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9년 (12)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9년 전 부처 최초로 영상을 제작했던 팀 단위의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어떻게 하면 더 새롭고 교육적인 내용을 국민들에게 생동감있게 전달할 수 있을까 고민했던 에듀쿠 팀이 지난 2019년 활동을 돌아보며, 그 동안의 경험과 추억을 한 번에 보여드립니다! 평소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교육정책을 국민 눈높이에서 쉽고 재미있게 소개해주었던 국민서포터즈, 모집 중인 2020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 #국민서포터즈 #에듀쿠 #2019년 #활동 #교육부_서포터즈의_생생한_영상_기록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기선)은 11월 29일(금)에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 (목적) 국가수준의 학업성취 수준 파악 및 추이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의 성과 점검 및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 ◦ (일시) 2019년 6월 13일(목) ◦ (대상)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중 표집학급 학생 ※ 전체 학생(중3, 고2 학생 총 811,754명)의 약 3%, 24,936명(481개교) ◦ (영역) 국어, 수학, 영어 학교생활 행복도, 교과 정의적 특성 설문 □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 성취수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9학년도 2학기부터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시행됩니다. 고교 무상교육은 모든 국민의 교육 기본권을 실현하고, 가정환경·지역·계층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고교 단계까지 공평한 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모두에게 공정한 출발선, 즉 공정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초·중학교에 이어 고등학교 교육까지 국가가 책임을 진다는 것에 의의가 있습니다. 당장 다가오는 2019년 2학기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시행됩니다. 수혜자인 학부모와 학생의 입장에서 고교 무상교육 실행으로 인해 어떤 점이 바뀌고 또한 어떤 혜택을 누릴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해요, 고등학교 무상교육! 고등학교 무상교육은 2019년 2학기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2021년에..

2019년 교육부 주관 시·도교육청 평가결과 발표 - 시·도교육청에 대해 공교육 혁신 강화 등 4개 영역 평가 실시 - 우수사례 확산을 위한 교육청간 교류 기회 제공 및 컨설팅 등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9월 23일(월) 전국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시·도교육청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시·도교육청 평가는 1996년부터 교육정책에 대한 책무성을 확보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시행해 왔으며, 지방교육자치 강화 흐름에 맞게 2018년부터 국정과제·국가시책 중심의 교육부 주관평가와 자치사무 중심의 교육청 자체평가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올해 교육부는 전년도(’18년) 시·도교육청 실적에 대해 ①공교육 혁신 강화, ②교육의 희망사다리 복원, ③안전한 학교 구현, ④교육수..

「OECD 교육지표 2019」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019년 9월 10일 11:00(프랑스 기준)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19」의 주요 지표를 분석․발표했다. 「OECD 교육지표」는 회원국들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사회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필요한 국제 비교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교육정책 수립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개요 - 조사 근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관한 협약(’96.12.18., 조약 제1358호) - 조사 대상: 46개국(OECD 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9개국) - 조사 내용: 학생, 교원, 재정, 교육 참여 및 성과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 ..

2019년 8월 대학정보공시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헌영)는 8월 31일(토) 「2019년 8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8월 공시에서는 공시 대상 총 417개 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 장학금 규모, 학자금 대출, 교원 연구비, 적립금, 입학 전형료 등의 정보를 공시하였으며, 4년제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 196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도 공개하였다. 2019년 대학정보공시 개요 ◦ (법적 근거)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및 동법 시행령 ◦ (대상) 총 417개 대학(224개 대학, 148개 전문대학, 45개 대학원대학) ※ 조사 당시 결산 미완료된 2개 대학(경주대, 한려대)은 학생 1인당 교육(투자)비, 적립금 현황..

교육부, ’19년 1학기 강사 고용현황 분석결과 발표 - 전년도 1학기 대비 전체 강사의 실질 고용규모 감소는 7,834명(-13.4%) - 다른 직업이 없는 전업강사의 실질 고용규모 감소는 4,704명(-15.6%) 시간강사연구지원 및 대학 평생교육원 연계 강좌 개설로 강의기회 상실 강사에 대한 연구․교육 안전망 마련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8월 30일(금) 2019년 1학기 대학 강사 고용현황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분석은 개정 고등교육법(강사법) 적용 399개교의 실질적인 강사 고용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교육기본통계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1명의 강사가 여러 대학에 출강할 경우 중복 집계되던 기존 집계 방식과 달리 강사로 재직하고 있는 실..

「2019년 교육기본통계」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전국 유·초·중등 및 고등교육기관의 학교, 학생, 교원 현황 등을 조사한 ‘2019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매년 전국 교육기관(’19년 23,800개)과 관련된 교육 분야 기본 사항을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교육정책 수립 및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교육기본통계 조사 개요 ◦ (조사 근거) 「유아교육법」 제6조의2, 「초·중등교육법」제11조의2, 「고등교육법」제11조의3, 「통계법」 ◦ (조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연구본부 교육통계센터 ◦ (조사 대상) 유치원~대학, 교육청 등 23,800개 교육(행정)기관 1) [유‧초‧중등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