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에듀넷 (456)
교육부 공식 블로그
위치도 ■ 일상생활 속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지도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에는 현재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지도가 있습니다. 대형마트, 백화점에는 현재 내가 있는 층에 어떤 가게들이 있는지 알 수 있는 지도가 붙어 있지요. 이런 지도들을 ‘위치도’라고 합니다. 위치도란 어떤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내가 지금 있는 곳이 어디인지를 알게 하고, 주변에 어떤 장소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치도는 특정 장소의 위치를 알려주고 길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내도’라고도 합니다. 학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위치도로는 청소 구역 배치도가 있습니다. 청소 구역 배치도를 보면 우리 반이 청소를 맡은 구역이 어디인지, 우리 교실과 얼마나 ..
전해질을 따라흐르는 전류 전해질이 포함된 수용액에서 어떻게 전류가 흐를 수 있을까요? 많은 이온 결합 화합물은 물에 들어가면 일종의 변화를 겪게 됩니다. 이온 결합 화합물은 물속에서 물 분자에 둘러싸이게 되는데, 물 분자의 극성 때문에 부분적으로 (-)전하를 띠는 산소 원자 쪽으로 양이온이 끌리게 되고 부분적으로 (+)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 쪽으로 음이온이 끌리게 됩니다. 양이온과 음이온은 물 분자의 힘에 의해 분리되고 물 분자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화 현상’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수용액에 각각의 전극을 담그면 양이온은 (-)를 띠는 전극으로, 음이온은 (+)를 띠는 전극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이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수용액 안에서 일종의 전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염화나트..
중국의전통 가옥, 토루 ■ 독특한 모습을 한 객가족의 흙집, 토루(土樓)중국은 광활한 영토에 다양한 기후와 민족이 분포하고 있어 그에 따른 전통 가옥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세상의 모든 가옥 형태가 중국에 다 모여 있다고 해도 될 만큼 중국의 전통 가옥은 지역적 조건과 민족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중국의 전통 가옥은 기본적으로 북부 지방의 베이징을 중심으로 하는 한족의 사합원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가옥의 구조를 살펴보면 동서남북은 방으로 둘러싸고, 중앙에는 네모난 정원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각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맞게 형태나 그 기능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면, 기온이 낮은 북부 지역의 사합원은 정원을 크게 만들어 최대한 햇빛을 많이 받게 하였고, 기온이 높은 남부 지역의 사합원은..
저항의 측정 ■ 저항의 크기자동차가 도로를 달릴 때, 과속 방지턱이나 도로에 이물질이 뿌려져 있으면 달리던 속도를 줄이게 됩니다. 이렇게 자동차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처럼 전기가 흐를 때도 방해를 받게 되는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바로 ‘저항’입니다. 저항이 생기는 이유는 전자가 물질을 이동할 때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와 부딪히게 되는데 이러한 충돌은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기 저항은 옴(Ω)의 단위로 측정합니다. 저항의 크기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단면적과 길이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물질의 종류에 따라 구성하는 성분이 다르므로 전기적인 특성이 다릅니다. 이러한 물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측정한 값을 비저항(比抵抗, specific resista..
온돌로 보는문화의 특징 ■ 우리의 전통 문화, 온돌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는 다양하며 세계에 자랑할 만한 것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한복을 입는 문화가 사라진 것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이 과거의 전통 문화를 버리고 서양식을 따라가는 풍조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이어져 온 문화가 바로 온돌이며, 온돌은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문화입니다. 온돌의 과학은 서양보다 1000년 이상을 앞선 발명이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난방 방식입니다. 온돌은 따뜻하게 데운 돌이란 뜻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쾌적한 난방을 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리 서양식 아파트와 주택에 살고 있어도 온돌식 주거 문화를 버리고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한국인은 없습니다. 서양식 벽난로나 히터는 전체 열의 2..
4원소설 원소는 물질을 이루는 구성 성분으로, 더 이상 분해되지 않으며 원자의 종류를 나타내며, 원자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로,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기본 입자를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자연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물질의 구성 입자, 즉 원소에 대해 처음으로 관심을 갖고 해답을 구한 사람은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Thales, B.C. 624~546)입니다.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땅도 물 위에 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탈레스에 이어 물질의 근원에 대해 탐구한 사람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낙시메네스(Anaximenes, B.C...
사람들의 생각을나타내는 심상지도 ■ 같은 장소를 다르게 그려요.▲ 서로 다른 학생이 그린 지도(A - 좌 / B - 우)(출처: 에듀넷) 위의 지도는 두 명의 학생이 학교 주변의 모습을 그린 지도입니다. A 학생은 마트를 크게 그린 것을 보니 평소에 마트라는 장소를 매우 좋아하는 학생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트와 학교가 큰 길로 곧장 이어져 있는 것을 보니 아마 학교에 있어도 마트에 가고 싶은 학생의 마음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B 학생이 그린 지도에서는 학교 주변이 아파트로 빽빽하게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학생은 학교 건물 앞에 있는 계단이 잘 보이도록 지도를 그렸습니다. 학교 건물과 운동장 사이에 있는 계단은 이 학생이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놀기도 하는 소중한 곳입니다. 친구들과의 추억이 담긴..
위성·소행성·혜성 위성(Moons) 위성이란 행성의 주위를 도는 천체를 말하는 것으로, 8개의 태양계 행성 중 수성과 금성을 제외한 6개의 행성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수성과 금성에는 아마 위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한다 해도 대단히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개 모행성에 비해 지름이 수십 분의 1 이하이고, 질량은 수만 분의 1 이하지만 지구의 위성인 달은 예외(지름 약 4분의 1, 질량 약 100분의 1)로 모행성에 대한 비율이 태양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과 가까이 있는 4개의 지구형 행성 중에는 지구가 1개(달, 지름 3476㎞), 화성이 2개(포보스, 데이모스)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 각 행성의 위성들(출처: 에듀넷) 좀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덩치가 큰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