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761)
교육부 공식 블로그
이주호 장관이 병원에 간 까닭은? 12월 22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님이 서울대학교 병원에 방문했습니다. 그 이유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안에 위치한 병원학교에서 만성질환으로 정상적인 학교수업을 받기 힘든'건강장애학생'들과의 반가운 만남을 위해서입니다. '병원학교'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병원학교란 장기 입원이나 치료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이나 장기질병으로 인해 유급 위기에 있는 학생의 학업 연속성 유지 및 학습권 보장을 위해 병원 내에 설치된 학교를 말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0년 현재 전국 30개 병원학교와 4개의 화상강의운영기관을 통해 건강장애학생의 수업결손을 예방하고, 병원학교에서의 학습참여시 출석으로 인정, 조치함으로써 건강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할..
6학년이 되면 실과 시간에 개인적으로 식물을 학교에 가져와서 기르는 수행평가가 있다. 이게 악연인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키운 식물들은 목말라서 2주 안에 생을 마감하고 만다. 그러면 이파리가 3장정도 초라하게 떨어져 있고, 간신히 붙어있는 것도 메말라서 바삭 바삭하게 된다. 식물 기르기도 그 정도 이지만 그 다음 단계는 ‘관찰’이다. 메말라 죽어있는 내 식물을 관찰하기는 좀 뭐해서 나는 종종 내 친구의 식물을 관찰하거나 학교 뜰에 있는 것을 관찰하며 그렇게 해서라도 수행평가를 잘 받으려고 노력한다. 이 관찰 기록장을 잘 쓰면 상장을 주고 친구들 앞에서 시상을 하기 때문에 잘 쓰고 싶었다. 하지만 한번 도 관찰기록장으로 상을 받지 못한 것이 아쉽다. 우리 범계초등학교가 관찰을 중요시 하는 이유는 모두 고시언..
편집자 주 :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서울 광화문 광장을 떠난 지 40일 만에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날입니다. 오늘은 상우(삼숭초등학교 6학년, '상우일기' 블로그 운영)가 타임머신을 타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을 만나고 왔네요. 백전백승의 기술을 배우고 왔다는데요. 과연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왔는지 한 번 들어볼까요? 안녕하세요? 아이디어팩토리 상우 기자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충무공 이야기 1부, 이순신 장군의 나라와 백성에 대한 사랑과 장군의 인간적인 모습을 주로 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충무공 이야기 2부, 조선 수군의 우수성과 뛰어난 이순신의 전략에 대해 타임머신을 탄 기분으로 돌아가 분석해보겠습니다! 상우의 충무공 이야기 1부 : 2010/12/11 - [IF의 시선] - 탈의중이신 충무공을 만..
원하는 대로 척척! 스마트 빌딩 영화 ‘아이언 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분)는 세계 최강의 무기업체를 이끄는 CEO로 등장한다. 최첨단 기술을 이끄는 만큼 그의 집도 첨단을 달린다. 그가 원하는 데로 조명과 온도, 습도가 저절로 바뀌는 것은 물론이고 텔레비전 채널을 말하면 그대로 채널이 돌아간다. 그런 영화 속 장면이 이제 현실화 되고 있다. 친환경 건물로 인정받는 차세대 성장 동력 시장 대만의 ‘타이베이 국제금융센터’는 대만의 자부심이다. 101층짜리 초고층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빛의 밝기와 온도, 습도 등을 스스로 감지하기 때문이다. 공기가 건조해지거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가습 기능이 저절로 작동하고, 환기까지 척척 알아서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빛이 ..
봉사할 곳 헤매는 학생들, 곤란하다는 관공서 "은지야! 너 봉사 시간 다 채웠어? " "아니(ㅠㅠ) 이번 방학에 3시간 받아야 하는데 어디에서 해야할지 찾기가 어려워.." 겨울방학을 앞두고 학교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대화입니다. 저희 학교의 경우 1년에 20시간의 봉사를 하도록 하는데, 10시간은 보통 교내봉사로 해결이 되지만 나머지 10시간은 외부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인증서를 받은 후 담임선생님께 제출해야 합니다. '자원봉사(自願奉仕)' 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어떤 일을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도움. 또는 그런 활동'이라고 나옵니다. 말 그대로 누구의 강요에 의해서가 아닌 자기 스스로 결정해서 남을 위해 순수한 목적으로 대가를 바라지 않고 하는 활동입니다.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라도 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