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가장학금 (9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언론사명 / 보도일시 : 매일경제 / 2021. 10. 23. (토) 제목 : 집값 올랐군요, 국가장학금 못 드려요 정부는 최근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이 국가장학금 수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재산 공제액을 대폭 인상(2020년 54백만 원→2021년 69백만 원)하였고, 기준 중위소득 인상분(‘21년 +2.68%)을 반영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하였습니다. 그 결과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분석한 ‘부동산 가격상승에 따른 국가장학금에 대한 영향조사’에 따르면 공시가격 상승폭이 높은 서울 지역에서 3,310명이 국가장학금 지원에서 제외되었으나, 오히려 전국적으로는 주택 공시가격 상승에도 33,061명의 국가장학금 지원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0년 공동주..

청년의 날 특집! 교육부에서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 무엇이 있는지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단독으로 교육부 청년정책에 대해 보도한다고 하는데요! 기숙사비 부담 완화부터 국가교육위원회까지 청년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렇게나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는 사실! ‘누리울림’이 핵심만 쏙쏙 집어 설명해준다고 하니 궁금한 사람은 지금 바로 영상으로 확인해 볼까요? #청년의날 #청년정책 #청년 #기숙사비 #부담완화 #국가장학금 #평생교육바우처 #직무교육과정 #고교취업연계장학금 #직업계고 #학과개편 #KMOOC #위대한수업 #JTBC #차이나는클라스 #인생수업 #학생상담센터 #상담클리닉 #청년정책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청년의 날 ✔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

눈 깜짝하는 사이에 여름방학이 끝나고, 2학기가 시작되었는데요! 이맘때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죠? 바로 2학기 2차 국가장학금 신청입니다! 미처 국가장학금 신청을 못한 학생들을 위해 제공되는 2번째 기회! 이렇게 좋은 기회를 지나치지 않도록 지금부터 육하원칙으로 자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 마지막에는 지난 학기와 달라진 SPECIAL한 포인트도 있으니 끝까지 집중해주세요! 1. WHAT: 국가장학금이 뭐야? 어떤 국가장학금이 있어? 한국장학재단에서 진행하는 국가장학금 제도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신청할 수 있는 장학금으로 “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이 있어요. 소득연계형이란, 학생 본인이나 가구원의 소득이 학자금 지원 8구간 내에서 일정 수준 이하인 대학생 중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학생에게 제공되는 장학금입..

국가에서 분야별로 지원하는 장학금이 정말로 다양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인문사회계열부터 전문기술 계열까지 다양한 분야의 학생들을 지원하는 장학금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예술체육계열, 전문기술계열 순으로 소개할 예정이니 모두들 집중해 주세요! 1. 인문100년장학금 인문100년장학금은 인문사회계열의 우수학생에게 학자금을 지원해 인문학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학금입니다.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국내 4년제 대학 인문사회계열 학과(부)에 재학 중인 1학년 또는 3학년이 지원 가능한 장학금인데요. 1학년 신입생 대상인 전공탐색 유형과 3학년 재학생 대상인 전공확립 유형에서 등록금과 생활비를 같이 지원받으면 1유형, 등록금만 지원받으면 2유형으로 각각 ..

2012년부터 시작된 국가장학금 제도는 균등한 교육 기회를 실현하기 위해 우수한 학생들뿐만 아니라 장학금이 꼭 필요한 학생들에게도 학자금을 지원해주고자 시작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2020년 기준 60만 명에게 약 1조 8,332억 원을 지원할 정도로 규모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어요. 이러한 국가장학금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는데요. 한국장학재단에서는 학자금대출, 고졸취업정보 안내 등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국가장학금 알아볼 때 이 점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국가장학금 제도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저도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을 빌린 적이 있었는데요. 저금리로 빌릴 수 있는 제도여서 큰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기존에도 많은 장학금을 지원했던 국가..

◈ 서민‧중산층 가구에 대한 반값등록금 지원 위해 국가장학금 확대 ◈ 대학 역량강화 및 미래인재양성 위해 대학혁신지원 사업 등 확대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교육회복 추진 및 저소득층에 대한 교육비 지원 강화 ◈ 미래교육 기반조성을 위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본격 추진 ◈ 국민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확대 교육부(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는 2022년도 교육부 예산안을 2021년도 예산 76조 4,645억 원 대비 12조 1,773억 원 증가한 88조 6,418억 원으로 편성하였다고 밝혔다. (단위: 백만 원, %) 구 분 2021년도 2022년도 전년대비 증감 (B-A) 본예산 (A) 제2회 추경 % 예산안 (B) ▣ 총..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변화를 계속 만들어가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zAxYkt #교육부 #청년특별대책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대학미진학청년 #역량강화 국가장학금으로 서민·중산층까지 더 두텁게! ✔ 국가장학금 지원 한도 인상으로 개인별 실질적 반값등록금 실현 ✔ 학자금 지원 7, 8구간 : 연 350만 원, 연간 31.5만 명 - 7구간 기존 연 120만 원 - 8구간 기존 연 67.5만 원 ✔ 학자금 지원 5, 6구간 : 연 390만 원, 연간 24.7만 명 - 기존 연 368만 원 ✔ 기초·차상위 : 연간 17.5만 명 - 첫째 자녀 연 700만 원, 둘째 이상 자녀 등록금 전액 - 기존 연 520만 원 ✔ 다자녀 : 셋째 자녀부터 등록금 전액 지원 - 연간..

언론사명 / 보도일시 : 한국경제, 파이낸셜뉴스, 서울경제 등 / 2021. 8. 27. (금) 제목 : 학생들“장학금도‘계층 갈라치기’하나”대학“등록금 자율화 사실상 물 건너가” 월세‧반값등록금에 목돈마련까지‘선심성 돈풀기’ 청년 자산형성 3종 세트‧중산층 반값등록금…“퍼주기로 표심사나” 정부는 2012년 국가장학금 도입 이후, 학생‧학부모의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 왔습니다. 특히, 이번 정부에서는 학자금 지원구간 범위를 개편하여 지원 단가를 인상*하는 한편, 학자금 대출금리를 지속해서 인하**하고, * 기준중위소득 대비 100~120% 286→368만원(‘18년), 130% 120→368만원(‘19년) ** (`19년) 2.20% → (`20.1학기)..