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자단 (204)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함께 성장하는 참여,미국 학생들의 자원봉사 미국의 학교 생활에서 금세 친숙해지는 단어 중 하나가 '자원봉사'(Volunteer)입니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자원봉사를 격려하며 기회를 제공하고, 학부모 역시 크고 작은 행사나 수업 준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죠. 덕분에 초등학교 때부터 학교 안 자원봉사 활동 기회가 주어지며 중학생이 되면 공동체로 나아가 참여하는 등 활동 범위가 보다 넓어집니다. 학교 안 뿐만 아니라 스포츠 수업이나 커뮤니티 행사와 같은 학생들을 위한 많은 활동이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미국 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교 차량 질서 안내 자원봉사 20분 먼저 등교, 친구들 차량 인사해요한 초등학교에서 매해 모집하는 학생 자원봉사는 '등교 차량 질서 안내'입..
2016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수험생 유의사항 시험장에서 불이익 당하지 않도록 수험생 유의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시길 바랍니다.좋은 결과 얻을 수 있도록 모든 수험생들을 응원하겠습니다!(*교육부 기자단 김지원씨가 제작해 주셨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땅,독도에 가다– 서울시남부교육지원청 중학생 독도탐방기 - 1900년 10월 25일 고종은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서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정하여 공표하였습니다. 10월 25일 독도의 날은 이를 기념하여 제정된 것이라고 하는데요. 지난 10월 저는 독도의 날을 앞두고 직접 독도를 탐방해 보는 뜻 깊은 경험을 하고 왔습니다. ▲ 중학교 독도탐방단의 모습 올해 서울특별시남부교육지원청에서는 관내 중학교 대상 공모를 통해 학생 16명과 인솔교사 9명의 중학생 독도탐방단을 구성했습니다. 독도탐방단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2박3일간의 울릉도·독도 탐방을 통해 나라사랑과 독도사랑 정신을 일깨우고, 우리 역사에 대한 바른 이해와 국토 수호 의지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새벽부터 밤늦은 시각..
다가오는 수능,우리 교실은 어떤 모습?서로가 예민한 상황, 힘든 경우 많아코앞으로 다가온 수능, 현직 고등학교 선생님들의 조언은? 대한민국의 고3 학생들이 긴장하는 시간, 수능이 벌써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수능을 위해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은 이제 공부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고3 학생들의 교실은 어떤 모습일까요? 전국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모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9월 모의고사 결과 때문에 고민이 많은 학생, 수시에 미리 합격한 친구들 이야기, 서로 예민해진 탓에 냉전상태인 교실 에피소드, 힘들지만 서로 힘내서 공부하자는 활기찬 교실의 모습까지. 수능을 앞둔 여러가지 교실의 풍경을 다같이 들여다볼까요? ■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알아보자!20..
동서양의 문화가공존하는 마카오 ▲ 마카오 국기(출처: 무료이미지 사이트 픽사베이)(좌) / 마카오 지도(출처: 구글맵)(우) 마카오에는 과거와 현재, 동서양의 신·구 문화가 함께 공존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지난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홍콩과 함께 마카오를 여행하였습니다. 그 중 동서양의 문화가 함께 어우러진 마카오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마카오의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마카오특별행정구이며, 중국 남부에 홍콩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557년 포루투갈이 마카오를 특별 거주지역으로 지정한 이래 1999년 포르투갈에서 중국으로 주권이 반환되었습니다. 그렇게 약 450여 년간 포르투갈의 지배아래 있던 터라, 마카오는 기존에 있던 동양 문화에 서양의 문화가 한 공간 아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4..
감정조절프로그램으로건강하게감정표현하는교실 만들기-대구교육청에서 개발한 감정조절프로그램으로행복한 교실 만들어보다!- 저희 반은 착하고 바른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2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른 반 선생님이며 학부모님들까지 모두 순한 친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다행이라고 이야기하시지요. 이렇게 순하고 착한 이 친구들 간에도 다툼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친구들과 다투는지 살펴봤습니다. 상황 1.줄 맞추어 앉아서 기다리는 중, 앞 친구가 밀어서 A가 조금 뒤로 밀렸다. 그러자 뒤에 있던 B가 화를 냈고 A는 자기가 밀친 것이 아니라며 화를 냈다. 그리고는 서로를 탓하며 화를 냈다. 상황 2.피구를 좋아하는 A가 피구를 하고 있던 B에게 함께 하자고 하였으나, B는 지금 시합 중이니 다음 판에 ..
에듀팟(EDUPOT),어떻게 작성하고활용할 것인가? 중・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에듀팟에 대해 알고 있을 것입니다. 평소에 에듀팟을 성실히 작성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해 온 학생들도 있겠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구체적인 작성법을 잘 모르거나 필요성을 못 느껴 거의 활용을 못하고 있는 학생들도 많다고 하네요. 저 같은 경우는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에듀팟을 꾸준히 기록, 관리해서 제1회 전국 에듀팟 포트폴리오 경진대회(2014)에서 최우수상(교육부장관상)을 받기도 하였는데요.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에듀팟의 작성법과 활용법을 상세히 소개해 드릴까 해요. ■ 에듀팟이란? 에듀팟(EDUPOT)이란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교 내외의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기록·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친구들과 함께가을의 제주도로떠나요! 지난 10월 13일, 제가 재학 중인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에서는 1·2학년 모두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났습니다. 원래 1학년일 때 수학여행을 가는 것이 원래 학교 측의 계획이었는데요, 작년과 올해 모두 봄에 예정되어 있던 수학여행 일정이 취소되는 바람에 이번 가을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봄에 예정되어 있던 수학여행이 취소된 이후로 2학년 학생들은 수학여행을 가지 못한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친구들과 선생님 모두 내심 아쉬워하고 있었죠. 하지만 여름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학식에서 교장 선생님이 수학여행 계획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중간고사가 끝난 그 다음주에 수학여행을 떠난다는 것이었습니다. 친구들이 모두 장기자랑 연습을 하고 설레는 마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