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화학 전지의 원리 ■ 화학 전기의 발견전지는 1780년에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당시 해부학 교수였던 루이지 갈바니(1737-1798)는 해부한 개구리 다리가 금속제의 해부칼에 닿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갈바니는 이를 보고 전기가 개구리의 신경 속에 숨겨져 있다고 생각해서 '동물 전기'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하지만 이에 의문을 품은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가, 전기는 종류가 다른 두 금속이 접촉하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전기에 대한 갈바니와 볼타의 의견(출처: 에듀넷) 볼타가 주장했듯이 전지에 있어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의 접촉입니다. 금속은 전자를 내놓고 양이온이 되는 성질을 가진 원소로서 이들이 전자를 내놓으려는 정도는 금..
꿀벌이 사라지면인류도 사라진다? 인간에게 꿀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생태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꿀벌.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사라져 가는 꿀벌에 대한 이야기, 카드뉴스로 만나보시죠.
전기저항 줄이기 ■ 전기저항이란?전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전기저항이라 합니다. 전기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의미이지만 적절한 저항으로 전기제품이 작동되므로 부정적인 의미는 아닙니다. 전기저항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데 물질마다 전기저항이 다릅니다. 같은 조건일 때 전기저항이 가장 작은 물질은 은, 구리, 금, 알루미늄 순입니다. 전기선이 모두 구리로 되어 있는 이유가 전기저항이 작은 물질이기 때문이죠. 누군가는 전기저항이 가장 작은 은이 있는데 왜 구리로 전기선을 만들었을까 궁금해 할 텐데요. 그 이유는 은보다 구리가 훨씬 싸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제품들은 전기저항을 어떻게 줄이고 있을까요? ■ 전기저항을 줄이는 방법전기제품은 전기선의 길이가 짧을수록, 전기선의 굵기는 굵을수..
혼천의 ■ 만 원 권 지폐에 그려진 우리 선조의 과학 유산우리나라 만 원 권 지폐 뒷면에는 대한민국의 과학적 우수성을 증명하는 그림이 여러 개 있습니다.① 땅의 모양을 그린 것에 대동여지도② 하늘의 별자리를 그린 것으로는 천상열차분야지도③ 보현산천문대 광학망원경④ 혼천의이 중 혼천의는 옛날에 농사와 관련이 많은 해와 달, 계절과 시간에 관한 천문 지식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천체 관측 기구입니다. 그럼 혼천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만 원 권 지폐 뒷면의 혼천의(출처: 에듀넷) ■ 혼천 시계혼천의는 조선 세종 때에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현종 10년(1669년)에 송이영이 혼천 시계로 발전시켰습니다. 만 원 권 지폐에 그려져 있는 혼천의는 혼천 시계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혼천의입니다. 송이영은..
과학! 미래의 주인공‘사이언스데이’학생들의 과학 축제! 대전 사이언스데이 ■ 10월! 어떻게 대전에서 세계 과학 대통령들만 모였을까?▲ 세계과학정상회의 개회식 기념 촬영(출처: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 www.msip.go.kr) 크고 작은 축제로 가득했던 지난 10월, ‘과학의 도시’라 불리는 대전에서는 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 시킬만한 대규모의 과학 행사가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 세계과학정상회의 로고(출처: 세계과학정상회의 홈페이지 www.daejeon-oecd2015.org/kr) 바로! 2015년 OECD 국가의 과학 수장들이 모이는 ‘세계과학정상회의’라는 국제회의인데요, 10월 19일 부터 10월 23일까지 5일 동안 세계 과학 정상들이 모여 여러 현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철저히 준비하는 한편, ..
우리 은하와외부 은하 ■ 빅뱅 이론, 우주의 탄생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정확한 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상식적으로 가장 보편화된 이론 중 하나인 ‘빅뱅 이론’이 있습니다. 빅뱅 이론은 천문학 또는 물리학에서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인데요, 이 빅뱅 이론에 따르면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50억 년 전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합니다. 빅뱅 이론은 오늘날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우주 시간 ‘0초’의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으로부터 물질과 에너지가 폭발하여 서로에게서 멀어지기 시작했고, 이 물질과 에너지가 은하계와 은하계 내부의 천체들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빅뱅 이론(출처:..
계절에 따라별자리가 다른 까닭 ■ 계절에 따라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가 다르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스스로 자전을 합니다. 이에 따라 밤과 낮이 생기고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의 변화도 생깁니다. 그로 인해 밤하늘에 나타나는 별자리도 달라지지요. 봄에는 밝은 별이 많지 않지만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를 볼 수 있으며, 여름에는 북쪽에서 남쪽을 가로지르는 은하수를 따라 다양한 별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직녀성이 있는 거문고자리, 견우성이 있는 독수리자리, 은하수에 빠져 있는 백조자리가 있습니다. 가을에는 봄과 마찬가지로 밝은 별이 거의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신화와 관련된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페르세우스자리가 있으며 물고기자리와 물병자리도 찾을 수 있습니다. 끝으로 ..
낮과 밤이생기는 까닭 ■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을 밝히기 위한 노력 : 프톨레마이오스에서 갈릴레이까지일반적으로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를 낮, 해가 질 때부터 뜰 때까지를 밤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낮과 밤이 왜 생기는 걸까요?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은 신과 관련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보르네오 섬에 살던 사람들은 원래 낮만 존재했지만 여신 ‘망’이 바구니에 어둠을 담아와서 밤이 생겼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태양의 신 ‘아폴론’이 태양을 마차에 싣고 하루에 한 번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이라고 믿었습니다. ▲ 태양의 신 아폴론(출처: 에듀넷) 이후 고대 그리스에서는 과학과 철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학자들이 낮과 밤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탐구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