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3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떨어져 있는 대륙들의공통점, 옛날 사람들은이 사실을 어떻게 해석했을까 세계 지도를 보면 우리 지구촌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대륙의 서쪽에는 유럽 대륙, 아프리카 대륙이 있고, 더 서쪽으로 대서양을 넘어 가면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대륙이 있습니다. 또한 태평양과 인도양 사이의 남반구에는 가작 작은 대륙인 오세아니아 대륙이 있습니다. 이런 위치에 있는, 우리가 딛고 서있는 땅, 6개의 대륙들과 5개의 큰 바다들은 어떻게 지금의 모양을 갖게 되었을까요? 옛날부터 많은 과학자들은 지구를 연구하면서 여러 가지 증거들을 토대로 현재의 지구의 모습에 대해 다양한 주장들을 내놓았습니다. 어떤 주장들이 있었는지 함께 살펴봅시다. ■ 뜨거웠던 지구..
한지로 요리 기름 제거하기 등액체 혼합물 분리에 대해 알아봐요 ■ 증류액체를 가열하여 끓는점에 도달하면 액체는 기체 상태가 됩니다. 기체를 다시 차게 식히면 액체 상태가 되는데, 이를 모으면 순수한 액체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증류는 섞여 있는 두 액체의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증류에는 단순 증류와 분별 증류가 있습니다. 두 액체의 끓는점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끓는점이 낮은 액체가 먼저 기체상태가 되어 분리되어 나오므로 순수한 물질을 얻기 쉽습니다. 따라서 단순 증류는 두 액체의 끓는점의 차이가 클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두 액체의 끓는점의 차이가 크지 않을 때에는 끓는점이 낮아 먼저 끓어 나오는 성분과 끓는점이 높아 나중에 끓어 나오는 성분이 섞여 나오기 때문에 두 ..
지구형 행성, 수성·금성·지구·화성의 특징은? 태양계 내의 행성은 특징에 따라 크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구와 평균 밀도·질량·크기 등이 비슷한 수성·금성·화성·지구를 통틀어 ‘지구형 행성’이라고 하는데 지구형 행성은 그 바깥쪽에 있는 ‘목성형 행성’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형 행성은 목성형 행성보다 크기가 확연히 작습니다. 지구와 비슷하게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기는 이산화탄소·질소·산소를 주성분으로 하지만 대기층이 엷고, 그중에는 대기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자전 속도가 목성형 행성에 비해 느리고, 위성의 수도 적습니다. ▲태양계 내의 행성(출처: 에듀넷) ■ 수성(Mercury)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 ..
돌고 도는 지구의 물,어디에서 나와서 어디로 가는 걸까? ■ 수권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다면 지구는 어떤 색깔일까요? 푸른색입니다. 지구는 지구 표면에 있는 물 때문에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지구와 다른 행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많은 물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물은 지구와 같은 온도의 자연 상태에서 고체, 액체, 기체의 모든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의 물은 바다, 육지, 대기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극지방에서는 빙하로, 육지에서는 하천이나 호수, 지하수로, 대기에서는 수증기나 눈, 얼음 등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렇게 지구에서 물이 차지하고 영역을, 물을 뜻하는 한자 ‘수(水)’, 영역 또는 범위를 뜻하는 한자 ‘권(圈)’을 써서 ‘수권(水圈)’이라고 합니다. ▲물의 행성 지구(출처:..
물위에 떠오른 부분만 봐도 빙산 전체의 크기를 알 수 있어요! 눈이 녹지 않고 굳어서 생긴 두꺼운 얼음 덩어리를 ‘빙하’라 합니다. 이 빙하는 바다 근처에서 녹지 않고 떨어져 나와 떠다니기도 합니다. 이렇게 떨어져 나와 바다에 떠 있는 얼음 덩어리를 ‘빙산’이라고 합니다. 지구에 있는 담수의 많은 부분이 이렇게 빙하와 만년설로 얼어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고 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빙하와 빙산이 녹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런데, 어떻게 그렇게 크고 무거워 보이는 빙하와 빙산이 물에 떠 있을 수 있을까요? ■ 부피가 커지는 얼음물은 대부분의 다른 물질과 달리 매우 독특한 물질입니다.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될 때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은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될 ..
땅속으로 스며든 빗물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을까? 지구의 물 대부분이 바다에 있습니다. 그리고 바다에 있지 않는 물인 담수의 절반 이상의 많은 물이 빙하와 만년설로 얼어 있습니다. 그리고 얼지 않은 그 나머지 담수의 대부분은 땅속에 지하수로 존재합니다. 땅 위에 비가 내리면 빗물이 고랑을 따라 흐르고 그 물은 개울을 거쳐 하천에 다다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모든 빗물이 이렇게 땅위를 흘러 하천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표면에 떨어진 대부분의 빗물은 땅속으로 스며듭니다. 땅속으로 스며든 빗물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이 지하수가 석회암과 만나면 특별한 지형을 만든다고 합니다. 함께 알아봅시다. ■지하수는 어디에 있을까?땅속으로 들어간 빗물은 아래로, 아래로 흙과 암석 사이를 ..
초콜릿으로 빛의 속력을구하는 방법 속력이란 물체가 얼마나 빠른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철이와 미애가 100m 달리기 시합을 했습니다. 그 결과 철이는 20초, 미애는 25초가 걸렸습니다. 그럼 누가 더 빠른 건가요? 당연히 철이겠지요. 이때 철이의 속력이 더 크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거리를 움직일 때는 시간이 적게 걸릴수록 속력이 크다. 이번에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비교해 봅시다. 철이는 1시간 동안 4km를, 미애는 2km를 걸어갔습니다. 누가 더 빠른지 알 수 있나요? 당연히 철이입니다. 두 사람은 같은 시간 동안 걸어갔지요? 이럴 때는 걸어간 거리만 비교하면 누가 더 빠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간 동안 먼 거리를 이동할수록 속력이 크다. ..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세포는 어떻게 발견되었나?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이 되는 구조를 세포라고 합니다. 어떤 생물은 세포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생물들은 매우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간은 대략 100조 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 세포 발견의 역사세포라는 이름은 1665년 로버트 훅이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단어입니다. 로버트 훅은 코르크가 물에 뜨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코르크를 관찰하였습니다. 훅은 코르크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보이는 엄청난 수의 작은 구멍을 세포, ‘cell’이라고 불렀습니다. cell은 라틴 어로 작은 방을 뜻하는 cellua에 그 어원이 있다고 합니다. 로버트 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