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글 (22)
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난 10월 9일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을 창제하여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인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한글날이었죠! 이를 기념하여 오늘은 요즘 많이 사용하는 외래어/외국어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 한번 우리말로 다듬어 보려고 합니다. 외래어란 무엇일까요? 먼저 외래어란 다른 나라 말을 빌려와서 우리말처럼 쓰는 말을 의미하는데요! 외래어는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지만, 우리말로 바꿔 사용할 적합한 단어를 찾지 못해 외국어를 우리말처럼 사용하다 보니 그대로 굳어지게 된 것인데요. 예를 들면 버스, 컴퓨터, 피아노 등이 외래어에 해당됩니다. 오늘은 요즘 우리가 흔히 사용하게 된 외래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겠습니다! 챌린지(challenge) 어떤 이가 특정한 행위나 주제를 담은 사진이나..

10월 9일은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한글날입니다. 세계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글’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또 한글날은 언제, 어떻게 정해진 걸까요? 오늘은 한글날을 맞아 한글날의 역사와 유래, 그리고 우리가 한글을 어떻게 아끼고 사랑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한글날, 어떻게 생겨났을까?” 조선의 4대 왕인 세종대왕, 그는 백성들에게 태평성대를 전해준 훌륭한 임금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한글 또한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한글 창제에는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세종대왕이 그의 아들들과 함께 창조하였다는 설, 다른 하나는 집현전의 신하들과 함께 만들었다는 설인데 집현전의 최..

여러분~ 10월 9일은 한글날이에요! 오늘 만큼은 외국어, 외래어가 아닌 순 우리말을 사용해 보면 어떨까요? #한글날 #한글 #세종대왕 #순우리말

매년 10월 9일은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한글날'입니다! 한글날을 맞아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와 함께 한글날의 역사와 유래, 그리고 평소에 틀리기 쉬운 맞춤법까지 영상으로 살펴볼까요?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한글날 #한글 #훈민정음 #맞춤법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학습결손 예방을 위해 초등 저학년 기초・기본 교육 충실히 실시 ◈ 코로나19에 따른 원격・등교수업의 효율화 방안 모색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8월 11일 발표한 「교육안전망」 현장 점검과 소통을 위해 10월 5일(월) 금산중앙초등학교(교장 정현정, 충남 금산군 소재)를 방문하였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코로나19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학습결손과 격차를 초등 저학년 단계부터 방지하기 위한정책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 1학년 2학기 등교 수업 참관 ▪【국어】 재미있는 동화를 읽으며 ‘겹받침 있는 단어’ 익히기 ▪【수학】 「똑똑!수학탐험대」를 활용하여 ‘몇십 + 몇십 = 몇십’ 배우기 교원・학부모와의 소통을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원격・등교수업의 효율화 방안을 탐색하는..

학교 및 직장에서 그리고 숙제, 문서 작성, 발표 등 다방면에서 한글 및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매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한글 및 파워포인트 단축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글편' 이 단축키는 꼭 기억하고 사용해보자!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문서 작성을 하다 저장을 못 하거나, 갑자기 프로그램이 꺼져 날려 버린 경험 한 번쯤은 있을 텐데요.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사용하는 단축키가 바로 Ctrl+S저장 단축키입니다. 저장 단축키가 손에 익으면 작성 중간 저장하고, ‘아 미리 저장해 놓을걸.’ 하는 후회를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서 작업 중 지금 했던 내용이 별로라 직전 형태로 돌아가고 싶었을 때, 그 내용들을 ..

오늘은 11월 26일에 열린 시상식에 대해 얘기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대회에 참가한 아세안 학생들의 학교에서는 한국어 과목이 있다고 하는데요! 저희가 영어수업을 듣는 것처럼 한국어수업을 듣는다니, 색다르게 다가왔습니다. 새삼 한국이 세계에 끼치는 영향력이 꽤 크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아세안 학생들이 한국어로 소통하며 화합하는 뜻깊은 행사입니다.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한·아세안의 공동목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한국어교육을 통한 아세안 학생들의 차세대 인재 양성을 위해 각국과 협력할 것입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인사 中 먼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님의 인사가 있었습니다.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란 말이 이번 ..

지난 10월 9일은 바로 한글날이었습니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한글날의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어 한글 창제의 기쁨과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고 있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말에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등 다양한 말들이 섞여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순우리말로 자주 착각하는 외래어들을 다른 표현으로 바꿔보고, 가을과 관련된 순우리말들 또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월 9일? 한글날! 순우리말로 착각했던 생활 속 외래어들 가을과 관련된 순우리말 카드뉴스 속 그림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어감도 아름답고 그 뜻도 정겨운 순우리말!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고 일상 속에서 조금이나마 순우리말을 쓰고자 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