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년 (50)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sugxA/btrGXg19HNa/I54PQb5nsz1I43YA2qRFCk/img.jpg)
□ 신규 선발인원: 중2~고3 2,500명(9월 중 300명 추가 선발 예정) □ 지원내용: 장학금(월 25만 원~45만 원, 학교급·유형별 차등), 상담(멘토링) 등(유형별로 다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정대화)은 2022년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신규 장학생(꿈·재능 및 SOS) 2,500명을 선발*하였다. * 총 4,365명이 신청하였으며, 지원 요건에 따라 2,500명 선발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의 소득상실 등 긴급위기 상황에 처한 중·고등학생 300명을 ‘SOS 유형’ 대상자로 9월 중 최종 선발하여 10개월간 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추가 선발이 완료된 후에는 총 2,800명을 선발·지원하게 되어, 지난해 1,200명을 선발한 것에 비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xzyj/btrGAJqJsOx/i0oKAppqhK0bEDb9Z5c711/img.jpg)
□ 인구감소 시대 농산어촌 인구변화 및 농촌지역 활성화 전략 강연 □ 농어촌 통학여건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해 주제발표 및 토론 □ 농림부, 해수부 등 관계부처 농어촌 지역 개발 및 지원정책 공유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순애)는 중앙농어촌교육지원센터(센터장 임연기)와 공동으로 ‘2022년 제1차 농어촌 학교 희망 공개토론회(포럼)’를 7월 7일(목), 8일(금) 이틀간 국립국제교육원(경기도 성남 소재)에서 개최한다. ‘농어촌 학교 희망 공개토론회(포럼)’는 시도교육청 등 현장 관계자와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농어촌 학교의 교육 여건 개선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정책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2020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이번 2022년 제1차 공개토론회(포럼)는 인구감소시대 농산어촌 교육정책 방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8QbM/btrGlTzo2PE/UghuXdeX22LsQjgKaV1Gs0/img.jpg)
□ 특성화고·산업수요맞춤형고(마이스터고) 등 79개교 102개 학과 개편 □ 신기술·신산업 유망 분야로의 학과 개편·교육과정 고도화 지원을 통한 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교육부는 2022년 직업계고등학교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결과(79개교 102개 학과)를 발표하였다. 산업구조 변화와 학령인구 감소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업계고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산업수요와 학교 교육과정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2016년부터 매년 100개 내외의 학과 개편과 교육과정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각 학교로부터 신청을 접수받아 교육·산업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거쳐 지원 대상학교와 학과를 최종 선정하였으며, 지원이 확정된 학교는 시도교육청의 승인 절차를 거친 후 2024학년도부터 학과 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FZRH/btrF0sjfbPU/ncy6HrHKfpa8yulsDKjem0/img.jpg)
□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 14.3%로 전년보다 1.6%p 상승 □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는 일반대학(58개교, 9.4%↑), 전문대학(28개교, 64.7%↑) 모두 전년 대비 증가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홍원화)는 6월 30일(목) 「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6월 공시를 통해 학생 선발, 산학 협력, 강사 강의료, 원격강좌 등의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및 교육대학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2022년 6월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의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결과는다음과 같다. 1) 신입생 선발 결과 (기회균형 선발 결과)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31,906명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iTzy/btrEWpeOcUa/KIha9FSTMKWpOkkcKX495K/img.jpg)
□ 국가근로장학생 2만 명 추가 선발 및 국가근로장학금 469억 원 추가 지원 □ 2022년 2학기 국가근로장학금 신청 기간 : ~ 6월 23일(목) 까지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정대화)은 2022년 대학생 국가근로장학생 약 2만 명을 추가 선발한다. 당초 국가근로장학생 연간 12만 명에게 3,604억 원을 지원할 계획하였으나, 더많은 저소득층 대학생이 학비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지원하고자 2022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으로 증액된 469억 원을재원으로 국가근로장학생 2만 명을 추가 선발할 계획이다. ※ 2022년 대학생 국가근로장학금 총 지원규모 : 대학생 14만 명, 4,073억 원 교육부는 한국장학재단과 함께 저소득층 대학생에게 근로 기회를 제공하고 근로장학금을 지원하여,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4U5U/btrERmWFVUD/jIeArYAA6hyMXvYEcVttRk/img.jpg)
새로운 일상을 맞이하는 우리 아이들! 학교에서는 다시 웃음꽃이 피고 있습니다 아직은 조금 어색하고 낯설지만 우리의 일상은 점차 회복되고 있는데요 5월부터 시작된 학교의 일상회복을 누리울림 캉토리 팀이 담아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5월부터 시작된 일상 회복 지난 5월부터 학교도 일상 회복을 목표로 대면 등교를 실시하였고, 그로 인해 학생들은 학교 교실에서 친구들을 만나고 축제나 체육대회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로 힘들었을 학생들을 위해 교과 보충, 대학생 튜터링, 기초학력 지도, 심리 상담 등의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전히 마스크 착용과 개인위생 관리는 필수 하지만 여전히 안전을 위해 실내 혹은 사람이 붐비는 곳에선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하고, 손 씻기, 기침 예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gizT/btrDoVuL8e5/5JzHkA2hJBab5CqJKZNG51/img.jpg)
□ 총91개 대학에 총 575억 원 지원 예정 □ 대학의 공정·투명한 대입전형 운영과 고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비한적극적인 고교 협력 활동 지원 교육부는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5월 31일(화), 발표한다. 이번 지원사업에는 총 101개교가 사전접수 및 신청하였으며, 선정평가 및 사업총괄위원회 심의를 거쳐 총 91개 대학이 선정되었다. * (유형별) 유형Ⅰ 77개교, 유형Ⅱ 14개교 / (소재지별) 수도권 39개교, 지역 52개교 선정된 91개 대학은 2년 동안(2022년 ~ 2023년)재정지원을 받으며, 차후 중간평가를 통해 추가 1년(2024년)지원 여부가 결정된다. 교육부는 올해 91개 대학에 총 575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며, 유형I 대학은 교당 평균 약 7억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Qjla/btrDpPVpRUg/u0oMcOdA68L4EzsF5Egy7K/img.jpg)
□ 학문후속세대 지원, 대학연구기반 구축, 학문균형발전을 위한 총 1,633개 신규과제 선정 및 연구비 88,914백만 원 지원 □ 대학의 연구기반 마련 및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안정적 연구 지원 기대 교육부는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신형식)과 2022년 교육부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선정결과를 5월 30일(월)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의 연구기반 중심 국가연구 개발사업 강화를 위한 대학 이공분야 연구 생태계 확립을 목표로 △학문후속세대 지원, △대학연구기반 구축, △학문균형발전 지원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선정된 신규 과제는 총 1,633개(88,914백만 원)로 6월 1일(수)부터지원사업이 개시된다. ※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