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재교육 (1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2월 5일(화) 국무회의에서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개정으로, 소속 학교가 없는 학교 밖 청소년이 영재교육을 받기 위하여 영재교육기관에 제출하는 선정신청서에 ‘소속 학교의 장이나 지도교사의 추천서’ 대신 ‘영재교육기관의 장이 정하는 서류’를 첨부할 수 있도록 하여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아울러, 20명 이하로 정해진 영재교육기관(영재학교, 영재학급, 영재교육원)의 ‘학급당 학생 수’를 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에서 원격으로 ‘선교육·후선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2월 26일(금)부터 4월 7일(수)까지 40일간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영재학교 입학전형에서의 상위교육과정 출제 금지 및 입학전형 영향평가 실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역량강화 방안(2019.11.)’에 따라 지난해 11월에 발표된 ‘영재학교‧과학고 입학전형 개선 방안’의 후속조치로서, 영재학교는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영재교육을 위해 지정‧설립된 고등학교 과정 이하의 학교(제2조)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입학전형에서 중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가 출제되는 등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영재학교 학교장에게 입학전형에서 사교육 유발 억제에 대한 책무..
꿈을 찾고! 꿈에 다가갈 방법을 찾고! 초등 영재교육 이렇게 합니다 영재교육 I 초등영재교육 I 공동영재학급 I 진로탐구 I 꿈과 끼영재교육의 현황영재교육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어려운 것, 복잡한 것, 아주 특별한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영재교육은 아주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일반초등학교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지역 공동영재학급입니다. 지역 공동영재학급은 5~10개교의 영재 학생들이 하나의 초등학교에 모여 함께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저의 2013학년도 지역 공동영재학급 운영 경험과 소감을 한번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영재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영재교육1) 영재학급에서의 수업내용영재학급의 수업내용은 수학과 과학 영역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간 90시간 이상 ..
2038년, 대한민국 최초의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가 된 '나영재'.하지만 그는 어린시절 아무도 관심갖지 않는, 누가 봐도 산만한 어린이였는데요.나영재를 가능성을 알아보고 지켜본 선생님 덕분에 꿈을 펼칠 수 있었답니다.개미 소년의 꿈을 찾아준 '교사 관찰·추천제', 함께 살펴볼까요? 아이디어 팩토리가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해 주세요
Q 제2차 계획과 이번 제3차 계획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제2차 계획(‘08~’12)은 전체 초․중․고생 1%까지 영재교육기회 확대와 영재교육체제 확립에 초점을 두었었습니다. 이번 제3차 계획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자산인 창의적 ․융합적 인재의 확보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잠재력 개발의 기회 확대를 통하여 국민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영재교육의 서비스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Q 제3차 계획 시행으로 5년 후 달라지는 모습은? A 제3차 계획의 성공적인 시행으로 교사관찰추천제가 현장에 정착되어 영재교육과 관련한 불필요한 사교육 및 과열경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울러, 잠재적 영재의 발굴이 확대되어 기존의 방식으로는 선발이 곤란했던 다문화학생 등 다양한 소외계층 영재의..
분야 1 : 꿈․끼를 키우는 영재교육 기회 확대 영재교육 분야를 다양화 하고, 연계 운영을 확대하여 잠재력을 가진 학생들이 보다 폭넓게 꿈과 끼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합니다. ○ 이를 위해 기존에 수․과학 중심에 치우쳐 있었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정보, 예술 분야 등으로 확대하여 다양성을 높여갈 계획입니다. 그 간 영재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영재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요인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초등 저학년 및 학부단계의 영재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영재교육의 사각지대를 해소합니다. 아울러, ‘09년부터 도입·적용 중인 교사관찰·추천제를 내실화하여 숨어있는 영재의 발굴을 강화하고, 영재 선발과 관련된 사교육 유발 가능성 및 과열 경쟁을 억제해 나갈 계획입니다. 분야 2 : 영재교육기관 운영..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13~’17)」발표 ◇ 잠재력 기반 선발 확대로 공정한 영재교육 기회 제공 ∙ 소외계층 영재교육 대상자 대폭확대:2.46%(‘12)→10%(’17) ∙ 교사관찰․추천제 내실화로 사교육 유발요인 억제 ◇ 국가 표준모델 제공 및 평가․컨설팅 강화로 질적 도약 ∙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및 평가준거 마련 ∙ 중앙 및 지역 영재교육컨설팅 확대, 우수 프로그램 평가․확산 ◇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 : Gifted Education Database) 확대․개편 ∙ (가칭)영재성 발달기록부 도입, 수혜자 국가관리 체계 구축 ∙ 영재학생 사이버 상담(Cyber Counseling), 영재교육정보 제공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10월 3일(목)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창의인재 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