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8/01/15 (12)
교육부 공식 블로그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은 1960년대 이래로 의학, 경영학, 법학 등 여러 학문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는 아직 제한적으로만 활용되고 있다. 조연순 외(2003)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이란 복잡한 실제 세계에서 나타내는 현상을 비구조화된(ill-structured)문제의 형태로 제시하여 학생 스스로 의미 있는 해결방법을 찾아내게 함으로서 교과지식과 과정지식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전략을 동시에 가르치는 구성주의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교수전략이라고 정의하였다. Barrows(1994)의 정의에 의하면 넓은 의미의 PBL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그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 상호간에 공동으로 문제 해결방..
1. 창의성 교육과 러시아 초등학교 교육표준 최근 정보량의 증가는 교육활동의 내용과 조건에 대한 접근방식을 변화시키고 학생들의 지적능력과 창의력 발달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2009년에 채택된 2 세대 러시아 연방 교육표준(Russian Federal Education Standard)에 반영되었습니다. 새로운 교육표준에 따르면, 보편적인 교육활동, 인식 및 세계개발의 동화에 학생의 성격개발은 교육의 목표이자 주요결과입니다. 초등학생에게는 창의적 활동을 위한 준비를 위한 기초를 놓았으며, 상상력, 사고력, 호기심에 대한 교육이 형성되고 관찰능력이 형성됩니다. 음악, 시각예술, 디자인, 기술 등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이 드러납니다. 이 글에서는 "기술"(technology) ..
교육부, 대구미래대학교 자진폐지 인가 - 대구미래대학교 재적생은 타 대학 특별편입학으로 학습권 보장 - 교육부는 2018년 1월 12일(금) 학교법인 애광학원이 신청한 대구미래대학교의 폐지를 인가함에 따라 2018. 2. 28자로 대구미래대학교가 폐지된다고 밝혔습니다. 전문대학이 자진폐지를 신청하고 교육부가 인가하는 것은 이번 대구미래대학교가 처음입니다. ※ 4년제대학 자진폐교 대학 : 건동대(2012), 경북외대(2014), 인제대학원대학교(2015) 대구미래대학교를 유지⋅경영하는 학교법인 애광학원은 신입생 모집난으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으로 계속적인 대학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2017년 6월 2일(2018. 1. 3 보완) 폐지 인가를 교육부에 신청했는데요. ※ 대구미래대학교는 1주기 대학구조..
교과교실과 함께 학생 모두가 성장하는 교육 - 2017년 교과교실제 운영 우수학교 시상식 및 발표회 개최 - “교과교실제 운영을 통해 학교 환경이 학습활동에 최적화된 공간으로 변했고, 교사들도 새로운 시스템에 맞춰 수업 방법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배움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교사 김00) “인권 단원을 배운 후 학교 시설을 이용하여 공익광고 영상을 촬영, 편집하고 함께 감상했던 도덕 수업이 기억에 남는다.” (학생 류00) “사회 수업 시간에 게임을 활용해 도시를 설계하고 도시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학생 조00)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1월 11일(목) 오후 2시에 부산 호메르스 호텔에서『2017년 교과교실제 운영 우수학교』시상식 및 발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교과교실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