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교육 (9)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 아이들의 성교육,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을까요? 위의 사진은 현재 성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학생들이 카카오톡을 하는 상황처럼 만들어서 성교육의 문제점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 상황입니다. 메신저 내용에서 드러나는 성교육의 문제점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로는 형식적인 교육에 대한 비판이고 두 번째로는 교육의 질이 학교마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는 미투 운동으로 성 인식을 키워갔지만 우리 교육은 여전히 정자 난자가 만나는 이야기에 머물러있습니다. 학교 성교육의 실태는? 올해 5월 30일 국무총리 산하 여성정책 전문 정부 출연연구기관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전국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총 4065명(여학생 1954명, 남학생 2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성교육 수요 조사..
청소년 성교육, 성(性)에 대한 솔직한 토크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가끔 돌발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선생님! 아기는 어떻게 만들어져요?" "정자는 뭐예요?" 이러한 질문을 들었을 때 어떻게 대답해줘야 하면 좋을까 고민하곤 했는데요. 여러분이 선생님이라면 어떻게 대답을 할 것 같나요? 특히 그 대상이 초등학교 1~3학년 저학년이라면요? 학생들과 성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는 누구나 어떤 단어를 활용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할지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런 고민을 가진 선생님들을 위해 학교 현장에 직접 찾아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성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설명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전국 각 시·도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성문화센터’가 그것인데요. 이중 ..
성폭력 예방 교육, 이렇게 하고 있어요 싫어요, 안돼요, 도와주세요 성폭력예방 I 성교육 I 아동보호전문기관 I 이럴땐 싫다고 말해요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성폭력 인형극 스웨덴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의무화한 나라로 유명합니다. ‘부모가 자녀의 학교 성교육을 반대할 수 없다.’는 법 조항이 있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성범죄가 증가하고 피해 대상의 나이가 낮아지면서 초등학생과 부모님들은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수 초등학교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성폭력 예방 인형극을 관람했습니다. [이럴 땐 싫다고 말해요]라는 주제로 인형극단 ‘별’에서 공연을 했습니다. 아이들은 성폭력 예방을 위해 어린이들이 꼭 알고 지켜야 할 수칙들을 배우고, 갑자기 위급한 상황에 부닥친다면 어..
우리가 궁금해 하는 성을 시원하게 만나보세요 엄마, 난 어떻게 만들어졌어요? 목포청소년성문화센터 I 성교육 I 성문화 I 피임지난 가을 아이들과 함께 목포청소년수련원을 찾은 적이 있습니다. 1박 2일에서 어떤 연예인이 나왔다고 좋아하며 졸라서 수련원만 찾고 옆에 있는 성문화센터는 방문하지 못하였습니다. 과연 목포청소년성문화센터는 어떤 곳인지 궁금하여 그곳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우리는 성에 대한 단어가 나오면 쑥스럽고 부끄럽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엄마, 난 어떻게 태어났어요?”라고 묻는다면 자신 있게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청소년이 아니 엄마, 아빠가 알아야 할 성 이야기를 목포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만나봅니다. 목포의 청소년성문화센터는 목포청소년수련원과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알려줄까? ‘선생님 궁금해요’ 장애학생을 위한 성교육의 해결사 등장 청결한 몸 I 성장에 따른 신체변화 I 사랑의 종류와 표현방법 I 감정표현하기 국립특수교육원에서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의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장애학생용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 아시나요? 장애학생이 있는 일반 학교나 특수학교에서는 장애학생의 인권보호 및 성폭력 예방을 위해 일 년에 2회 이상 성교육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장애학생의 수준에 맞는 성교육 프로그램이나 성교육 교재가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특수교육원에서 학생과 학부모, 선생님 모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제 머리가 장애학생의 성교육을 하기 위해 ..
2008년, 전국민이 바란 우예슬과 이혜진 어린이들의 무사 귀환. 하지만 그들은 어이없게도 끔찍한 방법으로 살해된채 주검으로 돌아오고 말았다. 나는 사망 소식이 전해지기 전까지 노란 리본 매달기 운동으로 그 아이들의 안전을 바랐지만, 살해소식을 듣고 정말 충격을 받았었다. 이 사건 말고도 많은 다른 사건들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성폭력/성희롱 문제들의 심각성을 일깨워주었다. 나도 많은 다른 피해자들처럼 아직 어린 학생이기 때문에 이 문제로 자주 두려움을 느낀 바 있다. 그래서 알아보았더니 우리나라에도 청소년 성문화체험센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산시 청소년 성문화센터를 찾아가 보았다. 먼저 정자방이라는 곳에 도착했다. 그곳에서는 정자에 관하여 설명을 들으며 배울 수 있는 곳이었다. 옆에서 반짝거리..
동생집은 휘경여중·고 바로 앞에 있다. 서울에서 일이 있을 때마다 동생집에서 자고 온다. 며칠 전 토요일에도 동생집을 나와서 집으로 돌아 가려고 하는데 여러 명의 여중생들이 아파트로 들어 오고 있었다. 한 학생이 목발을 집고 있었다. 양쪽에 친구 학생들이 친구의 소지품을 들어주고 함께 가고 있었다. 나는 큰길 가로 나와서 휘경여고 바로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에서 하교하는 학생들을 지켜 봤다. 모두 똑같이 단정한 모습이였다. 남자 선생님 한 분이 하교 지도를하고 있었다. 한 달에 한번 정도 서울에 올라가는데 늘 '휘경여중고 학생들은 참 단정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파트로 다시 들어 와서 멀리 가는 학생들을 불러 세웠다. 뒷모습만 찍겠다고 허락을 받고 사진을 찍었다. 집에 와서 사진을 올리고 보니 치마길이가 ..
기자가 진짜 ‘성(性)교육’, 요즘말로 ‘레알(Real) 성교육’을 접한 때는 중학교 2학년. 그러니까 한국 나이로 15살 때 일이다. 지금도 과연 내가 제대로 알고 있는지, 배운 것을 제대로 실천(?) 하고 있는지 장담은 못하겠지만. 동, 서양의 문화 차이가 많이 극복되었다고는 하지만 성교육, 그리고 성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는 아직도 많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캐나다 나이로 15세이면 성에대해서는 ‘박사학위’를 받아도 모자람이 없을 나이니까. 캐나다 성교육, 한 번 파헤쳐보자. 팍팍! 학교에서는 대개 5학년부터 기초적인 성교육을 실시한다. 이 덕분에 학생들은 아기가 황새가 물어다 준다거나, 다리 밑에서 주어 왔다는 이야기는 그냥 동화에 불과 했구나 라는 것을 일찌감치 알게 된다. 6학년 때 부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