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원 (73)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해 소통·개방·협업 체제 구축 □ ‘AIEDAP(아이에답)’ 사업 운영 성과 공유 및 차년도 사업 방향성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예비·현직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구축된 민·관·학의 종합 지원 체제인 ‘AIEDAP(아이에답)’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12월 22일(목)부터 23일(금)까지 이틀간 제주도에서 연수회(워크숍)를 개최한다. ※ AIEDAP(AI Education Alliance & Policy lab) : 아이에답, 미래교육과 디지털 교육혁신으로 아이들의 미래 삶과 궁금증에 답한다. 교육부는 지난 8월 새 정부의 중점 국정과제인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

언론사명 : 연합뉴스 / 2022. 12. 11. (일) 제목 : 이주호 “수시모집 역풍 반성해야... 교사 책임 가장 커” 현장에서 힘들게 노력하고 계시는 많은 선생님들께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인이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수시제도의 가장 큰 문제는 수업의 변화, 교사의 변화가 없었던 것"이라는 발언이, 마치 입시 논란의 책임이 교원들에게 있는 것처럼 잘못 전달되었습니다. 저의 본래 취지는 교사의 책임감 있는 변화 없이는 수시제도에 대한 신뢰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지 결코 교사 탓을 하고자 한 것이 아닙니다. 현재 입시제도가 여전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크나큰 고통이 되고 있는 것은 교육계 모두의 책임이며 그 중에서도 교육부 수장인 본인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도입되면서 교육에 대한 침해 유형이 다양해지고, 위중한 사건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교사의 영상 사진을 캡처하고, 편집하여 무단 배포를 하는 것이 바로 그 예인데요. 이는 모두 교육활동 침해에 해당됩니다. 그렇다면 교육활동 침해란 무엇인지 발견팀과 함께 영상으로 알아볼까요? 교육활동 침해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교원지위법) 제15조 1항 '소속 학교의 학생 또는 그 보호자 등이 교육활동 중인 교원에 대하여 교원지위법 관련 법규에서 정하고 있는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경우' 교육활동 침해 유형 상해와 폭행의 죄 협박의 죄 명예에 관한 죄 손괴의 죄 교육활동 침해의 유형과 사례 1. 상해와 폭행의 죄 상해 : 신체적 건강 훼손 또는 신체의 생..

뉴스에서 교권 침해 소식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저는 평소 교육 이슈에 관심이 많은 편이라 관련 기사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편인데, 최근 교권 침해와 관련된 기사를 빈번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교육활동을 침해하는 행동을 알아보고, 이를 예방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육활동 침해 행위란? ‘교육활동 침해 행위’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교원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개정된 교육부 에 따르면 교육활동 침해 행위의 유형은 첫째, 형법에 명시된 ‘공무 방해에 관한 죄’ 또는 ‘업무방해에 해당하는 범죄 행위’, 둘째, ‘교육활동 중인 교원에게 성적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셋째, ‘교원의 정당한 교육활동에 대해 반복적으..

□ 제41회 스승의 날 기념 유공 교원 3,182명 포상 및 표창 □ “선생님, 고맙습니다! 선생님, 응원합니다!”를 주제로 비대면 기념 행사 개최 교육부는 제41회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교육 현장에서 헌신하는 교원들을 격려하고자, 사명감을 가지고 솔선수범하는 유공 교원 3,182명*에게 정부포상과 표창을 수여한다. * 정부포상(훈·포장 34명, 대통령표창 95명, 국무총리표창 109명),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표창 2,944명 (붙임1. 우수 사례집, 붙임2. 수상자 명단) 스승의 날 기념 유공 포상은 국내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와 대학, 해외 교육기관, 평생교육시설 등에서 남다른 봉사와 헌신을 하는 등 교육활동에 뚜렷한 공적이 있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다. 정부포상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은 시도교..

□ 유네스코학교 온라인 국제교류 실시 방안과 사례 소개를 위한 교원 및 관계자 대상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교육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한경구)는 5월 11일(수) ‘유네스코학교 제2차 교원 공개토론회(포럼)’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유네스코학교 교원 공개토론회(포럼)’는 국내 유네스코학교* 관리자와 담당 교사,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관계자,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등이 참여하여 유네스코학교 활동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행사이다. 2022년도에는 각기 다른 주제로 총4회**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하며, 이번에 개최되는 2회 차 공개토론회(포럼)는 ‘학교 간 온라인 국제교류 실시 방안 및 사례 소개’를 주제로 한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개회 인사에 이어, 김다원 광주교대 교수가 온라..

□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복지향상 및 처우개선, 교권 확립 및 전문성 강화, 교육 환경 개선 등을 위한 교섭·협의사항 합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하윤수, 이하 한국교총)는 2020~2021년 상반기 교섭‧협의 합의서에 3월 8일(화) 서명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총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지위향상을 위해 지속해서 교섭‧협의를 추진해왔으며, 이번 합의는 1992년 이후 31회째가 된다. 한국교총의 교섭‧협의 요구에 따라 본교섭‧협의위원회(개회식)와 수차례의 실무협의를 거쳐 최종 합의에 이르게 되었다. 다만,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양측 대표의 합의서 서명은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번 합의는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복지향상 및 처우개선, 교권 확립 및 전..

◈ 현장 교원 220여 명과 함께 진솔하게 이야기하는 소통의 장 ◈ 교육부, 교원 간 공유를 지원하는 ‘잇다’와 ‘지식샘터’ 소개, 교직 선배가 들려주는 생생한 경험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운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잇다*’와 ‘지식샘터**’의 활용 방법을 공유하고, 코로나19로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생생한 이야기를 나누기 위한 ‘잇다×지식샘터 온라인 특별연수’를 12월 6일(월)에 개최한다. * 잇다(ITDA, ICT-based Teacher Development Assistant platform) : 공공·민간 공개 교육용 콘텐츠를 수집하여 교원이 수업자료로 제작·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원 전용 디지털콘텐츠 운영체제(플랫폼) / 2021.8월 정식 개통 ** 지식샘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