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술 (15)
교육부 공식 블로그

학교에서 준비하기 어려운 논술위주전형과 어학⦁글로벌 등 특기자전형을 단계적으로 폐지하여 대입전형을 학생부위주전형과 수능위주전형으로 단순화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bit.ly/2L5bsJ1 #교육부 #대입제도 #대입공정성강화 #전형_단순화 #논술 #어학_글로벌_특기자

학종과 논술위주전형으로 쏠림이 있는 서울 소재 16개 대학을 대상으로 2023학년도까지 수능위주전형으로 40%이상 선발하도록 권고할 계획입니다. ▶자세히 보기 https://bit.ly/2L5bsJ1 #교육부 #대입제도 #대입공정성강화 #전형_간_균형 #학종 #논술 #정시

2019학년도 대학별고사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 발표 - 교육부, 공교육정상화법 위반대학 5개교에 대해 시정명령 확정 - 2년 연속 위반대학 없어, 선행학습 영향평가 현장에 정착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0월 16일 제2회 교육과정정상화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2019학년도 대학별고사를 실시한 대학 가운데 공교육정상화법을 위반한 5개 대학*에 대한 시정명령을 확정하였다. * 대전대, 동국대(서울), 중원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산업기술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행교육예방연구센터는 2019학년도 대학별고사(논․구술, 면접고사)를 실시한 53개 대학의 1,590개 문항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위반 여부를 분석(2019.4~7월)하였다. 이후 교육부는 제1회 심의위원회(2019.8.29.)를 개..
전국교사대회,민중총궐기대회 등집단 행동 자제 요청- 교원들은 교육자로서 본연의 직무 수행에 전념해야 교육부는 2015.11.14(토) 열릴 예정인 대규모 집회와 관련하여 전교조가 주도하는 집단행동에 대하여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교원들에게 교육자로서 본연의 직무에 충실해 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특히, 2015.11.14(토)은 서울시내 등 11개 대학에서 대입 수시 논술시험이 예정되어 있어, 혹시라도 집회에서 불법 폭력시위 등 불미스러운 사태가 발생하여 일생일대의 중요한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들에게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우려했습니다.(※ 2015.11.14. 논술전형 예정 대학 : 서울 9개교, 수도권 2개교) 이에 따라 교직원,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께도 대규모 시위로 인하여 수험생들이 논술시험..
이제 학교에서 논술을 배워요 사교육 없는 논술 논술교육 I 논술 I 공교육활성화 I 학급 논술 수업 I 자기주도학습지난해 9월, 교육부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일부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많은 학생, 학부모 그리고 선생님의 관심을 받았는데요, 바로 논술교육 의무화에 대해 다루었기 때문입니다. 이 법안에 따르면 고등학교 생활, 교양 교과 영역의 선택과목에 논술을 추가하여 학교가 논술을 필수로 지도해야 합니다. 발표된 이후, 새로운 정책에 대한 논란이 많았습니다. 논술 과목의 내용은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하여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기 때문입니다. 학교별 편차에 따른 수준별 논술 교육이라 평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새로 개정된 대학 입시 요강은 논술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상황에..
진로탐색도 하고, 논리력도 쑥쑥! 학교에서 배우는 NIE NIE I 신문학습 I NIE교육 I 한국언론진흥재단 I 논술 I 논리력 I 진로교육NIE 교육에 대한 관심신문에는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날과 같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걸러진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언론과 신문은 더 중요한 지위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런 신문에 한자가 들어 있다는 이유로 아이들이 외면하거나, 가정에서는 다른 학습할 시간을 빼앗긴다는 등의 이유로 도외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문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기를 수 있고,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TV에서 볼 수 없었던 더 다양한 소식을 접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눈을 어린아이들에게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에서 신문학습(NIE)에 관심이 쏠리고..
강원도 홍천교육지원청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하나로 "유레카" 토론 동아리를 실시하였습니다. 홍천여자중학교 교육복지사 윤연희 선생님은 복지대상학생들 10명을 구성하여 매주 월요일 방과 후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토론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이고 조리 있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아울러 교육 취약계층 학생의 발표력과 표현력을 증진해 학교 적응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토론(DEBATE)이란? 학생들이 제시된 주제와 관련된 준비를 하여 서로 반대되는 입장에서 형식이 분명한 토론을 하는 과정입니다. 주제에 대한 깊고 논리적인 인식을 추구하고 팀워크 활동을 통해 지도력을 향상하며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연설..
Q 이번에 발표되는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이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A 그간의 대학별 입학전형은 사용하는 전형요소, 반영비율, 전형방식 등이 대학마다 너무 복잡하고 자주 바뀌어서 학생, 학부모의 대입준비 부담이 컸습니다. 특히, 대학이 학생의 소질과 적성보다는 학력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지나치게 경쟁하는 한편, 고교에서 준비하기 어려운 전형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이 “고교 밖의 교육”에 의존하게 되는 부작용도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본 시안은 대입전형을 간소화하면서 그 내용을 사전에 예고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가 쉽게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워주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고 고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