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8/07/05 (2)
교육부 공식 블로그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상상의 전기」라는 시를 살펴보면, 처음에 아이는 한계도 모르고, 포기도 모르고, 목표도 없이, 그토록 생각 없이 즐거워한다. 그러다가 돌연 ‘교실’이라는 경계와 감금과 공포에 맞닥트리고 유혹과 깊은 상실감에 빠진다. 학교에 들어가는 것을 ‘감옥’에 들어가는 것에 비유했습니다. 이 시에서 묘사하고 있는 ‘학교’라는 공간의 의미와 형태가 우리나라 학생들이 느끼는 것과 비슷한데요. 저는 얼마 전 홍익대학교 교수이자 건축가, 유현준씨의 인터뷰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는 TVN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알쓸신잡 2’에서 유쾌한 입담으로 화제를 모았었는데요. 인터뷰 내용 중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유현준 교수는 학교가 점점 ‘교도소’와 비슷해지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학교의 교정은 보..
학생들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앞을 바라보고 있네요! 무슨 재미있는 행사라도 열린 것일까요? 네, 바로 지난 4월 20일! 대구하빈초등학교에서 열린 SW교육 페스티벌입니다. 교육부에서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기본역량을 길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논리적이고 융합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SW교육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학교 현장에서도 이러한 교육부의 정책에 힘입어 학생들에게 SW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빈초등학교는 대구 외각의 작은 학교지만, 학생들에게 기존에 체험하기 힘들었던 SW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두 달간, 코딩 교육 스타트업인 코드스케치와 함께 다양한 피지컬 컴퓨팅 경험을 위한 SW교육 페스티벌을 계획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