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어 (3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최근 K-POP, K-Drama 등 한국의 문화사업이 세계에서 주목을 받으며, 한국어를 향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어를 구사하는 외국인을 찾는 것도 이제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닌데요. 2020년 1월 13일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 게재된 기사 ‘국제 언어로서 한국어의 위상’에 따르면,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00만 명으로 세계 언어 중 한국어 모어 사용자 수는 14위입니다. 미국 대입시험(SAT)에도 한국어가 제2외국어 과목으로 채택되었고, 다른 국가에도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실제 한국어 구사를 돕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이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은 외국어로서 실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역량을 배..

한글날 특집!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맞춤법을 올바르게 지키며 댓글을 작성하거나, 통신 대화(채팅의 순화어)를 하고 있었을까요? 그래서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꼼꼼히 준비한 올바른 맞춤법 사용하는 법! 역대급은 비표준어다? 검정색은 틀린 단어다? 올바른 맞춤법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한글날 #한글 #한국어 #맞춤법 #역대급 #검정색 #굳이 #지향 #지양 #틀리다 #띠다 #띄다 #표준발음법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1. 역대급 ✔ '최고 수준'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 비표준어! ✔ 역대: 대대로 이어 내려온 그동안 / 급: 직급의 뜻이나 그에 준하는~ 의 의미 ✔ 역대+급 = 대대로 이어 내려온 여러 대의 등급?..

10월이 되면서 어느새 2021년도 약 두 달 정도가 남았습니다. 파릇파릇했던 나무들은 색을 입고 천고마비의 계절인 가을을 지낼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10월에는 여러 국경일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오늘은 한글을 창제하여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는 날인 ‘한글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글날’의 의미와 함께 한글의 유래와 우수성, 다듬은 말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그리고 현재 한글 교육을 위해 우리가 어떤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먼저 우리에게 익숙한 ‘한글날’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한글날’이란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그렇다면 ‘..

◈ 재외동포 어린이가 참가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겪은 일화나 느낌을 그림일기로 표현 ◈ 43개국 446명 참가, 선정된 수상작 14편은 온라인 전시회를 통해 공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재단법인 국제한국어교육재단(이사장 임영담)은 10월 5일(화)부터 「제3회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대회」(이하 그림일기대회) 온라인 전시회를 개최한다. 그림일기대회는 재외동포 어린이들이 한국어를 배우면서 겪은 일화나 느낌을 그림일기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키우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조)부모세대와의 교감·소통을 확대하고자 개최되어 왔으며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였다. 올해 그림일기대회는 7월 5일(월)부터 9월 6일(월)까지 진행됐으며, 전 세계 43개국 재외동포 어..

◈ 전 세계 44개국 400여 명의 한국어 교육자, 행정가 모여 한국어교육 경험 공유 및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소통과 상생의 장 마련 ◈ 브라질(상파울루주) 교육부 관계자와 한국어 제2외국어 채택, 교재 개발 및 교원 양성과정 개설 등 한국어교육 기반 조성 방안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8월 9일(월)부터 8월 11일(수)까지 ‘한국어 교재, 한국어교육의 미래’라는 주제로 ‘제19회 재외 한국어 교육자 국제학술대회’를 비대면으로 개최한다. ※ (일정) 8월 9일(월)∼8월 11일(수) (3일간) / (주최) 교육부, (주관) 국제한국어교육재단 이번 학술대회에는 전 세계 44개국 400여 명의 현지 한국어 교육자, 교육행정가 및 교육당국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그간의 성과와 경험을 나누고..

◈ 해외 한국어 채택국에서 참조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확정 ◈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한 범용교재, 보조교재, 현지 맞춤형 교재 개발 지원을 통해 체계적·전문적인 해외 한국어교육 기반 마련 ◈ 방탄소년단(BTS)의 지식재산(IP)을 활용한 보조교재 개발로 학습동기 제고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각국의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이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확정하고 이에 기반한 다양한 교재 개발에 본격 착수하였다. 초·중등 학령기 단계의 한국어교육이 국가 간 지속적인 교류를 활성화하는 핵심 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은 한국어가 각국의 공교육 체제..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외국에서 유명해질 때마다 우리는 왠지 모르게 뿌듯함을 느끼곤 합니다. 최근 몇 년을 전후로 K-POP의 위상이 올라가면서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에 가지는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한국어도 그 위상이 올라가고 있는데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20년 기준 39개국의 1,699개 교에서 한국어를 채택하여 약 16만 명이 한국어를 배웠다고 합니다. 정말 엄청난 숫자죠? 오늘은 해외 여러 나라에서 한국어 교육 정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까요? 1. 해외 속 한국어 교육 시장의 변화 양상 신한류의 영향은 한국어를 제2외국어 반열에 올려두게 하는 데 충분했습니다. 작년에는 특히 한국어 확산이 빛을 발한 한 해였습니다. 전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인구를 자랑하는 ..

◈ 전년(123억 원) 대비 약 2배(236억 원) 수준의 예산을 확보하여, 2021년 전 세계 43개국 1,800개교의 한국어교육 지원 목표 ◈ 13억 인구의 인도, 유라시아 진출의 교두보인 러시아, 잠재력이 큰 베트남에서 한국어 채택 및 교육과정이 승인됨에 따라 신남·북방 지역 집중 지원 ◈ 해외 초·중등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중급 교재 및 맞춤형 교재 개발 착수 ◈ 현지 유수대학 내 교원양성과정 개설 확대(14개 과정)로 우수 교원 확충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해외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정규 외국어 과목으로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1년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 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미국 현지학교에 한국어반이 최초로 개설(1999년) 된 이래, 우리나라의 국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