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폐교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저출산 등 사회적인 변화로 인해 학령 인구가 감소하면서 폐교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런데 폐교를 활용하는 방법이 무궁무진하다...? 놀이터도 만들고, 실험실도 만들고, 심지어 스마트팜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소식에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자세한 내용을 알아왔다고 하는데요! 도대체 폐교를 어디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내용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폐교 #대학 #저출산 #대입정원 #역전현상 #대입희망자 #교육원 #생태놀이터 #노인요양원 #연구단지 #실험실 #스마트팜 #공간쉼터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1. 교육원 ✔ 폐교를 활용해 교육원 등의 공간으로 구축 ✔ 세종시 교육청에서는 폐교부치를 활용해 생태 놀이터 조성 사업 진행 - 실외 놀이터가 없거나,..

작아도 괜찮아! 혹시 단편 영화 를 아시나요? 전남영상미디어교사모임에서 지역 학생들과 함께 힘을 모아 제작한 영화인데요. 통폐합 위기에 처한 작은 학교를 지키기 위해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 주민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실제 영화의 배경인 전남 순천 월동초등학교는 한때 학생 수가 1천 명이 넘었지만 지금은 28명의 학생만이 남아있다고 해요. 폐교 위기에 처한 시골 학교의 소식은 이렇게 미디어를 통해 종종 접할 수 있었는데요. 문제는 이제 시골 학교뿐 아니라 도시 학교도 점차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는 거예요. 2018 ~ 2020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학생수별 초등학교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 통폐합 기준에 해당하는 전국 초등학교수는 30.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어..

인구 감소 등 사회적인 변화로 학교가 문을 닫는 일이 늘어나고 있어요. 그렇다면 늘어나는 폐교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그래서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폐교를 아주 멋지게 창작공간으로 변신한 사례를 준비했다고 해요! 어떤 곳인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폐교 #학교 #동네 #대구 #달천 #예술 #창작공간 #전시 #작가 #전시실 #주민활용공간 #여가활동 #스튜디오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달천 예술 창작공간이란? ✔ 1968년 다사초등학교 달천분교로 개교 후, 1971년 달천초등학교 승격, 서재초등학교 달천분교로 편입됐다가 1999년 9월 폐교 ✔ 이후 박달예술인촌이라는 이름으로 지역 작가들의 창작공간으로 활용되다가 2017년 달성군이 매..

내가 졸업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없어진다면 어떨까요? 학창시절의 추억과 배움의 길이 담겨있는 공간이 사라진다면 무척 슬플 것 같습니다. 학교가 없어진다는 것 즉, ‘폐교’는 운영이 중단된 학교를 말하는데요, 지방교육재정알리미 및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폐교 개수는 2019년 3,784교, 2020년 3,834교, 2021년 5월 기준 총 3,855교입니다. 수치를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알 수 있죠. 그렇다면 왜 폐교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일까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학교를 다니는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통계에 따르면, 학령인구 역시 2017년 846만 명이었지만 2027년에는 656만 ..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있는 지금,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 문을 닫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982년부터 시행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폐교의 수는 더욱 증가하였는데요. 이제는 수도권 내 학교들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문을 닫은 학교 시설들은 모두 어떻게 되는 걸까요?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다들 궁금하지 않나요? 이번 시간은 폐교시설을 교육, 체험, 문화시설로 재활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교육적,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협력적인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한 몇 가지 사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폐교시설의 정의 폐교란, 운영이 폐지된 학교를 의미합니다. 현재 취학아동 수의 감소로 문을 닫는 학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요. 폐교의 시설은..

요즘 농촌에는 산업화에 따른 이농이나 출산율 저하 등으로 학생 수가 점차 줄어들면서 폐교가 되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그냥 방치하면 흉물이 되고 말지만 이를 리모델링해 전시 공간이나 숙박지, 작업실 등으로 활용한다면 빛을 발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래된 폐교가 의미 있는 전시관이 된 사례를 찾아봤습니다. 그중 민족상잔의 비극인 6·25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무기전시관을 폐교에 개관해 주목을 받고 있는 두 곳이 있어 소개합니다. 1. 여수 무기전시관 전남 여수시 돌산읍 대율마을에 들어선 무기전시관은 여수시가 사업비 7억 7400만 원을 들여 조성한 곳입니다. 2014년 폐교를 리모델링해 393㎡ 규모의 무기전시관을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무기전시관 옆에는 북한 반잠수정 전시관도 있었는데요. 지..
봄바람이 살랑거리는 토요일 진주 촉석초등학교 5학년 학생 40명과 진주 대암 초록마을에 다녀왔습니다. 교육복지회원이 교실 밖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과 견문도 넓히고, 같은 학년 학생들과 깊고 넓은 우의와 결속력을 다지도록 기획된 행사입니다. 저는 교육청 재능기부자의 한 사람으로 선생님과 함께 안전한 활동을 도왔습니다. 초록마을은 구 대암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테마체험학교, 오토캠핑장이 있고, 마을과 연계하여 둘레길 걷기, 작목반 체험도 할 수 있는 안전행정부 지정 정보화 마을입니다. 일단 마을 곳곳에 아기자기 정감이 가는 벽화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교문을 들어서자 오토캠핑장이 보입니다. 여름에는 실외 수영장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안전하게 야외 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훌륭한 시설입니다.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