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부서포터즈 (41)
교육부 공식 블로그

여러분! 학생언어문화개선 교육주간을 알고 계시나요? 학생언어문화개선 교육주간은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이 매년 9월 4주부터 10월 2주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9월 2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하는데요. 저와 함께 학생언어문화개선 교육주간에 대해 알아보고, 활용하기 좋은 프로그램 살펴볼까요? 학생언어문화개선 캠페인은 청소년기의 건전한 언어 사용 습관을 익히고 학교폭력을 예방하며 인성교육을 통해 행복한 학교 문화를 조성하는 활동입니다.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교폭력의 유형 중 언어폭력의 비중이 41.8%로 가장 높았는데요. 저는 이를 통해 학생언어문화개선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느꼈습니다. ▶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https://www.moe.go.kr..

가을바람이 점차 시원해지고 계절이 바뀌기 시작한 지금, 우리의 최대 명절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추석은 다양한 농산물이 풍부하게 수확되는 시기인 매년 음력 8월 15일로, 수확 감사의 의미를 함께 갖고 있습니다. 올해 추석은 9월 29일로 임시공휴일을 포함해 6일간 연휴를 즐길 수 있는데요. 오늘은 추석을 맞아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 전통 놀이 및 문화 행사 등을 소개하겠습니다. 추석맞이 교육 프로그램 1. 2023 국립민속박물관 추석한마당 ‘보름달이 떴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9월 28일(목), 30일(토), 10월 1일(일) 3일간 추석한마당 ‘보름달이 떴습니다’를 주제로 행사를 진행합니다. 추석 세시풍속 체험과 공연, 풍년을 감사하고 축하하는 의미를 담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는데요...

평생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데요. 대학 입시부터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학생 등을 위한 이력부터, 검정고시 등 다양한 교육기관의 배움을 통해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평생학습 정보를 하나로 모아 관리할 수 있는 평생학습계좌제 누리집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정보를 하나로 모아 관리한다! 그렇게 다시 나아갈 곳을 확인할 수 있는 평생학습계좌제 먼저, 평생학습계좌제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평생학습 이력을 개인별 학습 계좌에 모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기록하는 국가평생교육제도입니다. 누리집에서 다양한 학습경험을 개인별 학습 계좌에 누적·관리하고, 그 결과를 학력·자격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력 사항, 평생학습 이수, 자원봉사활동 등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

무더운 여름도 지나가고, 어느덧 선선한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공모전 참여를 통해 새로운 계절을 맞이하는 것은 어떠신가요? 지난 8월부터 ‘공동교육과정 수기 공모전’과 ‘공동교육과정 사례 공모전’이 개최되어 10월 3일까지 접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공모전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공동교육과정이란, 단위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웠던 소인수·심화 과목 등을 학교 간 협력을 통해 운영하는 교육과정입니다. 공동교육과정 공모전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기’공모전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공모전으로 나뉘는데요.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수기 공모전 먼저, 공동교육과정 수기 공모전에 대해 알아볼까요? ‘내가 경험한 공동교육과정 이야기’를 주제로 직접 경험한 공동교육과정의 장..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습니다. 한 아이를 온전히 양육하기 위해서는 가정을 포함해 지역사회 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미인데요. 오늘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아이들을 위해 사회공헌을 할 수 있는 방법, 교육기부를 소개하겠습니다. 교육기부는 기업·대학·공공기관·개인 등 사회가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유·초·중등 교육활동'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비영리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이들이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는 길을 알려주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교육기부 수혜 신청방법 그럼, 교육기부는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바로, 교육기부 포털(www.teachforkorea.go.kr) 에서 프로그램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

여러분 9월 셋째 주 토요일이 무슨 날인지 알고 계시나요? 바로,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년을 위한 법정기념일로 ‘청년의 날’입니다. 청년의 날은 청년의 권리보장 및 청년 발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청년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올해 4회를 맞이한 청년의 날은 기념식부터 관련 축제, 프로그램 등 다양한 행사와 정책들이 진행되는데요. 그럼, 교육분야 청년정책은 어떤 내용이 있는지 함께 확인해볼까요? ▶ 청년의 날 기념식 누리집 : https://2030fair.co.kr/ 교육부에서는 청년들의 학업과 진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는데요. 국가장학금, 거주, 취업 등 지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K-MOOC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제도 등 미래역량을 강화하고 진..

안녕하세요. 교육부 서포터즈 누리울림입니다. 누리울림은 세상이라는 뜻의 ‘누리’와 울려 퍼짐을 의미하는 ‘울림’의 합성어로, 교육정책을 널리 알리고 국민에게 울림을 주는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2021년부터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별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국민의 시각에서 교육정책을 설명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교육부 홍보 콘텐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또한, 저작권 교육부터 기사 작성법 등 서포터즈 활동에 필요한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서포터즈 역량강화 교육과 대면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콘텐츠 제작 강의 및 실습과 서포터즈 활동에 대해 함께 의견 나누는 시간이 되었는데요. 그럼, 현장에 다녀온 생생한 후기 함께 보실까요? 서포터즈 활동하면서 콘텐츠 제작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을 체험하고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아시나요? 바로 디지털새싹 캠프입니다.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함께 2022년 겨울방학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디지털새싹 캠프를 소개하고, 여름방학에 진행한 캠프 후기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새싹 캠프 소개 디지털새싹 캠프는 전국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체험 등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는데요. 디지털 교육 전문가에게 인공지능과 데이터, 융합형 문제해결 등 최신 기술을 배우고 디지털 사회 쟁점을 반영한 주제를 통해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력, 자기 주도성, 협업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합니다. 작년 겨울방학부터 운영된 디지털새싹 캠프는 25만여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