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가교육위원회 (16)
교육부 공식 블로그

□ 2022년 9월 27일(화), 대통령 소속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식 개최 □ 중장기 교육제도와 국가교육발전계획 수립, 국가교육과정 마련,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등 담당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인 국가교육위원회(위원장 이배용, 이하 ‘국교위’) 출범식이 9월 27일(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다. 국교위는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교육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고 교육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되어야 한다는 국민의 오랜 열망을 담아 설치된 대통령 소속 위원회이다. 그간 국교위의 근거법인「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2021.7.21.시행)과 동법 시행령(2022.7.21.시행)은 각계각층의 전문가 의견과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여 제정되었다. 9월 27일, 첫발을 내딛는 국교위가 담당하..

언론사명 : 다수 언론 / 2022. 9. 13.(화), 9. 14.(수) 제목 : 국가교육위 예산, 다른 위원회 5분의 1도 안 돼...유명무실 우려 국가교육위 예산 89억원...다른 위원회의 20%‘푸대접’논란 정부는 국가교육위원회의 2023년 예산으로 88억 9100만 원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하였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의 2023년 예산안은 인건비 약 30억, 기관 운영에 필요한 기본경비 약 23억, 국가교육발전계획 수립 등 국가교육위원회 소관 사무 수행을 위한 사업비 약 36억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는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로서 정부조직법상 중앙행정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는 법적 지위, 업무, 기능 등 그 성격이 다소 차이가 있습니..

언론사명 : 한국일보 / 2022. 9. 2.(금) 제목 : 국가교육위원회, 장관급 위원장에 공무원 31명 뿐, 갈수록 ‘용두사미’ 정부는 국가교육위원회의 정원과 조직을 담은 국가교육위원회 직제안을 9월2일(금)부터 9월7일(수)까지 5일간 입법예고 하였습니다. 입법예고한 국가교육위원회 직제안의 주요내용은 위원회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위원장을 비롯한 정무직 3명, 특정직(교육공무원) 11명, 일반직 17명 등 총 31명*(전문임기제 1명 별도)으로 하는 것입니다. * 교육부 일부 기능의 이관에 따라 정원 21명이 교육부에서 국가교육위원회로 이체되며, 위원장 등 위원회가 새롭게 설치되어 필요한 정원 10명을 신설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한 이후에는 필요시 시도교육청, 연구..

□ 올해 7월 21일, 국가교육위원회(이하 국교위)의 안정적 출범을 위해 법률에서 하위법령으로 위임한 사항을 시행령으로 제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5월 3일(화), 국무회의에서「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무회의에서 통과한 시행령은 2021년 7월 20일(금)에 제정된「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후속으로 제정한 것으로, 올해 7월 2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시행령은 그동안 권역별 토론회(2021.11.~12. 4회), 입법예고(2022.1.12.~2.21.), 국회 간담회(2022.1.20.,2.17.)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법적 절차를 거쳐 마련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가교..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자격, 업무수행 절차, 산하위원회 구성 등 구체화 □「국가교육과정 제·개정 등에 관한 규정」 국가교육과정의 제·개정 원칙, 내용 및 절차 등을 별도로 법제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교육위원회법’)에 따른 같은 법 시행령 및 규정 제정안을 1월 12일(수)부터 2월 21일(월)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된 교육정책의 추진을 위해 제정된 「국가교육위원회법」(2021.7.20. 공포, 2022.7.21. 시행)의 후속 조치로, 국가교육위원회의 위원 추천 절차, 교육과정의 기준·내용 및 제·개정 절차 등 법률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 12월 9일, 국가교육회의 2021 국민참여단 종합토론회 온라인 개최 ◈ 국민참여단 성과와 과제, 국가교육위원회 ‘국민참여위원회’의 역할 등 교육정책에서 국민참여 모델에 대해 논의 【 2021 국민참여단 종합토론회 개요 】 (주제) “시민이 만드는 교육의 새로운 변화” (일시/ 방식) ’21. 12. 9.(목) 15:30∼17:00/ 토크콘서트(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생중계) (참여) 국민참여단 및 국가교육회의(의장, 전문위·특위 위원 등) ※ 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는 12월 9일(목) 오후에 ‘시민이 만드는 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주제로 국민참여단 종합 토론회(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한다.(☞[붙임1] 참조) * 국가교육회의 유튜브..

◈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단,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 개설 ◈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의견 청취 예정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단(공동단장: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김문희·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 이광호)은 2022년 7월 출범 예정인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에 국민의 기대와 요구를 수렴하기 위하여 11월 3일(수)에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페이지)를 개설했다. * 의견수렴 창구 접속 주소: (https://eduvision.go.kr/OpinionList.do) ※ 교육부, 교육연구기관 등 관련 기관 누리집에 의견수렴 창구 접근 링크(배너) 탑재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는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교육정책 추진이라는 국가교육위원회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 단계부터 국민들의 다양한 의..

◈2022년 7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을 위한 설립준비단 발족 ◈국가교육위원회 관련 법령 제·개정, 운영 예산 편성 등 지원 내년 7월 출범 예정인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을 준비하기 위하여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단(이하 설립준비단)이 2021년 9월 16일(목)부터 본격 업무를 시작한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준비단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9월 16일 공포됨에 따라 설립준비단이 함께 발족한다고 발표하였다. 설립준비단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원활하게 출범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의 의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는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으로 제시된 이후 꾸준히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20년 이상 교육계를 포함한 사회 각계각층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