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 (1051)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부를 상징하는 새로운 디자인(MI) 확정 - 가르침과 배움의 끊임없음, 희망․창의․열정․미래를 의미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국민과 함께, 국민이 공감하는 ‘행복교육’을 실현해 나가자는 취지에서 행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교육부 상징 디자인(Ministry Idendity)을 개발․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 23일부터 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부 상징 디자인 학생 아이디어 공모전’에는 전국에서 1,473명이 응모했으며,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한 6편에 대한 네티즌 투표에는 8,432명이 참가했습니다. 교육부의 상징 디자인 중 상징마크는 ‘ㄱ'과 ‘ㄱ’을 360도로 배치한 ‘ㅇ’의 형태로, ‘교육’ 두 글자의 초성에서 따와 ‘교육..
식목일에 나무 심으시나요? 부산에서는 매년 식목일 즈음에 나무심기행사가 곳곳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행사는 2011년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화전산업단지 녹지대에 왕벚나무와 이팝나무, 철쭉 등 약 13,000주의 나무를 부산시민의 손에 의해 심어졌다고 합니다. 여기에 우리 가족들도 한몫했답니다. 그래서 우리 가족에겐 나무 심기 행사가 남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날입니다. 올해도 우리 가족은 나무를 심었습니다. 올해 나무 심기 행사는 6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는데요, 우리 가족은 다자녀 가정의 '행복나무심기' 코너에 이팝나무를 심었습니다. 처음 참가할 땐 아이들을 깨워서 가는 것이 정말 힘든 일이었습니다. 놀고 싶어하는 아이들을 이른 아침부터 깨워서 밥도 먹는 둥 마는 둥 하면서까지 몇 년 동안 참가하고 있..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지금의 위치에 우뚝 서게 된 기반은 바로 '교육의 힘'이라고 합니다. 요즘이야 책이 흔하고 교육 수단도 다양해졌지만, 옛날에는 교과서가 거의 유일한 학습 자료였고 '교육'을 이끌었던 것이 '교과서'인 만큼 교과서의 역사에서 우리 교육의 역사를 엿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지요. 선조가 서당에서 배우던 서적에서부터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 광복을 거쳐 현재의 교과서까지 전시되어있는 박물관이 있다고 해서 찾아가봤는데요, 다른 나라 교과서와 북한의 교과서까지 이곳에 다 모여있었답니다. 교과서와 함께하는 역사 여행, 함께 떠나볼까요? * 교과서의 변천사로 살펴보는 교육의 역사 * 박물관 안으로 들어가니 '교과서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 아래 개화기 이전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교과서 변..
요즘 사람들은 매우 바쁘게 살고 있습니다. 이런 바쁜 생활 속에서도 직장인들의 자기계발 필요성과 중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1,383명을 대상으로 ‘자기계발 학습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 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계발 학습 및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 응답자의 38.2%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응답했으며, 48.4%도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자신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에 관한 관심이 늘면서 새로운 자기계발 및 연수 방법으로 스마트 러닝에 관한 관심이 늘고 있는데요. 이러한 사회변화를 반영하여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스마트 러닝을 위한 모바일 연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서 살펴보았습니다. ◎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스마트 러닝)은 스마트기기(스마..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 한번에 다운받기 아이디어 팩토리가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해 주세요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법 - 왕자의 교육법을 통해 배우는 심신교육의 중요성! - 기본만 알면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없었던 예전과 달리 전 세계사람과 경쟁해야 하는 요즘엔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아이들을 키워야 할지 고민하는데요. 교육에 관한 고민은 지금뿐 아니라 예전부터 있었을 거에요. 과거에 한 나라를 다스려야 하는 왕자는 어떤 교육을 받았을까요?그전부터 왕자교육이 시행되었겠지만, 체계적으로 왕자의 교육이 시행된 것은 조선 시대 태종 때부터라고 합니다. 왕실에서는 자손이 생기면 태교부터 시작하였는데요. 임신기간에는 왕실의 보호와 통제 아래에서 철저한 태교와 건강관리가 이루어졌습니다. 영아기에는 부라부라 불불, 도리도리 짝짜꿍, 곤지곤지 잼 등의 손놀림으로 두뇌발달 운동을..
「글로벌 인재포럼 2012」개최 - 10.23(화) ∼ 25(목), 3일간 인재개발 및 국제 경제 전문가 한 자리에 모여 「교육과 복지의 연계 방안」논의 -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경제신문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공동으로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롯데호텔에서 “교육이 최고의 복지다”(Better Education, The Best Welfare)를 주제로「글로벌 인재포럼 2012」을 개최합니다. 2006년에 창설된 이래 7회째를 맞게 된 이 포럼은 세계 각국정부·국제기구, 글로벌기업 대표, 대학총장 및 세계 석학 등이 참여하는 인재양성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포럼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60개국 200여명의 해외연사 및 참석자를 비롯하여 국내·외 참가자 규모가 6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