도된 '고교 한국사 8종 중 6종 ‘천안함 폭침’뺐다 “文정부 노력으로 한반도 큰 전환점” 교과서에 文비어천가 교과서 집필부터 심의까지…좌편향 교수·전교조 출신이 대부분 장악'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검정역사교과서의 검정심사위원 구성 및 교과서 내용이 좌편향적이라는 해당 기사 내용은 사실이 아닙니다. 검정심사위원은 정해진 절차를 통해 구성*되었으며, 교과서 제재와 내용은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편찬상의 유의점 등을 기준으로 전문성 있는 집필진이 기술하였습니다. * (검정심사위원) 역사학계 및 시도교육청의 추천, 자격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