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읽기 (14)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FfnG/btrNXsICD70/gYMutGRHYYLoRdRjJ5gOqK/img.jpg)
여러분은 독서 골든타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학생들이 독서에 관심을 가지는 시기가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독서의 계절, 가을을 맞아 독서 골든타임과 다양한 독서 활동을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독서 골든타임이란? 초등학교 저학년과 중학생 때는 독서에 대한 집중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책 읽기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독서 활동 다양한 독서 활동을 통해 독서가 재밌고 유익한 경험이라는 것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독서 활동의 종류 1) 우리 학년 책장 만들기 학생들이 직접 도서관 벽에 책장을 만들어 함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말합니다. 자신이 읽었던 책들 중에 인상 깊었던 내용을 친구들과 공유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로 느낀 점을 공유하며 자기주장력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PYlA/btrzpWo1oYs/pacoi8gG1fgtp6qA05OG5k/img.jpg)
내가 세계를 알게 된 것은 책에 의해서였다. - 사르트르 - 오늘의 나를 있게 한 것은 우리 마을의 도서관이었다. - 빌게이츠 -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 - 데카르트 - 4월 23일은 독서 출판을 장려하고 저작권 제도를 통해 지적 소유권을 보호하기 위해 1995년에 유네스코 총회에서 제정한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인데요. 오늘은 세계 책의 날을 맞이하여 현재 학생들의 독서 현황과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독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독서를 통해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인생의 지혜를 얻고 보다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OECD에서는 미래사회에서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문해력을 제시하였는데요. 문해력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T96J/btqLXSIC571/RiSYFQ41Pg29xC2PdvKU7K/img.jpg)
책 읽기 좋은 독서의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는데요! 이번 가을에는 꼭 책을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었지만,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지, 고민되는 분들이 있을 것 같은데요. 이럴 땐 내 또래의 친구들이 요즘 어떤 책을 많이 읽는지 살펴보는 것도 책을 고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또래 친구들이 추천하는 책" 실제 초·중·고등학생들과 대학생에게 또래 친구에게 추천하는 책들을 추천받았는데요. 어떤 책들을 추천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초등학생 추천 도서” 제임스 프렐러 첫 번째 책은 제임스 프렐러의 ‘방관자’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도 정말 인상 깊게 읽었던 책인데요. 방관자는 학원 폭력의 심각성과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서 방관하는 도덕적 딜레마를 다룬 작품으로 폭력의 가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4xas1/btqLuB8MMe4/1Zgw0zp8wI1f8LAeOzVCOK/img.jpg)
어느덧 천고마비의 계절인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여러분은 ‘가을’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저는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말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요. 독서가 중요하다는 것은 너무나도 잘 알고 있지만 막상 바쁜 일상 속에서 독서를 실천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죠. 읽고 싶은 책, 혹은 읽어야 할 책은 많은데 과연 ‘어떻게’ 읽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독서광으로 유명한 우리나라 위인들의 독서법을 탐구해보았습니다. 과연 이분들이 어떤 방식으로 독서를 실천하셨는지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1. 세종대왕의 ‘백독백습(百讀百習)’ 세종대왕은 ‘백독백습(百讀百習)’을 강조했습니다. 백독백습은 말 그대로 ‘백 번 읽고 백 번 쓴다’라는 뜻인데요, 즉, 책 한 권을 백 번 읽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jMc0/btqLpTh2PIG/B0gPSU52UQsIikE0kpedPk/img.jpg)
‘가을’하면 독서의 계절이 생각나는데요, 여러분은 요즘 책을 많이 읽고 계신가요? 오늘은 독서의 계절인 가을에 어울리는 서울국제도서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국제도서전 소개에 앞서 독서에 대한 취미를 가지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시는 분, 좋은 책을 찾고 싶은데 어려움이 있는 분을 위해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그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독서의 의미는 국민 여러분이 잘 알고 있듯이 ‘책이나 글을 읽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독자의 입장에서 책이나 글을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서 의미를 찾아야 합니다. 책이나 글이 독자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생각해보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독서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면, 소통적 측면과 지식적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소통적 측면에서 독서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tDsB/btqETXE4hfj/5ka9jgqOw2vpo9MdImjUnk/img.jpg)
여러분들은 책 좋아하시나요? 책 읽기의 중요성은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 막상 책을 읽기란 쉽지 않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년 국민 독서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종이책 또는 전자책을 한 권 이상' 읽은 독서인구 비율은 성인 55.4%, 초중고 학생은 91.0%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2017년 대비 성인의 독서율은 6.9%p, 학생은 1.3%p 하락한 것입니다. 독서자를 대상으로 본인의 독서량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 결과에서도 '부족하다'라는 응답이 성인 58.2%, 학생 48.8%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독서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모두 책 읽기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그 실천에 있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쉽지 않은 독서를 평생 동안 게을리 ..
언니, 오빠! 책 읽어 주세요~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생과는 달리 중학생과 고등학생이라면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자원봉사'인데요. 자원봉사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 또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일을 자기 의지로 행하는 것'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우리 주위에서 이런 자원봉사의 의미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원봉사를 통해 자신의 재능을 찾고 스스로를 발전시키는데요. 저 또한 학생으로서 어떠한 자원봉사를 해야 즐거운 마음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서 꾸준히 할 수 있을까 늘 고민해왔습니다. 말하기와 영어를 좋아하는 저는 이번 겨울방학에 완주군립 영어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언니 오빠가 읽어주는 그림책] 봉사활동에 참가하기로 하였습니다. 책 읽어주기 자원..
고등학교 때도 선생님들께서 많이 강조하셨지만, 대학생이 되니 교수님들께서 더 많이 권면하시는 것이 바로 ‘책 읽기’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학생은 전공서적을 읽는 것부터 시작하여 관련된 논문을 읽는 일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읽기가 기반이 되어 시험 때에도 글로 쓰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지요. 글 읽는 능력과 쓰는 능력에는 책 읽기가 필수인 셈입니다. 책을 다양하게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배경지식은 내가 하는 공부와 연결되어 많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지난 두 달간 ‘꼭 읽자!’하고 다짐했던 책 몇 권이 있었습니다. 항상 완벽히 다 읽어내기가 어려운 적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읽는 것보다도 더 고민이 되는 것은 ‘책을 읽고 나서 이후에 이것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라는 점입니다. 학창시절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