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7/08/08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가상현실에서 사는 또 하나의 나 인터넷 뉴스에서 심각한 정치기사가 떴다. 그런데 맨 처음 댓글에 ‘1빠’라는 두 글자가 올라온다. 이게 뭐야 하는 사이에 ‘내가 2빠’ 그리고 ‘3빠’ 하는 댓글이 연속 올라온다. 마치 남의 집 초인종을 얼른 누르고 도망가는 아이들 놀이처럼, 인터넷 공간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아이들이 댓글 란에서 놀고 간 뒤 어른들이 나타나서 ‘제발 생각들 하고 삽시다.’ ‘왠 빠놀이예요!?’ 하면서 눈살을 찌푸리지만, 아이들은 끝없는 사이버공간 어디론가 가뭇없이 사라진 지 오래고, 하하, 어른들은 그게 아이들인 것조차 모르는 것 같다. 그런데 아이들은 사이버 세상(공간)에서 이렇게 짖궂게 장난만 치는 걸까? 아이들의 신세계 아니다. 13세 아이가 사이버대학 해킹보안학과에서 ..
질문하는 공부법 하브루타(1) 왜 질문이 있는 수업인가? “1 + 1은 얼마니?” “1이요.” “이 바보야, 어떻게 그게 1이야, 2지!” “1 + 1은 얼마니?” “1이요.” “왜 그렇게 생각하니?” “물방울 하나에 물방울 하나를 더하면 물방울 하나가 되잖아요.” “와! 세상에 그런 생각을 다 하다니!” 똑같은 학생의 틀린 답에 대한 한국인과 유대인의 대응은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유대인들에게 성공의 이유를 물으면 그들은 한결같이 호기심 있는 질문이라고 대답한다. 유대인들은 그 어디에서나 질문하고 토론하고 논쟁한다. 이것을 하브루타라고 한다. 유대인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네 생각은 어때? 하브루타는 어떻게 유대인으로 하여금 노벨상 30%를 차지하게 하고, 하버드를 비롯한 아이비리그 대학..
시간과 공간을 디자인하라 요즘 TV를 보면 건강에 대한 프로그램이 넘쳐나고, 음식을 소재로 한 다양한 예능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보고 있으면 군침이 돌고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느끼는 미각, 후각, 청각, 시각으로 통해 느끼는 것은 행복의 일부이다. 물론 이런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기에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프로그램에 지나치게 빠져있으면 나에게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몸과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자극에 의해서만 수동적으로 즐기기만 하는 수준에서 머물게 된다. 창의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어쩌면 참 어려운 일인 것 같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몸이 힘들거나 정신적으로 지쳐서 소파에 앉아 TV를..
에너지 집중력 스톤을 활용한 집중력 향상 형석중학교 콘텐츠 소개 둥글고 뾰족하게 생긴 자석을 활용하여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상상력으로 표현하기와 도전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바라보는 힘과 집중력을 기른다. 수업 들여다보기 눈에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에너지를 느끼고 상상력을 발휘해 표현해본다. 그리고 돌리기, 세우기, ‘―’자 모양, ‘ㅜ’자 모양을 만드는 도전을 통해 집중하는 훈련을 하고 원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떠올리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한다. 수업 따라 하기 1) 도입 활동목표 제시 자신이 느끼는 감각을 깨우고 정서를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스스로를 조절하고 집중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다. 동기유발 손 유희를 통해 먼저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고 뇌를 유연하게 하여 적응유연성을 가지도..
호모루덴스(놀이와 재미를 즐기는 인간)의 시대, 혁신은 즐기고 만들면서 시작된다 - 일본 주요 메이커 스페이스 탐방기 - 만들라, 배우라, 공유하라! - 상상이 실현되는 메이커 스페이스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아는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이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공자) “뛰는 사람 위에 나는 사람, 그 위에 즐기는 사람.”(우리나라 속담) 자취방을 꾸미는 데 열중하던 대학생 제이쓴은 인테리어 노하우를 블로그에 올렸을 뿐인데 지금은 ‘헌집줄게 새집다오’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셀프 인테리어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집안사정으로 대학진학을 못했던 대도서관(나동현)은 학력을 중시하는 현실의 벽에 부딪혀 회사를 그만두고선 좋아하..
창의적 성공의 조건 (2) “끈기있게 집중하라!” ◈ 1편에 이어 미국의 윌리엄앤메리대학 (The Collage of William & Mary)의 김경희 교수는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창의적 성공으로 이르는 세 가지 단계 (1. 창의적 풍토 조성하기, 2. 창의적 태도 기르기, 3. 창의적 사고 적용하기)”를 통하여 창의력이 어떻게 창의적 성공으로 발전되는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김교수에 의하면, 창의적인 풍토 안에 있는 것은 창의적 태도를 기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여기에서의 창의적 태도는 창의적 위인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27가지 특성이다. 이러한 창의적 태도는 특정 사람들만이 타고나는 특권은 아니며, 누구라도 노력과 훈련을 통해 기를 수 있다. 이 27가지 창의적 태도를 가지게 되면..
신뢰와 존중으로 실천하는 회복적 생활교육(2) 회복적 생활교육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한국에서 회복적 생활교육은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금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폭력 문제해결도 중요하지만, 폭력이 발생하기 이전의 예방단계로서 더욱 의미 있게 적용되고 있다.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천을 위한 통합적 적용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회복적 생활교육 3단계 모델 Brenda Morison 2005 1. 공동체성 강화단계 공동체성 강화단계는 학교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공동체를 세우고 평화적 문화 토양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구체적 실천으로는 공동체의 공유목적 세우기, 존중의 약속 세우기, 공감적 의사소통 훈련, 학생 자치 서클, 공동체 놀이, 서클 타임, 신뢰서클,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