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가교육위원회 (1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교육장의 분장 사무에 고등학교를 포함하고, 학교지원 기능 명시 추진 ◈ 교육자치정책협의회 법제화로 교육자치를 종합⸱체계적으로 추진 ◈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 추진 ◈ 교과용 도서 인정 권한을 교육감에게 이양 추진 ◈ 국가교육위원회의 안정적인 출범을 위한 교육부-국가교육회의-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공동 협력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 최교진)는 7월 27일(화) 제8회 교육자치정책협의회(이하 ‘교자협’)를 개최하였다. 이번 교자협에서는 그동안의 심의․의결했던 사항들에 대한 후속 조치를 점검하고,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법령 정비 및 향후 계획’을 비롯한 교육자치 확대를 위한 2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심의안건 ‘교육자치 강..

◈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일관된 교육정책 추진 기틀 마련 - 학생․청년 및 학부모 참여보장, (전문)대교협, 교원관련 단체 등 다양한 추천 - 상시적 국민의견 수렴기구인 국민참여위원회 운영 등 국민의 정책결정 참여 확대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국가교육위원회 신설은 백년대계 교육을 위한 초석, 새로운 시작“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1일(목) 제388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법’)」이 의결되었다고 발표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법은 공포 1년 후에 시행되므로, 내년 7월 중순에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는 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해 (가칭)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준비단을 구성하고, 법에..

◈ 유기홍 국회교육위원장, 국가교육회의, 교육부 등 총 6개 기관 공동주최 ▶ 국가교육위원회, 왜 필요한가? ▶ 국가교육위원회를 통해 미래의 교육개혁은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는 유기홍 국회교육위원장, 교육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11월 24(화)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국가교육위원회 설립 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국회에 이어 21대 국회에서도 유기홍 국회교육위원장 등 총 4건*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어 심의중인 가운데,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방안을 주제로 교육계, 전문가, 일반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토론회는 11월 2..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방안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되오니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행사일시 : 2020. 11. 24 (화) 14:00 ~ 16:00 ✅ 참여방법 :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 (국가교육회의,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 채널) #국가교육위원회 #정책토론회 #국가교육

교육자치정책협의회는 정부와 시도교육청, 민간전문가가 함께하는 교육거버넌스 기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교육 분야 또한 자치와 분권에 기반한 교육체제의 대전환을 위한 비상한 노력이 필요한 때로 학교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과감한 제도 정비와 신뢰 기반의 교육적 관계와 문화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자세히보기 : bit.ly/2DdIINv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학교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자치 강화 방안 확정 ◈ 국가교육위원회의 조속한 설치 공동 노력 방안 심의 및 결의안 채택 ◈ 학교운영위원회에 학생 위원 참여 등 학교자치 확대 법률개정 추진 ◈ 법령 의무교육(범교과학습) 교육과정 단계별 정비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최교진)는 8월 28일(금) 서울 한국교직원공제회에서제6회 교육자치정책협의회(이하 ‘교자협’)를 개최하였다.교자협은 교육부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중심(공동의장: 교육부장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이 되어 교육·학예 분야의 지방분권, 학교민주주의 등 교육자치를 종합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17년에 설치된 협의체 기구이다. 지난 7월, 제8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출범에 따라 위원이 새롭게..

국가교육회의 제2기 활동 백서 발간 - 2기 운영 및 활동 결과, 2030 미래교육 비전 및 중장기 정책 의제 등 수록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는 2019년 한 해 동안의 활동 결과를 정리한「제2기 국가교육회의 백서」를 발간하였다. 올해 국가교육회의는 산업사회에서 지능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2030 미래교육체제 수립 준비와 이를 구현할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 추진, 다양한 교육주체들과의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사회적 협의 모델 마련 등에 주력했다. 제2기 백서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기 국가교육회의 운영 및 주요 활동 결과, 2030 미래교육 비전 및 중장기 정책의제, 이해관계자 및 대국민 소통 결과 등을 수록하고 있다. 국가교육회의의 개요와 구성 등을 담은 1장에 이어, ‘2장 국가교육회의 ..

제12차 국가교육회의 및 특성화고 현장간담회 개최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는 8월 21(수), 오후 2시부터 특성화고 현장(서울방송고등학교)에서 제12차 국가교육회의를 개최하여 『청년특별위원회 설치·구성(안)』을 심의․의결하고,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한-OECD 국제교육콘퍼런스 추진상황 등을 논의한다. 오후 4시부터는 국가교육회의 위원들이 특성화고 학생, 졸업생, 교사, 교장 등과 『특성화고 현장 간담회』를 갖고 특성화고의 교육, 취업, 진학 등에 대해 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들을 예정이다. 이번 제12차 국가교육회의에서 심의·의결하는 청년특별위원회는 청년들이 주체적으로 교육의제를 발굴하고 교육 현안에 대한 조사·토론, 다양한 청년(단체)들과 연대, 교육의제 관련 공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