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학생 (29)
교육부 공식 블로그

□ 희망직업 [초등학생] 1위 운동선수, [중·고등학생] 1위 교사 □ 온라인 기반 산업의 발달로 컴퓨터 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 희망 순위 상승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2021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07년부터 본 조사를 통해 매년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개요 ‣ (조사근거) 「진로교육법」제6조 ※ 통계청 승인번호 : 112016호 (2015. 7. 24. 승인) ‣ (조사기간/방법) 2021. 6. 1. 〜 7. 13. 온라인 조사 ‣ (조사대상) 초・중・고 1,200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총 41,424명 - 학생: 23,367명(..

◈ 2021 한복교복 참여 학교 모집 ◈ 지원 대상 : 국내 중·고등학교 25개교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중‧고등학교, 특수학교, 각종학교 ◈ 신청 기간 : 5월 3일(월) ~ 28일(금) ◈ 지원내용 : 한복교복(현물지원), 한복교복 디자인 상담(컨설팅)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중·고등학생들이 한복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2021 한복교복 보급 사업’을 추진한다. 본 사업은 2019년부터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업무협약을 맺고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16개 학교에서 약 2,300명의 학생이 한복교복을 지원 받았다. 한복교복은 세탁이 쉽고 땀 흡수와 통풍이 뛰어난 기능성 원단으로 제작되며, 일상생..

👩: 저는 경찰관이 될래요! 👨: 저는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요즘 학생들의 가슴을 뛰게 하는 꿈은 무엇일까?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초·중·고등학생의 희망직업 TOP3를 카드뉴스로 소개해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https://bit.ly/3rUB65Z #교육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희망직업 #직업 2018~2020 초·중·고등학생 희망직업 ★3위!★ 구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018년 2019년 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3위 의사 크리 에이터 교사 의사 경찰관 경찰관 경찰관 간호사 생명·자연과학자 및 연구원 2018~2020 초·중·고등학생 희망직업 ★2위!★ 구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018년 2019년 2020년 2..

◈ 희망직업 [초등학생] 1위 운동선수, [중∙고등학생] 1위 교사 ◈ 코로나19 영향으로 보건·의료 관련 직업희망 순위와 인터넷 동영상 등 온라인 매체 활용 진로정보 획득 비율 상승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류장수)은 ‘2020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007년부터 본 조사를 통해 매년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개요 ‣ (조사근거) 「진로교육법」제6조 ※ 통계청 승인번호 : 112016호 (2015. 7. 24. 승인) ‣ (조사기간/방법) 2020. 7. 15. ~ 10. 15. 온라인 조사 ‣ (조사대상) 초・중・고 1,200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

개학 연기 관련 초·중등학생의 학습 지원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 3월 3일 화요일 문화일보(윤정아 기자)에서 보도된 '3주 교육공백 어쩌나...e학습터 몰려 접속 오류'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금일 e학습터 시스템 점검 결과 접속 오류가 발생한 바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개학 연기에 따른 온라인학습 활용도 증가를 대비하여 인프라(클라우드)를 증설한 바 있으며, 향후 이용자수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확충하여 학생・학부모・학교가 불편함 없이 온라인학습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교육부는 e학습터 이외에도 ebs 동영상, 디지털교과서, 에듀넷 등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교사가 온라인 학급..

안녕하세요, 여러분! 국민 서포터즈 이채빈입니다. 이제 새 학기가 얼마 안 남았죠? 항상 새 학기는 새로운 친구들과 만난다는 기대감과 동시에 언제 친해질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같이 있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 또한 '우리 아이가 새 학기를 잘 시작할 수 있을까?' 걱정하시는 분도 많을 텐데요. 오늘은 그래서 완벽한 새 학년, 새 학기를 위한 여러 가지 팁들을 준비해왔어요! 함께 준비해볼까요! 새 학기에는 항상 많은 준비가 필요한데요. 특히 초, 중, 고를 입학하는 예비 학생들에게는 더 그럴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미리 준비하면 좋을 물건들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천 필통 철제 필통은 떨어지면 소리가 크게 나서 친구들에게 방해되고, 필기구 보관 공간이 천필통에 비해 적기 때문에 지퍼가 달린 ..

미커미커니팀과 함께 알아보는 교육부 서포터즈의 모든 것! 여러분들도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가 될 수 있습니다! 교육부와 함께 소중한 추억 만들어요~! ★2020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를 모집합니다!★ [모집대상] 나만의 표현방식으로 교육정책을 나타낼 수 있는 분이라면, 학생, 학부모, 교사, 시민 모두! 누구나 지원 가능하답니다:) [모집기간] 2020.02.10.(월) ~ 2020.02.23.(일) [지원방법] 교육부 공식 블로그에서 양식 다운로드 후, 전자우편 접수 ▶ 자세히보기 (※문의사항은 모집공고 게시글 댓글로 남겨주시면 친절히 답변 드립니다!) [모집공고] 2020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모집 (~2/23) 수려한 글쓰기 능력, 영상 감각 두 스푼, 마지막으로 크리에이티브 까지!모두가 '나'에게 해..

배움의 과정에서 모든 아이가 기초학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2020년 1월 15일 수요일 문화일보(윤정아 기자)에서 보도된 '전교조 반발에 교육부 '기초학력 진단' 없던 일로'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작년 3월 모든 아이의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위해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초‧중등학생의 기초학력 진단을 통해 조기에 학습 결손을 예방하고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기초학력 보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 주요 과제) (1) 기초학력 진단‧지원, (2) 학교 안‧밖 기초학력 지원 안전망 내실화 (3) 초등 저학년 집중 지원, (4) 국가-시도-학교 책무성 강화 이에 따라 모든 시‧도교육청에서도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