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원능력개발평가 (12)
교육부 공식 블로그

11월 3일(금), ‘현장 교원 정책 TF’ 1차 회의 개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지난 9월 15일(금)에 개최된 ‘부총리-현장 교원과의 대화’ 1차 회의에 대한 후속 조치로 현장 교원들과 함께 서술형 평가 폐지를 포함한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 개편 방안 마련에 나선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현장 교원들로 구성된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 개편을 위한 현장 교원 정책 TF(이하 현장 교원 정책 TF)’를 구성하고, 교육부 책임교육지원관 주재로 11월 3일(금)에 1차 TF 회의를 개최한다. ※ (일시/장소) 2023년 11월 3일(금), 서울 코리아나 호텔 세미나실 (참석자) 교육부 책임교육지원관, 현장 교원, 정책연구진 등 현장 교원 정책 TF에서는 기존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연혁, 성과 ..

경고문구 신설, 금칙어 여과기능 강화, 서술형 문항 개선 등을 통해 부적절한 답변 예방 및 피해 교원에 대한 보호조치 강화 정책연구, 현장 의견수렴 등을 거쳐 평가의 전면적 개선방안 마련(~2024) 교육부(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6월 12일(월), 2023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방안을 시도교육청에 안내한다. 이번 방안은 특히, 서술형 평가를 중심으로 보완하여 평가자의 부적절한 답변을 예방하고 교원의 교육활동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 전면 도입 이후, 학교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는 중요한 통로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능력향상연수를 지원하는 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 왔..

언론사명 : 조선일보 / 2022. 12. 13. (화) 제목 : 점수 낮은 교사 재교육도 없어져…하나마나 한 교원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 전면 도입 이후,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학부모 등의 의견제시 통로로 활용되어왔으며, 교육활동 만족도 향상에 기여해왔습니다. 평가 결과는 우수교원에게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지원필요교원에게는 능력향상연수를 지원하는 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왔으며, 성과급이나 승진 등 인사·보수와는 연계되지 않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평가 실시를 한 차례 유예하였으며, 2021년에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동료교원평가를 제외하고 시도교육청이 자율적으로 평가결과 활용 연수계획을 수립·운영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등 제도를 개선하였습..

◈ 코로나19 상황 반영, 교원 부담 완화 위해 평가 방법 등 개선하여 실시 ◈ 하반기 현장 의견 수렴을 통한 관련 법령개정 등 제도 개선 방안 마련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4월 22일(목) 제2차 학교일상회복지원단회의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 추진 내용과 2021학년도 평가 실시 계획을 시도교육청에 안내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교육활동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1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평가방법 등을 개선하여 실시(붙임 참조)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코로나19 특수성을 반영한 예시 평가 문항 마련 및 제공을 통한 학생·학부모 만족도조사 실시, 교원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한 동료교원평가 미실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학생·학부모 만족도조사 참여 지원, 부..
「2013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전국 학교 10월 집중 실시 - 올해 처음으로 17개 시도 법령 및 지침 준수하여 시행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2013년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나이스(NEIS) 대국민서비스를 통해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서 10월에 집중 실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는 2010년부터 실시하여 전면 시행 4년 차이나, 올해 처음으로 17개 모든 시도에서 관련 법령과 지침을 준수하여 전국 공통 기준과 자율 영역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올해는 예년과 달리 시․도교육청 분산실시계획에 따라 실시 시기를 10월과 11월, 2개월 동안 집중 실시합니다. * ’10년~’12년의 경우 일부 시도에서 관련 법령과 정부지침을 위반 시행하는 경우가 있었으..
톡!톡!톡! 김쌤은 가수들이 나오는 프로그램을 무척 좋아합니다. 그래서 가수들의 경연 프로그램을 빼놓지 않고 시청하는데요. 최종 우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실력은 기본이며, 방청객이나 시청자의 투표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하더군요. 처음에는 이런 방법을 통해 가수를 뽑는다는 발상 자체가 너무 비인간적이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프로그램의 인기를 더욱 상승주는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도 처음 실행할 때만 해도 그 실시 여부 자체만으로도 찬반 논쟁이 심했지만, 이제는 더욱 좋은 결과를 위해 노력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안양남초등학교에서도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시행된 후 처음으로 학부모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과정 보고회’를 마련하였습니다. 보고회에 ..
말도 많았고 탈도 많았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작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어 올해 2년째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이 평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있고 그 시행 방법 또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지역도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2년째임에도 아직은 생소하게 들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교사나 학생, 학부모가 이 평가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려 합니다. (참고자료 : 2010 교원능력개발평가 바로알기(교과부,서울시교육청), 내실있는 운영을 위한 2011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행 기본계획(교과부 2011년 1월),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 개선 방안 발표 보도자료(2010.12.14) 1. 도대체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뭐야? ..
교원평가-맞춤형 연수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공교육 신뢰제고를 위한 새로운 교원평가제 도입 Q 어떤 정책인가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하여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모든 초·중등 교원의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교경영 활동에 대하여 동료교원 평가 및 학생, 학부모 만족도조사를 실시합니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선생님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맞춤형 연수를 지원합니다. 2011년 달라진 학부모 만족도조사 • 조사 대상 중 교장, 교감 및 담임은 반드시 응답하고, 그밖의 선생님은 선택적으로 응답 가능 • 조사 문항을 개발하는 과정에 학부모가 참여하여 학부모의 수준, 희망 등을 반영 • 조사 문항의 수를 현행 8~10개 내외에서 3~5개 내외로 축소 • 평가의 익명성 보장, 보안성 강화, 편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