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능 (277)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0VUu/btrd2yKENXH/KKyeciMXRK1fulzzGXXFgk/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2021. 11. 18.(목)에 실시되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접수 및 변경 기간: 2021. 8. 19.(목)∼9. 3.(금) 접수 장소: 시험지구 교육지원청(86개) 및 학교 지원자 현황 (단위: 명) 학년도 자 격 별 성 별 합 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남 여 2022 360,710 (70.8%) 134,834 (26.4%) 14,277 (2.8%) 261,350 (51.3%) 248,471 (48.7%) 509,821 (100%) 2021 346,673 (70.2%) 133,070 (27.0%) 13,691 (2.8%) 254,028 (51.5%) 239,406 (48.5%) 49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aJ2Q/btrdTSbaaYc/tJdvXE1iRC8Nu3Dvgig5v1/img.png)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9월 모의평가 시험지 유출 정황에 대한 언론보도와 관련하여 관련자 및 학교에 대한 엄정한 조치를 위해 수사의뢰를 추진한다. ※ “담임이 몰래 줬어요”...수능 모의평가 사전 유출?(MBC, 9.2.) 교육부는 신속하고 엄정한 후속 조치를 위해 금일 동 사안에 대한 수사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후 수사 결과에 따라 관련자 및 학교에 대한 조치 등 모의평가를 주관하는 해당 교육청에서 후속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시험지 관리 및 보안 등 제도적인 보완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필요한 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향후 해당 사안이 엄정하게 처리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향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모든 수험생들이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할 것이다. ※ 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ywi2/btrc3pUhfTn/DkKRJBY5h3NdlOADQeIihk/img.png)
고등학교 1학년 주.목. 2023년 11월 16일(목)을 체크해주세요.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일입니다. 2022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체제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URL : https://bit.ly/2WnYKxM #교육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고1 #고등학교1학년 #수능 #수능시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일시 : 2023년 11월 16일 (목) 2022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체제 동일 적용 •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 '공통+선택' 과목 구조 • 사회·과학탐구 영역 총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응시 • 제2외국어 / 한문 영역 절대평가 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SCzq/btrcojV0PUW/6mdhEPIHNUof8TkOS4UTVK/img.jpg)
고3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슬럼프를 겪는 시기는 수능을 약 100일 앞둔 8월입니다. 그 이유는 그동안 너무 달려와서 심신이 지쳤고, 노력은 했으나 성적이 오르지 않고, 다가오는 시험에 대한 불안감 때문입니다. 실제 선생님으로서 대부분 수험생이 이 시기에 슬럼프를 겪으며 힘들어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지금 이 슬럼프를 잘 견디고 넘기면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만, 그렇지 못하면 좋지 못한 결과를 받게 되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지금까지 공부하며 달려온 수험생들이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도록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충분한 휴식을 통해 에너지 회복하기 지금 이 순간 쉬지 않고 공부하느라 몸과 마음이 지친 수험생들에게는 휴식이 필수입니다. 만일 쉬지 않고 계속 달리기만 한다면 분명 어느 순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HKlx/btq9lT0aJWz/z8XQeQo95FG4BW5XA0fruK/img.png)
2022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신청 및 접수는 6.28.(월)~7.8.(목)까지 진행되었으며, 시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집계(7.9. 17시 기준)한 결과 총 517,234명의 수험생이 신청하였습니다. 이중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수험생은 408,042명이며, 졸업생 등 수험생은 109,192명이었습니다. 구분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21학년도 수능시험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재학생 409,287 346,673 408,042 졸업생 등 78,060 146,761 109,192 합계 487,347 493,434 517,234 졸업생 등 수험생은 지난해 9월 모의평가 신청자인 7만 8천여명보다는 증가하였으나, 2022학년도 수능시험 응시가 예상되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QXpW/btq8DRPrjhA/tOl0LpedchkQekKHzbdah0/img.jp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2021. 11. 18.(목)에 실시되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세부계획을 2021. 7. 5.(월) 공고하였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사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과목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므로 해당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하고, 수능이 끝난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교육과정 근거를 공개할 예정이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는 간접연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기존 70%에서 50%로 축소한다. 간접연계의 구체적인 방식은 과목에 따라 다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SsOn/btq8rcFAgSy/XbuTb6r0OMKvpansvlFKM0/img.jpg)
"주문하신 2020 코로나19 대응 백서 나왔습니다!" 오늘은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의 하제 기자가 교육부가 발간한 2020 교육분야 코로나19 대응 백서에 대해 핵심만 짚어서 설명해준다고 하는데요! 2020년,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분야에 어떤 노력이 있었는지 궁금하셨던 분들! 지금 바로 이 영상에 집중해주세요! #코로나19 #대응 #백서 #교육분야 #온라인개학 #수능 #학교방역 #자가진단 #긴급돌봄 #현장간담회 #미래교육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1. 학사운영 정상화 노력 ✔ 초 중 고 학생 534만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개학 실시 ✔ 수험생의 평등한 응시 기회를 보장 2. 학교방역 대폭 강화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1REU/btq8lwYKKkD/6TaweG22BLK1RTDjgix4e0/img.p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6월 3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6월 30일(수)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2022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응시생 수 2022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99,818명으로 재학생은 342,630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57,188명이었다. 국어 영역 397,931명, 수학 영역 394,074명, 영어 영역 399,359명, 한국사 영역 399,818명, 사회․과학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