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12 (8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언론사명 : 연합뉴스, YTN, KBS 등 / 2022. 12. 4.(일) 제목 : 학생이 교원평가서 교사에 성희롱...교원단체 “평가 폐지해야” 교육부는 2022년 교원능력개발평가 과정 중 세종 소재 모 고등학교에서 부적절한 서술형 문항 답변으로 인해 교원들이 피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 전면 도입된 이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학부모 등의 의견제시, 교원의 자기성찰 유도 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활동 만족도 향상에 기여해 온 제도입니다. 교육부는 학생·학부모의 의견 등을 반영하여 제도를 지속 개선해 왔으며, 특히 2021년부터는 동료교원평가 제외, 평가 절차 간소화, 운영 자율성 강화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서술형 문항 답..

여러분께서는 ‘학자금 대출’ 제도를 이용해보신 적이 있나요? 학자금 대출 제도는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학위 취득 측면에서 대학과 같다고 할 수 있는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는 학습자는, 학습비 마련이 부담되더라도 학자금 대출 제도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교육부는 제도 대상자를 확대하는 ‘2023년 학점은행제 학습자 대상 학자금 대출 제도 도입방안’을 발표했는데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한 번 살펴볼까요? 어떤 점이 달라지나요? 그렇다면 기존의 제도와 비교했을 때,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자금 대출 지원 제도는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차이점을 나눌 수 있겠습니다. 이 차이점은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교육부 2022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불필요한 규제를 발굴하여 적극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교육부 #규제헉신 #대표사례 #학자금대출 #대학정원 #학습부진아 #과밀학급 #첨단분야 #원격대학

교육부TV 구독 이벤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추첨을 통해 50분을 선정하였습니다. 당첨자 확인하러 가기 : https://bit.ly/3ugzaIy #교육부 #교육부TV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댓글 #당첨자 #많관부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일정이 있는데요. 바로, 2023학년도 1학기(1차) 국가장학금 신청입니다. 오늘 누리울림과 함께 국가장학금 신청 정보 알아볼까요? 국가장학금은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을 완화하고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재학생,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 등 모든 대학생이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재산 수준에 따른 학자금 지원구간과 성적 기준 등을 충족한 대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합니다. 국가장학금을 신청하려는 대학생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모바일 앱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3가지 유형⃰을 통합 신청할 수 있습니다. *3가지 유형에는 국가장학금Ⅰ·Ⅱ 유형과 다자녀 국가장학금이 있습니다. ▶..

온종일돌봄 원스톱서비스로 편리하게 신청해요! 초등학생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돌봄시설을 정부24에서 한번에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는 온종일돌봄 원스톱서비스! 신청방법 바로 알아보고, 정부24에서 이용해 보세요! ▶신청하기 : www.gov.kr #교육부 #초등돌봄서비스 #정부24 #신청 #온종일돌봄 #원스톱서비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개인이 미래에 대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역량개발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에 따른 학비 부담도 클 수 밖에 없는데요. 최근, 희소식이 들렸죠! 바로 학점은행제 학습자 학자금 대출 제도! 입니다. 영상으로 자세히 알아볼까요? 학점은행제 소개 학점은행제는 학교 및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일정 기준 충족 시 학위 취득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직업전문학교, 시간제등록, 학점인정대상학교 외 다양한 학점원이 있습니다. 2023년 학점은행 학습자 대상 일반상환 학자금제도 학점은행 학습자 대상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 제도는 대학생과 교육적 여건이 다른 다양한 학습자와 교육훈련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것인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